Welcome to the SNU Housing Lab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 Seoul National University
공공임대주택, 청약, 주거급여제도의 개선 방안
커뮤니티재개발법과 주택 및 중소기업 대출
주거 복지 향상을 위한 법제 개혁과 도시 공간의 변화
젠트리피케이션과 주거 약자 보호
청년 세대의 주거 현황
저출산, 고령화 등 인구 구조 변화와 주택 시장
주거비 부담과 주거 독립, 결혼, 출산
다문화 사회로의 전환과 주거 분리
정비 사업으로 인한 대규모 이주와 주택 시장
탈탄소 사회로의 전환과 환경적 정의
주거 약자의 재정적, 환경적 리스크 노출 정도
주거 환경이 영유아의 건강과 교육, 인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주택 시장과 세대 내 불평등, 세대 간 이동성
본 강의는 토지와 주택 정책과 관련하여 시장의 운영 원리, 정책의 필요성과 한계, 토지 및 주택 정책의 발전 과정, 임대 주택과 주택 구입 지원 정책 등 다양한 이슈를 논의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수업 발제와 과제를 통해 학생들은 주택과 관련된 다양한 사회적 과제 간의 관계에 대해 탐구하게 되며, 이에 대응하는 정책 방안에 대해 비판적으로 분석하게 될 것입니다.
해당 수업은 인구통계학적 특성(나이, 인종/민족, 세대 등)과 도시 이슈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춘 도시인구학에 대한 개관을 제공합니다. 학생들은 이 수업을 통해 인구와 공간 구조 변화의 다양한 측면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주요 개념과 척도를 익히고, 고전 이론과 최신의 연구 성과를 함께 살펴볼 것입니다. 해당 수업은 논문 발제와 실제 데이터를 활용한 지역 분석으로 구성됩니다.
공간구조분석은 도시가 성장(혹은 쇠퇴)함에 따라 어떻게 공간이 형성되고 구조화되는지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됩니다. 해당 수업은 경제학, 지리학, 정치학, 계획학, 사회학 등 다양한 관점에서 도시 공간을 이해하기 위해 발전해 온 이론과 모델을 살펴보고 이를 현재 도시들이 경험하고 있는 다양한 이슈에 적용하는 두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