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식각 공정을 통해 정교한 패턴이 새겨진 하이드로젤의 2차원 필름은 하이드로젤과 같은 자극감응성 물질의 도입에 의해 평균 곡률 및 가우스 곡률이 제어된 3차원 구조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우리 실험실에서는 poly(N-isopropyl acrylamide) 와 같은 자극감응성 하이드로젤을 이용하여 가역적으로 2차원-3차원 구조 변환이 가능한 shape morphing materials 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3차원 구조를 제어하기 위한 새로운 설계법의 고안 및 제작, 그리고 제작된 3차원 구조체의 응용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프로젝트 / 연구재단 기본연구과제 2018-2022
/ 창의연구재단 URP 프로그램 2020
Silver는 표면플라즈몬 효과 (surface plasmon) 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넓은 파장대에서 높은 Quality factor (Q) 를 가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Polyol 합성법을 통해 silver 입자의 형상 및 크기를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galvanic replacement 반응을 통해 내부에 공동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특히 silver 큐브 입자를 마이크로 미터 크기 이상으로 성장시키는데 관심이 있으며 마이크로 미터 크기 영역에서의 기계적 특성 및 광학적 특성 분석 및 제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협력연구 /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Prof. R. Thevamaran
전기 또는 주위의 자극에 의해 색을 변화하는 물질 및 소자는 디스플레이 픽셀, 스마트 윈도우 등 빛을 효율적으로 제어 및 활용하는 응용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균일한 나노입자, 블록공중합 고분자, 자성 나노입자, 전기변색 물질 등 다양한 입자 및 고분자를 이용한 색가변 물질 및 소자의 개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전기에 의해 색을 변화하는 전기변색소자는 건물의 윈도우에 적용시 건물 내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전원 없이 빛, 열 등 주위 자극에 의해 변색하는 자가변색 물질의 도입은 스마트 윈도우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할 수 있습니다.
연구프로젝트 / 금오공대 지역산업특화연구과제 2021
협력연구 / (주)오리온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