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천천동 성균관대학교 시스템경영공학과 OR연구실 (440-746)
Operations Research Lab. Systems Management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Su Won, Republic of Korea (440-746)
Tel : +82 - 31 - 290 - 7617
Fax : +82 - 31 - 290 - 7610
E-Mail : swlee94@skku.edu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천천동 성균관대학교 시스템경영공학과 OR연구실 (440-746)
Operations Research Lab. Systems Management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Su Won, Republic of Korea (440-746)
Tel : +82 - 31 - 290 - 7617
Fax : +82 - 31 - 290 - 7610
E-Mail : swlee94@skku.edu
[ 대기행렬이론(Queueing Theory) ]
대기행렬시스템이란 고객들이 도착하여 기다렸다가 서비스를 받고 떠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러한 대기행렬시스템을 연구하는 학문이 대기행렬이론이다. 대기행렬이론은 A.K.Erlang(1878~1929)에 의해 최초로 체계적으로 연구되었다. 대기행렬이론은 시스템의 설계, 분석, 효율적인 운영에 있어서 중요한 수학적 도구로 활용되며, 컴퓨터 시스템, 통신 시스템, 생산/재고 시스템, FMS, 교통 시스템 등과 같은 많은 시스템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 응용확률과정론(Applied Stochastic Process) ]
불확실성이 내재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모델을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연장이 바로 확률론(응용확률론)이다. 확률과정이란 불확실성을 가지고 변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시간공간과 상태공간에서 정의된 확률변수의 집합이다. 대표적인 확률과정들로는 포아송과정(Poisson Process), 재생과정(Renewal Process), 재생성과정(Regenerative Process), 마코프체인(Markov chain), 마코프재생과정(Markov-Renewal Process), 준-마코프과정(Semi-Markov Process) 등이 있다. 이러한 확률과정은 확률적 모형(Probabilistic model)에 대한 모델링, 분석에 많이 쓰이고 있으며, 특히 대기행렬이론에 있어서 기초가 되는 이론이다.
[ 통신망 및 생산 시스템의 성능분석 ]
ATM을 비롯한 여러 통신망 시스템과 생산 시스템의 성능분석을 위해 대기행렬이론을 바탕으로 한 시스템의 모델링을 통해 성능척도(Performance measures)들을 분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