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님 연구실 : N1 614호 (T. 3484)
학생 연구실 : N1 619호 (T. 5484)
URL : http://sisrel.kaist.ac.kr
EMAIL : ycsung@kaist.ac.kr
스마트 정보 시스템 연구실은 2007년 2월 성영철 교수님이 KAIST에 오시면서 설립된 연구실입니다. 현재 박사후 연구원 1명 (박기승)과 박사과정 10명 (조명식, 최성호, 박종의, 채종성, 전지원, 김성민, 김정혜, 신용재, 변우현, 김경민)과 석사과정 3명 (이소정, 박정우, 남현영)이 인공지능 강화학습분야의 연구를 자유롭고 학문적인 분위기에서 수행하고 있습니다. 교수님은 1989.03~1993.02 서울대학교 전자공학과 학사, 1993.03~1995.02 서울대학교 전자공학과 석사 학위를 취득하시고, 1995.01~2000.06까지 LG정보통신에서 전문연구요원으로 근무하여 병역을 마치신 후, 2000.08~2005.05 미국 코넬대학교에서 전기및컴퓨터공학부 박사 학위를 받으신 뒤, 2005.06~2006.09 잠시 박사과정 동연구실 Post-Doc 과정에 있다가, 2005.10-2007.01 미국 Qualcomm 사 Coorporate R & D Center에서 무선 통신 및 모뎀 설계 관련 연구를 수행하신 후, 2007년 2월 카이스트로 부임하셨습니다. 교수님은 수학적 이론적 배경과 더불어, 실제 개발 과정 에서의 지식과 경험을 겸비하시고, 학생 지도 및 연구에 매우 열정적으로 임하고 계십니다.
스마트 정보 시스템 연구실은 확률론/통계학, 기하학, 최적화 및 Combinatorics에 바탕을 두고 강화학습, 기계학습 및 LLM 등의 주제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현재는 인공지능의 핵심 분야 중 하나인 강화학습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 분야에서 핵심 원천 기술과 핵심 이론을 얻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현재 연구실에서 진행 중인 프로젝트는 한국연구재단 후원으로 인공지능 관련 적응적 강화학습 알고리즘 개발 연구와 국가 AI 허브 과제에서 General Robotics Foundation Model 연구도 진행 중입니다.
스마트 정보 시스템 연구실은 머신러닝 분야에서 앞으로의 Humanoid Robot, Autonomous Vehicle, Smart Cities, Smart Infrastructure 에 가장 효용성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강화학습(reinforcement learning) 연구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강화학습 연구에서 지난 10년간의 축적된 연구 경험, 지식 및 전통을 바탕으로 꾸준히 세계 최고의 결과들을 도출하고 있습니다. Single Agent 분야에서 PPO와 SAC를 능가하는 DISC (ICML 2019) 및 MME (NeurIPS 2021) 알고리즘 개발, 세계 최초 Non-Parametric Meta 강화학습 알고리즘 SVT 제안 (NeurIPS 2023), 세계 최초로 Multi-task 강화학습 Meta-world MT10 문제 해결 (ICML 2025), 세계 최고 성능의 off-line 강화학습 알고리즘 PARS 개발 (ICML 2025), 세계 최초 max-min multi-objective 강화학습 이론 전개 (ICML 2024) 등 수많은 좋은 성과들을 거두고 있습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졸업생들은 교수, LG AI 연구원, 세계 유수 대학 포스닥 (카네기멜론대, 토론토대) 등 다양한 분야로 진출하고 있습니다.
더 이상 남을 따라가지 않고, 세계와 분야를 선도할 꿈을 가진 학생을 환영합니다.
스마트 정보 시스템 연구실의 졸업생의 진로는 여러 가지가 가능합니다.
학계 (교수)
정부 출연 연구소
국가 공무원
산업체: 삼성전자, 삼성리서치, LG전자, LG AI 연구원
그 외 다른 분야
우선 학문과 지속적인 연구에 뜻이 있는 졸업생은 학계(교수)로 진출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산업체 진출을 들 수 있습니다. 산업체로는 제조업체와 더불어 서비스업체로도 진출할 수 있습니다. 아울러, 국가 및 정부 연구소로도 진출하여 연구를 수행할 수 있으며, 박사특채 등을 통하여 정부 공무원으로 진출하여 국가 정책입안에 기여할 수도 있습니다. 현재 스마트 정보 시스템 연구실의 졸업생의 진로는 아래에 잘 설명되어 있습니다. 지도 교수님은 학생의 희망 진로에 따라 학생을 진로에 맞추어 지도하며, 지도학생이 지나가는 단편적 지식 습득보다는 근본 원리와 체계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을 길러 주는 데 더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연구실에서 배양한 사고/연구 능력이 급변하는 연구 주제와 환경에서 출신학생들이 앞으로 살아가는데 밑거름이 되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수학에 많은 초점을 두지만, 프로그램 language, computer architecture 등 기본적인 기술 습득도 장려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훈련을 바탕으로 2015년 8월 졸업 삼성전자에 입사한 SISReL 출신 김동건 박사는 2017년 삼성전자 최우수연구원상을 수상하였습니다. 2022년에 졸업하여 LG AI 연구원에 취직한 정휘영 박사는 LG Innovation Award를 수상하였습니다.
매주마다 연구실 세미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 세미나에서는 앞으로 연구에 필요한 기초 이론이나 최근 연구 결과를 체계적으로 배우고 있습니다.
(학부 때 미리 듣고 오기를 추천하는 과목과 졸업 후 진로)
학부생 때에는 기초 수학 및 이론 관련 과목을 듣고 오길 추천합니다. 전자과 내에서는 신호 및 시스템, 통신 공학, 통신 시스템, DSP, 기계학습 등 통신, 신호 처리, 정보처리 관련 과목을 수강하길 추천하고 여기에 더해 수학과에서 열리는 해석학, 위상수학, 기초 확률 및 통계, 통계학, 르벡 적분론, 그래프 이론, 미분기하학, 이산수학, 최적화 등을 수강하고 오시길 추천합니다. 스마트정보시스템 연구실을 졸업하면 학계, 국가 연구소, 기업 연구소 등 다양한 분야로 진출이 가능합니다. 연구실에서는 기초 이론을 깊게 배우기 때문에 어느 곳에든지 연구실에서 배운 기초 이론을 응용하여 진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