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컴에듀의 새홈페이지에 이동.
사이트워드 100은 아이들이 언어를 배우는 것 뿐만 아니라 학습을 하는 능력인 인지과정 전반을 기준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아이들은 처음 글자와 그림을 대할 때 그것을 따로 구분하지는 않습니다. 그냥 이미지로 받아들이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마침내 글자와 그림을 구분하는 단계가 지나고 글자를 배우는 단계가 되면 어떤 과정이 시작될까요? 글자와 소리를 연결시키는 과정을 겪게 되겠죠. 여기도 언어나 쓰는 글자마다 약간 차이가 있습니다. 영어처럼 알파벳을 쓰거나 한국어처럼 음절단위의 글자들은 '대개' 소리와 글자가 잘 대응을 합니다. 사실 한국어,독일어, 스페인어등은 소리와 글자가 잘 대응하는 글자체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얼마나 다행인지 모릅니다. 반면 중국어처럼 글자와 음성이 대응되지 않는 언어도 있죠.
영어가 글자와 소리가 잘 대응되는 편에 속하더라도 거의 모든 언어는 예외없이 예외가 있습니다.:-) 그리고 이건 어쩌면 언어가 불완전해서라기 보다는 언어의 특징이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언어는 수없이 많은 사람들이 말하는 것이고 글자가 생겨난지도 표기법이 통일된지도 그나마 글자를 적을 종이와 책이 발명되고 그러한 책을 대중들이 읽게 된 것은 말이 있고 아주 오래 뒤의 일이니까요. 또한, 어떤 단어가 많이 사용되면 사용될 수록 변이형이 많이 생기기 마련입니다.
영어를 한 번 봅니다. 문법 시간에 불규칙 동사변화라고 많이들 배우는데 대표적인 경우는 다음과 같을 것입니다.
우선 영어에서 현재를 나타내는 동사를 한 번 봅니다.
주어가 단수이냐 복수냐에 따라 동사의 모양이 goes, go로 달라집니다. 그럼 과거형은 어떨까요?
과거형의 경우 위의 동사들은 소위 규칙적인 변화를 하는 규칙동사들입니다. 동사 원형에 -ed 나 -e를 붙여주는 동사들입니다. 기본적인 변화이죠.
반면 자세히 보면 우리가 가장 많이 쓰이는 동사들은 대부분 규칙적으로 변화하지 않습니다.
우선 시제변화를 중심으로 현재-과거-과거완료 순으로 보죠. 어떤 동사들이 나오는지 한 번 보시기 바랍니다.
I am happy. I was happy. I've been happy.
You/They are happy. You/They were happy. You've/They have been happy.
She is happy. She was happy. She's been happy.
일단 현재형만 해도 be동사의 경우 주어의 인칭, 단수와 복수에 따라 am, are, is 세 가지 형태가 나옵니다. 과거형은 was, were 두 가지입니다. 과거완료형을 제외하더라도 같은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 현재와 과거 통틀어 5개가 필요합니다. 물론, 아이들이 주어의 인칭이나 단수,복수를 잘 구분한다는 전제하에서입니다.
반면 한국어의 경우는 어떨가요?
현재형 '행복하다'는 주어의 단수와 복수, 인칭에 상관없이 그냥 하나만 씁니다. 과거형도 '행복했다'로 하나만 쓰면 됩니다. 이런 점에서는 정말 편리하죠. 물론, 발음에 있어서는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지요: 사건(사껀), 효과(효꽈), 자장면(짜장면) 등 그냥 명사라는 단어 하나의 발음규칙도 국립국어원의 규칙을 보아야 할 정도로 분분합니다.
다시 영어로 돌아가서 일반동사 중에 현재형과 과거형을 한 번 보겠습니다. 우리가 정말 흔히 쓰는 동사들만 골라보았습니다.
자주 쓰는 동사들은 대부분 현재-과거-과거완료형의 형태가 다 다른 변화를 하고 있습니다. 사실 아이들은 규칙을 하나 배우면 다른 곳에다 과익적용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이들이 told대신에 teld라고 하거나 went 대신에 goed라고 하는 경우들이죠.
그럼 영어의 특징을 삼단논법? 으로 한 번 정리해보겠습니다.
물론, 이 삼단논법에 다 동의하시지 않을 수는 있습니다. 다만, 마지막 3번 부분이 사이트워드 학습의 주된 주장입니다. 우선 3번이 말을 배우는 아이들의 입장으로 볼 때는 수긍가는 점이 많습니다. 몇 가지 이유만 들어보겠습니다.
4번은 정말 할말이 많은 현상이고 현실입니다. 어린아이들이 말을 배울 때 현재형 배우고 과거형 배우고 이렇게 하지 않습니다. 한국어도 마찬가지입니다. 부모님들이 아이들이 예쁜 짓을 하면 "참 잘했어요"라고 하지 "참 잘해요"라고 하지 않습니다. 물론 "참 잘해요"라고 하는 분도 있겠습니다만... 요점은 아이들이 이것을 "음 엄마가 지금 과거형을 사용하는군. 그럼 난 과거에만 잘했단 말인가" 이렇게 고뇌에 찬 질문을 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즉, 아이들에게는 이것은 그냥 받아들여지는 어떤 정보인 것인지 이것이 과거형이거나 현재형이거나 구분하지는 않는다는 것입니다. 물론, 문법규칙이 쌓여가면 그때서는 구분을 하게되고 과거 아니 현재형으로 말을 할 수 있게됩니다. 그냥 엄마가 하는 말을 따라서 반복하는 반복단계를 부모님들은 다 경험하셨을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말을 배우는 것은 말을 배우는 아이들의 의지가 아니라 말을 하는 사람들, 어머니나 주위 사람들,에게서 오는 입력(input)이 절대적입니다. 아이들이 말을 빨리 학습하는 것은 문법규칙이라는 단계를 뛰어넘고 모방에 의해서 배우기 때문에 훨씬 빨리 배울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사이트워드의 목적은 심오한 규칙이 아닙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것 중 "아이들이 일찍 쓰고 자주 쓰는 어휘는 불규칙한 것이 많더라; 그리고 이런 것들은 특별한 규칙으로 설명하기 어렵더라, 그렇기 때문에 그냥 보이는 대로 받아들이고 외우는 것이 훨씬 요율적이더라"라 언어의 현실을 반영한 것입니다.
따라서, 아이들이 일찍쓰고 자주쓰는 동사는 아이들의 보는 출판물에도 당연히 높게 나타납니다. 그래서 이런 불규칙한 어휘들을 규칙으로 해결할 수 없는 부분이 많이 없으니 일찍 그리고 가능하면 재미있게 학습하자는 것이 사이트워드의 주된 동기입니다. 더구나 아이들은 그림으로 배우는 능력이 높으므로(visual learner) 단어를 잘 설명할 수 있는 그림과 같이 학습해서 기억력과 학습요과를 높이자는 것이 월드컴에듀와 도치맘이 공동으로 개발한 '사이트워드 100'의 기본 목적입니다.
그럼 '사이트워드 100'을 학습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소개합니다.
9단계까지 다 마치면 학습한 문장을 아이들이 말하고 또 질문에 대답도 하는 모습을 지켜보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물론 단번에 안되면 단계를 거치면서 반복하면 되니까 여유있게 접근하시기 바랍니다. 사이트워드 카드자체가 반복을 염두에 두고 만들어진 교재이니까요.
감사합니다.
월드컴에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