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atured Research Grant
[21] 멀티모달 데이터 기반 빈집 등급 추론 및 정책 지원형 디지털 트윈 플랫폼, 산학연 CollaboR&D (예비연구), 중소벤처기업부 (2025.5~2025.12, 공동)
[20] 2023년 평택시 강소형 스마트시티 조성사업 자문용역, KT 엔지니어링 (2025.1~2025.12, 책임)
[19] 급격한 인구변화에 대응하는 주거정책 연구, 융복합연구지원사업, 서울대학교 (2024.7~2025.6, 공동)
[18] 딥러닝 기반 도시활력 예측을 통한 노후도시 공간 재구조화 및 복합용도개발 계획 지원 연구, 인문사회공동연구, 한국연구재단 (2024.6~2027.5, 책임)
[17] 과학 기반 자연환경복원 전과정 관리방안 연구, 환경부 (2024.1~2024.12, 공동)
[16] 기후위기 시대 자카르타-세마랑 해안도시벨트 복합재난 대응을 위한 리빙랩 기반의 솔루션 연구, 한국국제협력단 (2023.11~2024.11, 공동)
[15] 물리적 공간과 가상현실 융합을 통한 교통약자 보행환경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인문사회 융합연구, 한국연구재단 (2023.6~2026.5, 공동)
[14] 빅데이터기반 인공지능 도시계획기술개발, 국토과학교통기술진흥원 (2023.1~2026.12, 공동)
[13] 한국형 경관 데이터셋 K-scape 기반 다차원 도시인지 평가 및 이미지 생성 인공 지능 시스템 개발, 이공중견연구, 한국연구재단 (2023.3~2028.2, 책임)
[12] 국토교통 2050 미래기술 전략로드맵 수립, 국토과학교통기술진흥원 (2022. 9~2023.1, 공동)
[11] AI·빅데이터 기반 공공임대주택 사업지원 통합플랫폼 구축 기획, 국토과학교통기술진흥원 (2022. 9~2023.2, 책임→이직으로인한 책임자 변경)
[10] 컴퓨터 비전 및 기계학습에 의한 인지적 도시쇠퇴 진단기반 도시재생 정책제안, 인문사회 공동연구, 한국연구재단 (2021.7~2024.6, 책임)
[9] 미국의 토지은행제도와 빈집관리, 그리고 커뮤니티 재생, 국제협력사업, 한국연구재단 (2020.12~2021.11, 책임)
[8] 도시재생 준공시설 활성화 방안 검토, 주택도시금융공사(국토부) (2021.6~2021.12, 공동)
[7] 도시재생사업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주택금융공사 (2021.8~2021.12, 공동)
[6] 소상공인의 공생자생을 위한 교육 컨설팅 통합 BM개발,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20.8~2022.12, 공동)
[5] 쇠퇴도시 주민들은 행복하지 않은가? 트위터 데이터를 이용한 지역 감정분석과 감정 결정 공간특성에 대한 연구 신진연구(이공), 한국연구재단 (2020.3~2023.2, 책임)
[4] 인구 축소 시대 도시 빈집 발생 요인 분석을 통한 도시재생 기반 마련에 관한 연구: 한국의 107개 도시를 대상으로, 생애첫연구, 한국연구재단 (2018.9~2020.8, 책임)
[3] Mediating the Impacts of Local Flooding in the Mississippi-Alabama Coastal Region through Green Infrastructure Plan Evaluation, Environment Protection Agency, USA (2017-2020, PI)
[2] Be Realistic about Declining for Smart Growth: Population Projection in Planning of Shrinking Cities in the U.S., Auburn University, AL, U.S., (2017-2018, PI)
[1] Civic Engagement Project Support Grant, Auburn University, AL, U.S. (2016.10, PI)
Featured Planning Projects
[21] 평택시 중장기 도시개발사업계획 수립 용역, 평택시, (2022.5~2024.5)
[20] 평택시 도시기본계획 변경 (2021.08~2023.08)
[19] 서울시 제2회 대학협력 마을재생 프로젝트, “BIM-GIS 기반 소규모정비사업” 서울시 (2021.9~2021.12)
[18] 3기 신도시 일자리 창출 및 자족기능 강화방안 연구, 한국토지주택공사 (2019.6~2021.5)
[17] 스마트시티 시범도시(세종·부산) 디지털트윈 마스터플랜 수립 및 시스템 구축, 국토교통부 (2019.10~2020.2)
[16] 세종시 도시재생전략계획, 세종특별시 (2019.1~2019.8)
[15] 남해군 도시경관계획, 남해군 (2011.05-2011.08)
[14] OO순안공항 배후부지 재개발 계획, OOOOO (2008)
[13] 가로구역별 최고 높이지정 1단계, 부산광역시 (2008.9-2009.11)
[12] 부산시역의 건축물 높이 관리계획, 부산광역시 (2007.6-2008.9)
[11] 낙동강센터 설계경기, 부산광역시 (2007.12)
[10] 판교 클러스터 프로젝트 파이낸싱 턴키, 한진컨소시움 (2007.8)
[9] 창원시 관리지역세분 창원시 (2007.2-2007.12)
[8] 마산시 상호상남지구 재개발(안), (2006)
[7] 부산건축기준 정립 및 시범지구 운영, 부산광역시, (2006.11-2007.12)
[6] 창원시 도시기본계획 중 경관계획, 창원시 (2006.4-2008.6)
[5] 온천장 종합발전계획, 부산광역시 동래구 (2004.4-2005.4)
[4] 부산지역 역사문화환경 정비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발전연구원(2004.2-2004.11)
[3] 부산시 도시경관기본계획, 부산광역시 (2003.7-2004.12)
[2] 동물원 설립 타당성 조사, 부산광역시 (2003.11-2004.5)
[1] 부산진 역사문화가로 기본계획, 부산광역시 (2002.8-200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