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ucational Experience
2007.03~2016.08: Ph.D.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0.03~2007.02: B.S Seoul National University
Professional Experience
2023.09~Present: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Biomedical Science, Hallym University, Korea
2021.03~2023.08: Senior Research Investigator, University of Pennsylvania, USA
2017.09~2021.03: Post-doc research fellow, University of Pennsylvania, USA
2016.09~2017.08: Research assistant,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본 연구자는 2023년 9월에 한림대학교 바이오메디컬 학과에 임용되었으며, 현재 면역치료실험실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연구의 주요 초점은 암과 자가면역질환 환자 치료를 위한 CAR/CAAR-T 세포치료제의 개발입니다. CAR-T 세포치료제는 현재 혈액암 치료에 있어 높은 치료효과를 보이고 있으나, 대다수의 고형암에 대해서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치료효과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본 연구팀은 특히 암세포의 면역회피 기전 중 하나인 종양특이항원의 발현 변화와 그에 따른 CAR-T 치료효과의 감소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암세포는 종양특이항원의 발현을 조절하여 면역체계의 감시를 회피할 수 있으며, 이는 CAR-T 세포의 효과를 감소시키는 주요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팀은 다양한 암세포에서 CAR-T 세포의 반응성을 면밀히 분석하고 있습니다. 특히, 암세포와 CAR-T 세포 간의 신호전달 기전을 심도 있게 연구하여 이러한 신호가 CAR-T 세포의 활성화와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CAR-T 세포치료제의 치료효과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치료 대상 암의 스펙트럼을 넓히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암세포 모델에서 CAR-T 세포의 효과를 평가하고, 면역회피 기전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전략을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략에는 종양미세환경을 조절하거나, CAR-T 세포의 내성을 강화하는 방법 등이 포함됩니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CAR-T 세포치료제가 혈액암뿐만 아니라 고형암과 자가면역질환에서도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데 기여하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