덧붙여, 보고 싶은 것만을 보게 되는 우리의 성향을 잘 드러내는 예시로 널리 인용되곤 하는 심리언어학 분야에서의 연구 둘을 소개한다. 두 가지 모두 읽기 이해와 관련된다. 즉, 텍스트를 매개로 하는 상호작용에서 빚어지는 이해의 불완전성을 드러내는 사례들이라 하겠다.
다음의 글을 천천히 읽고 무엇에 관한 내용인지 말해보자.
Rocky slowly got up from the mat, planning his escape. He hesitated a moment and thought. Things were not going well. What bothered him most was being held, especially since the charge against him had been weak. He considered his present situation. The lock that held him was strong but he thought he could break it. He knew, however, that his timing would have to be perfect. Rocky was aware that it was because of his early roughness that he had been penalized so severely - much too severely from his point of view. The situation was becoming frustrating: the pressure had been grinding on him for too long. He was being ridden unmercifully. Rocky was getting angry now. He felt he was ready to make his move. He knew that his success or failure would depend on what he did in the next few seconds. (Anderson, Reynolds, Schallert, & Goetz, 1977)
다음으로 역시 잘 알려진 지문 하나를 아래에 제시한다. 역시 찬찬히 읽고 무엇에 관한 내용인지 생각해 보자.
The procedure is actually quite simple. First you arrange items into different groups. Of course one pile may be sufficient depending on how much there is to do. If you have to go somewhere else due to lack of facilities that is the next step; otherwise, you are pretty well set. It is important not to overdo things. That is, it is better to do too few things at once than too many. In the short run this may not seem important but complications can easily arise. A mistake can be expensive as well. At first the whole procedure will seem complicated. Soon, however it will become just another facet of life. It is difficult to foresee any end to the necessity for this task in the immediate future, but then, one never can tell. After the procedure is completed one arranges the materials into different groups again. Then they can be put into their appropriate places. Eventually they will be used once more and the whole cycle will then have to be repeated. However, that is part of life. (Bransford & Johnson, 1972)
애초 연구자들은 전자의 지문을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대학생들에게 읽혔다.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들은 체육을 전공하는 학생들과 체육 외의 다른 학문을 전공하는 학생들의 두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그 결과는 놀라운 것이었다. 체육 전공생들은 레슬링 경기 중 수세에 몰려 있는 Rocky를 묘사하는 내용으로 글을 읽었음에 비해, 여타의 학문을 전공하는 학생들은 감옥에서 탈옥을 꿈꾸는 Rocky의 이야기로 텍스트의 내용을 이해하고 있었다.
후자의 지문을 나는 그간 여러 강의를 통해 학생들에게 제시해 보았다. 사실 지금까지 그 어떤 학생도 자신 있는 모습으로 텍스트의 내용에 대해 명쾌한 해설을 내놓지는 못하였다. 대다수의 학생들이 무슨 말인지 전혀 모르겠다는 반응만을 보였을뿐. 그와 같은 상황이 되면 난 학생들로 하여금 텍스트를 한 번 더 읽어 보게끔 기회를 준다. 다만, 본래의 연구에서 그러하였듯, 이번엔 텍스트의 제목을 “Washing Clothes”와 같이 제시한 후 읽기 과업을 수행하게끔 한다. 놀랍게도 두 단어로 이뤄진 이 짤막한 제목은 텍스트에 대한 이해를 완벽히 다른 것으로 (또한 분명한 것으로) 만들어 낸다. 제목이 텍스트를 이해하는 과정에 있어 충실한 안내자와도 같은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우리가 가진 경험과 기대 따위에 의해 세상에 대한 우리의 이해가 좌지우지되듯, 제목은 텍스트에 대한 이해의 방향을 송두리째 뒤흔든다. 텍스트를 매개로 하는 우리의 이해가 그만큼 불완전할 수 있음을 입증하는 장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