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시간이 한참 흘렀기에 아래 내용에서 수정되어야 하는 부분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개해 드린 책들 중에서 개정판이 나온 것들도 있고요, 또 강독회도 이미 꽤 자리를 잡은 상황이지요. 수정 없이 그대로 올려서 그간의 흔적으로 남겨둡니다.
당부 사항
당부 사항
1. 개별적으로 책을 좀 읽어주세요. 중등이시라면 다음과 같은 교재들을 한 번 읽어보세요. (1) Lightbown, P. M., & Spada, N. (2006). How languages are learned (3rd e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교사에게 가장 권할만한 내용의 SLA 기본서입니다. 여러 기본서 중 가장 쉬운 편에 속합니다. (2) Parker, F., & Riley, K. (2009). Linguistics for non-linguists (5th ed.). Boston, MA: Allyn & Bacon. ⟶ 언어의 본질에 대한 질 높은 탐색은 어느 논문에서나 중요한 기초를 이루게 됩니다. 영어학 제 분야에 대해 소개하는 책으로서, 여러 기본서 중 가장 쉬운 편에 속합니다. 조금 더 수준을 높이시려거든 다음 두 권의 책에 주목해 주세요. (3) Ortega, L. (2009). Understanding second language acquisition. London: Hodder Education.(4) O’Grady, W., Archibald, J., Aronoff, M., & Rees-Miller, J. (2005). Contemporary linguistics: An introduction (5th ed.). Boston: Bedford/St. Martin's. 초등이시라면, 앞서 소개한 (1)번과 (2)번의 도서를 기본으로 하고, 이에 더하여 다음의 책도 주목해 읽으시면 좋겠습니다. (5) Pinter, A. (2006). Teaching young language learner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이 외에도 도움이 필요하시면 개별적으로 말씀해 주세요. 특별한 영역에 관심이 있다 하시면 그에 맞는 책들을 함께 찾아봅시다. 이상은 개론서에 해당하는 것들이고 대학원 과정을 시작하는 상황에서 더욱 의미가 있을 테니까요. 2. 대개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졸업에 이르게 됩니다. (1) 1학기 - 5학기: coursework (무슨 과목을 듣게 되시는 지 되도록 상의 바랍니다.)(2) 3학기 ~ 4학기 즈음: 논문 주제에 대해 저와 상의해 주세요. (3) 5학기: 논문계획서 발표(4) 6학기: 논문 작성, 그리고 졸업 3. 학과 차원에서의 중요한 행사들에 꼭 참석해 주세요. 예를 들어, 석사 혹은 박사논문발표회, 교내에서 개최되는 학술대회 등의 행사장에서도 서로 인사 나눌 기회가 많았으면 합니다. 4. 서로 친하게 지내주세요. 힘든 과정에서 서로 힘이 되실 수 있을 것입니다. 결국 사람이 남습니다. 이렇게 만나게 되신 선생님들이 결국 서로서로에게 중요한 인적 자원이 됩니다. 5. 강독회를 이제 막 시작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 강독회가 8월 6일 토요일 10:30분에 있습니다. 참석이 가능하시면 오셔서 다른 분들도 만나고 공부도 하고 하시지요. - 일시: 8월 6일, 토요일 10:30분(저는 10시 정도에 가 있을게요. 먼저 오실 수 있는 분 오시고요)- 장소: 지학사 신관 2층 대회의실(홍대입구역 6번 출구에서 2분 거리)- 일정: 10:30분-11시: 인사 / 11시-1시: 강독회 진행 / 1시-2시: 점심 식사 6. (가능한) 휴학하지 마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