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대회

이상직. 2023. “사회통합적 관점에서 본 한국 ‘이민정책’의 성격: 외국인정책 기본계획 검토를 중심으로.” 2023 사회복지법제 연합포럼 (여의도 이룸센터, 2023.12.20.).

이상직. 2023. “한국 청년의 생애 구조 변화: 1970-1984년생의 졸업 후 7년 노동이력 분석.” 한국사회학회 후기사회학대회 (동국대학교, 2023.12.15.).

강경희·이상직. 2023. “누가 어떤 노동 법안을 얼마나 발의하는가: 13-20대 국회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후기사회학대회 (동국대학교, 2023.12.15.).

고민지·이상직. 2023. “누가 환경노동위원회에 가는가: 13-20대 국회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후기사회학대회 (동국대학교, 2023.12.15.).

이상직. 2023. “한국노동안전보건 체제의 역사, 1953-2021: 한국사회에서 노동안전보건 의제는 어떤 식으로 다루어지는가?” 비판사회학대회(연세대학교, 2023.10.27.)

이상직·사사노미사에. 2023. “불안한 일본, 분노한 한국: 7개국 인식조사로 본 동아시아 청년의 마음.” 국회미래연구원 학술대회(노동정치의 미래: 한국과 일본의 대화) (국회미래연구원, 2023.9.5.)

이상직. 2022. “한국의 장애인 탈시설 정책: 역사, 현황, 과제.” 2022 사회복지법제 연합포럼 (여의도 이룸센터, 2022.12.17.)

이상직·김동규·김미선. 2022. “부모 학력의 또 다른 의미: 20-30대의 행복감, 삶의 의미 인식, 삶에 대한 만족도.” 한국사회학회 정기사회학대회 (연세대학교, 2022.12.16.)

이상직. 2022. “한국 장애인 탈시설 운동의 역사, 2005-2021: ‘장애와인권발바닥행동’의 활동을 중심으로.” 2022년 한국사회사학회 학술대회 (한국학중앙연구원, 2022.10.27.)

Lee, Sang-Jic. 2022. “Dissenting Opinion in South Korea: Voices from Emerging Citizens.” Asia Pacific Futures Network 연례 컨퍼런스(온라인, 2022.9.28.)

笹野美佐恵·李相直. 2022. “成人期への移行過程 7 ヵ国比較:役割構造と規範構造.” 第 32 回 日本家族社会学会大会 (2022.9.4., 日本女子大学(目白キャンパス))

Hyunji Kwon and Sang-Jic Lee. 2022. “Educational Inflation, Economic Crises, and the School-to-Work Transition of High School Graduates in 21st-Century Korea.” Conference on The Dark Side of Inequality: The Well-being of Korean and Korean American Children and Youth (2022.6.3., 온라인)

사사노미사에.이상직. 2022. “성인 이행기 구조 7개국 비교: 역할 구조와 인식 구조의 관계.” 한국인구학회 전기학술대회(온라인, 2022.6.6.)

박경숙·이상직·육영우. 2021. “발전주의 인구레짐의 확산, 분화와 쇠퇴: 1950-2020년 세계 출산율 추이 분석.” 한국인구학회 후기학술대회 (온라인, 2021.11.27.).

Kim Mi-son, Kim Dongkyu, and Lee Sang-Jic. 2021. “The Effects of Perceived Inequality and Immobility on Political Participation in East Asian Democracies.” The 78th Annual Midwest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Annual Conference (online, 2021.4.17.)

Kim Mi-son, Kim Dongkyu, and Lee Sang-Jic. 2021. “The Effects of Perceived Inequality and Immobility on Political Participation in East Asian Democracies.” The 2021 Annual Meeting of the Souther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online, 2021.1.9.)

이상직. 2020. “경제위기 이후 한국인의 성인 이행기 구조 변화: 탈젠더화와 계층화의 상호 강화?” 한국사회학회 정기사회학대회 (온라인, 2020.12.19.)

Kim Dongkyu, Kim Mi-son, and Lee Sang-Jic. 2020. “Income Inequality, Social Mobility, and Electoral Participation.” The 2020 Annual Meeting of the Souther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San Juan, Puerto Rico, 2020.1.9.)

김인수·이상직. 2019. “가족주의.” 한국학중앙연구원 주관 학술행사(한국학 학술용어 진단) (한국학중앙연구원, 2019.5.16.)

이상직. 2018. “또 하나의 근대적 라이프코스: 형제복지원에 수용되었던 이들의 생애 구조와 시간 의식.”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서울대학교 형제복지원연구팀 주관 학술대회 (배제에서 포용으로: 형제복지원의 사회사와 소수자 과거청산의 과제) (서울대학교, 2018.11.19.)

김이선·이상직·권현지. 2018. “IMF 경제위기 이후 여성의 보편적 노동과 분화된 노동이력: 1998-2002년 졸업 코호트 사례.” 한국노동패널 학술대회 (서울대학교, 2018.10.26.)

Lee Sang-Jic. 2016. “How Should They Relate: Local Government’s Role on the Development of Social Economy in South Korea.” 제7회 서울대학교-동경대학교 사회학과 공동 사회학포럼 (일본 동경대학교, 2016.11.14)

이상직·김채은. 2016. “인천 남구 사회적경제의 두 흐름: 제도, 활동, 인식.” 2016년도 한국정치학회 연례학술회의(특별세션: 동네안의 시민경제) (동서대학교, 2016.7.2.)

이상직·한신갑. 2016. “기대하지 않았던 종착지: 서울, 노숙의 장소.” 2016년도 한국사회학회 전기사회학대회 (특별세션: 서울의 사회학 2) (이화여자대학교, 2016.6.17.)

김이선·이상직. 2015. “중고령자 노동이력의 변화 양상과 성격, 1999~2012.” 2015년도 한국사회학회 후기사회학대회 (대학원생 세션) (서강대학교, 2015.12.19.)

Kim Ee-Sun and Lee Sang-Jic. 2015. “Changes in Labor Status through Life Course of the Elderly, 1999-2012.” The 3rd Joint Seminar on Asian Agenda for Young Scholars from China, Japan, and Korea.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5.12.04)

이상직·전영우·정우연. 2015.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잖아요.”: 성적에 따른 중학생의 사회적 관계와 행복감, 성별 비교.” 2015 한국조사연구학회 추계학술대회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공모전 논문발표 세션) (대한상공회의소, 2015.11.20.)

한신갑·이상직. 2015. “협동조합의 조직생태학: 혼종성(混種性)의 제도적 환경.” 2015년도 한국사회학회 전기사회학대회 (경제/조직 세션) (경상대학교, 2015.06.19.)

이상직·연준한. 2014. “일본 사회적경제의 현황과 특징.”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민주주의와 경제발전’ 센터 주관 학술회의 (한중일 사회적경제 mapping) (서울대학교, 2014.08.22.)

한신갑·이상직·성연주. 2014. “Shifting Focus in Development Studies: Papers in Development and Society, 1998-2013.” 2014년도 한국사회학회 전기사회학대회 (SQ-SSK 세션) (KIST, 2014.06.20.)

김광묘·이상직·김지은. 2014. “조직, 참여, 행동: 7개 의료생활협동조합 비교연구.” 제7회 전국 사회학과 대학원생 학술대회 (연세대학교, 2014.02.22.)

이상직·한신갑. 2013. “궤도이탈: 노숙인·생애사·변곡점.” 2013년도 한국사회학회 후기사회학대회 (기획세션: 시간과 사회관계) (서울대학교, 2013.12.20.)

한십갑·이상직. 2013. “협동조합의 조직생태학, 1900-1945.” 2013 한국정치학회 연례학술회의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민주주의와 경제발전’ 프로그램 패널: 협동조합의 정치경제) (국립외교원, 2013.12.07.)

이상직. 2009. “How to Explain ‘Social Partnership’ in Ireland: Departing from Free Collective Bargaining to Social Partnership.” 제4회 서울대학교-동경대학교 사회학과 공동 사회학포럼 (일본 동경대학교, 2009.01.28)

 

기타

이상직. 2023. “질적 자료에 대한 구조적 접근: 노숙인 생애사 자료를 사례로.” 제16회 KOSSDA 데이터 페어(디지털 사회, 유용한 질적 연구와 질적 자료)(서울대학교, 2023.11.17.)

이상직. 2023. “전환기 한국인의 삶의 문법: 능력주의 사회로의 전환과 성인 이행 경로의 계층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내부세미나(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3.4.12.)

이상직. 2022. “이머징 시티즌의 선호미래.” 국회미래연구원 학술대회(국민과 미래대화: 성장사회를 넘어 성숙사회로)(국회미래연구원, 2022.12.1.)

이상직. 2022. “전환기 한국인의 성인 이행 구조 변화, 1998-2017: 탈젠더화와 계층화의 상호 강화?” 불평등연구회 월례발표회 (비대면, 2022.1.28.)

이상직. 2021. “능력주의 사회로의 전환과 성인 이행 경로의 계층화.” 창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산업도시연구단 주최 학술세미나 (창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2021.12.9.)

이상직. 2021. “경제위기 이후 한국인의 성인 이행기 구조 변화: 탈젠더화와 계층화의 상호 강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주최 제26회 인구포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12.3.)

이상직. 2021. “전환기 한국인의 삶의 문법: 능력주의 사회로의 전환과 성인 이행 경로의 계층화.” 한국노동연구원 주최 제3차 KLI 노동포럼 (한국노동연구원 여의도 회의실, 2021.7.27.)

이상직. 2021. “전환기 한국인의 삶의 문법: 능력주의 사회로의 전환과 성인 이행 경로의 계층화.” 노동포럼 나무 제40회 월레포럼 (비대면, 2021.6.25.)

이상직. 2017. “○○이력을 살펴보는 기법 한 가지: 「한국노동패널조사」 직업력 자료를 활용한 시퀀스 분석.”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대학원 콜로키움 ‘도시락과 사회학.’ (2017.12.05.)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형제복지원 연구팀(김일환 외 10명). 2017. “1970-80년대 부랑인 단속/수용 정책의 성격: ‘내무부 훈령 410호’와 ‘구걸행위자보호대책’을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정기학술대회(고려대학교, 2017.10.21.)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형제복지원 연구팀(김일환 외 10명). 2017. “자료와 증언의 교차로 보는 형제복지원.” ‘인권과 민주주의, 그리고 형제복지원’ 사건 토론회 (국회 의원회관, 2017.6.27.).

김광묘·이상직. 2014. “조합원들의 참여 및 교류양상과 건강관련행동변화: 의료소비자생활협돋조합 비교분석.” 아이쿱협동조합연구소 주관 “제1회 아이쿱 협동조합 논문공모전” 시상식 및 발표회 (iCOOP소비자활동연합회 교육장, 2014.10.30.)

김광묘·이상직. 2014. “조합원들의 참여 동기 및 사회적 관계와 참여지속도: 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을 중심으로.” 사회적기업희망재단·사회적기업연구원 주관 “제2회 대학(원)생 사회적경제 논문경진대회” 최종발표대회 및 시상식 (과천 대우증권 연수원, 2014.09.18.)

이상직·김이선. 2013. “궤도이탈: 노숙인생애사 자료에 기초한 변곡점 찾기.” 서울대학교 인권센터 주관 ‘인권연구프로젝트 공모전’ 발표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3.10.10)

이상직. 2012. “불편함을 관리하기: 노숙인 시설 실무자와 노숙인과의 관계.”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대학원 콜로키움 ‘도시락과 사회학.’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12.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