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2022.04 - 2026.12)
교육: 에너지 기술과 사회과학의 융합 교육 프로그램 정착
연구: 다학제간 연구 중심 인력양성 기반 구축
국제협력: 다학제적 에너지 융합분야 국제공동연구 기반 구축
기대 효과
에너지융합대학원을 통해 이공학적 공동 연구뿐만 아니라, 사회학, 경제학, 통계학에 기반을 둔 에너지 수요 및 예측 기술, 정책 연구 등 포괄적이며 다학제적인 연구를 수행함으로서 에너지 신산업 융복합 분야에서 학문적 및 기술적으로 우수한 석박사 융합인재가 양성되어 에너지 분야 발전에 기여
본 사업을 통해 교육받은 석박사 인력을 기반으로 대학과 기업체간 공동 연구개발 사업을 시도하여 보다 발전적이고 지속 가능한 기술개발 기대
국제적 정세에 맞추어 에너지 신기술 전문가 양성을 통해 기업체 인력의 역량을 강화해 줌으로써 국내 기업의 에너지 신기술 글로벌화 효과 기대
산학교류를 통한 기술 및 인력 활용(산업체 교수, 기업체 임직원 교육 참가 등)의 확대
한국연구재단 (2025.05 - 2029.12)
안전(Built on safety)을 기반한 원자력 전문 지식(Nuclear expertise)을 바탕으로 차세대 원자로를 설계하고 융복합적지식(Open innovation)과 디지털 첨단기술(Digital transformation)을 활용하여 다목적/다용도(Dynamic application) 가치를 실현하며, 프로젝트 기반의 실행 중심형(Execution-focused) 문제 해결 역량을 지닌 인재임
B.E.Y.O.N.D 인재상을 갖춘 차세대 원자력 기술 및 응용분야 융복합인력 양성을 통해 미래 원자력 첨단산업에 기여하고자 함
다목적 MSR 기술 개발을 위한 융복합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본 교육단은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제공하고자 함
학기 중에는 차세대 MSR, 고부가 미래 선박 설계 및 안전, 플랜트 기반 에너지 전환 기술 개발과 관련된 정규 강좌를 개설하고, 방학 중에는 산업 및 연구 기관과 연계하여 실무 중심의 학습 프로그램을 운영을 목표로 함
이를 통해 차세대 다목적 MSR 개발 과정에서 요구되는 핵심 기술을 이해하고, 기술적 난제 해결 및 연구개발 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역량을 배양하고자 함
한국연구재단 (2020.09 - 2025.02)
교육연구단의 목표 달성하기 위한 5대 SYNERGY 전략적 목표
SY 지속가능한 지역산업 맞춤형 에너지신산업 인력양성기반 구축 및 자립기반 확립
N 신기술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 가능한 산업현장중심의 전문연구인력 양성
ER 기후변화대응 에너지신산업 인력양성을 위한 다학제 간 융복합 교육프로그램
G 지역인재의 차세대 글로벌리더육성을 위한 국제공동연구/교류 활성화
Y 지역사회기여가능한 에너지신산업 분야 전문인력 양성
기대효과
- 세계적 수준의 연구성과 달성 및 기술경쟁력 확보
에너지신산업분야 우수연구 성과 달성을 통한 기술경쟁력 확보
R&D 성과에 대한 실용화, 대학 및 지역 우수기업의 해외 시장 진출 네트워크 확대
시장․수요․가치 중심의 R&D 성과 기대 및 지역기업의 세계시장 진출 교두보 마련
- 에너지신산업분야 글로벌경쟁력 제고에 따른 파급효과 창출
에너지신기술 전문 융합인재 양성을 통한 대학, 기업, 지역사회의 동반 상승
지역기업의 에너지신산업 대응기술 경쟁력 향상으로 경제적, 사회적 기대효과 상승
지속가능한 대학-기업-지역 협력 생태계구축으로 글로벌경쟁력 강화 및 지역 상생
- 다학제 간 기술 융합을 통한 미래 에너지신산업 분야 기술혁신
글로벌 에너지 시장의 변화에 맞춰 기술 간/학제 간 융합교육 및 연구수행을 통한 창의적인 기술혁신인재 양성
융복합 전문분야 연구능력의 확대와 이종기술의 접목을 통한 기술 한계 극복 - 다학제 간 학문 교류를 통한 패러다임 전환 능력의 확대
에너지 기술, 정책 및 경제와의 상승적 결합을 통한 삶의 질 향상과 사회이슈 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