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학기
Title: 반도체 산업 이야기
Speaker: Prof. Lee, Sungsam (SSIT)
Date & Time / Venue: July 24th (Wed.), 2024, 1:00 PM / Physics Seminar Room (Bldg.3, #302)
Abstract
: 물리학의 응용분야 중에 하나인 반도체 산업에 대한 기초적인 이야기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빠른 스위치를 만들기 위한 반도체 소자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들과 스케일링에 대해 학습합니다. 이를 기반으로 SRAM, DRAM, Flash와 같은 메모리 제품들이 어떠한 원리로 동작하고 구현할 수 있었는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합니다.
Title: 초저손실, 광대역 fiber-to-chip interface
Speaker: Dr. Son, Gyeongho (PsiQuantum)
Date & Time / Venue: May 8th (Wed.), 2024, 3:15 PM / Lecture Room (Science Bldg Ⅲ, #111)
Abstract
: 본 발표에서는 포토닉 집적 회로 시스템 및 양자 통신과 컴퓨팅을 포함한 포토닉 양자 응용 등에 필수 요소인 초저손실, 광대역 fiber-to-chip interface를 소개하고 포토닉 기반 양자 컴퓨팅 회사 중 하나인 PsiQuantum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Title: Holotomograph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label-free 3D imaging, classification, and inference of live cells, tissues, and organoids
Speaker: Prof. YongKeun Park (KAIST)
Date & Time / Venue: March 6th (Wed.), 2024, 4:00 ~ 5:30 PM / Physics Seminar Room (Science Bldg Ⅲ, #302)
Abstract
: Holotomography (HT) is a powerful label-free imaging technique that enables high-resolution, three-dimensional quantitative phase imaging (QPI) of live cells and organoids through the use of refractive index (RI) distributions as intrinsic imaging contrast1-3. Similar to X-ray computed tomography, HT acquires multiple two-dimensional holograms of a sample at various illumination angles, from which a 3D RI distribution of the sample is reconstructed by inversely solving the wave equation.
By combining label-free and quantitative 3D imaging capabilities of HT with machine learning approaches, there is potential to provide synergistic capabilities in bioimaging and clinical diagnosis. In this presentation, we will discuss the potential benefits and challenges of combining QPI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for various aspects of imaging and analysis, including segmentation, classification, and imaging inference3-6. We will also highlight recent advances in this field and provide insights on future research directions. Overall, the combination of QPI and AI holds great promise for advancing biomedical imaging and diagnostics. We will also discuss the extention of QPI to dielectric tensor tomography and X-ray science.
References:
1.Y. Park, C. Depeursinge and G. Popescu, Nature Photonics 12 (10), 578-589 (2018)
2.Y. Baek and Y. Park, Nature Photonics 15 (5), 354-360 (2021)
3. S. Shin and Y. Park, Nature Materials 21, 317-324 (2022)
4.Y. Jo et al., Nature Cell Biology 23, 1329-1337 (2022)
5. K. Lee et al., Light: Science & Applications 12, 88 (2023)
6. J. Park et al., Nature Methods, 20, pages1645?1660 (2023)
Title: Innovating Public Policy Research through Language Models
Speaker: Prof. Jaehyuk Park (KDI School)
Date & Time / Venue: February 21st (Wed.), 2024, 4:00 ~ 5:30 PM / Physics Seminar Room (Science Bldg Ⅲ, #302)
Abstract
: In this talk, we explore the frontier of public policy research through the innovative application of language models across three distinct projects. First, we delve into the cultural mirror of society reflected in rap music by training a language model on rap lyrics, unveiling insights into societal dynamics and issues. Next, we investigate the innovation landscape by training a model on AI patent abstracts to analyze and pair similar patents from different assignees, revealing the collaborative and competitive nature of government versus private sector contributions. Lastly, we employ a fine-tuned language model to decode the holistic structure of the labor market, offering a nuanced understanding of its complexities. Together, these projects underscore the transformative potential of language models in enriching public policy research with deeper, data-driven insights into cultural, technological, and economic phenomena.
2023-2학기
Title: 물리학자가 바라보는 소득 불평등 문제
Speaker: Prof. Kim, Chae Un (UNIST)
Date & Time / Venue: September 13th (Wed.), 2023, 4:00 ~ 5:30 PM / Physics Seminar Room(Science Bldg Ⅲ, #302)
Abstract
: 자본주의 체제의 그늘진 단면이라 할 수 있는 소득 불평등 문제는 폭력, 범죄, 마약, 질병 등 수많은 사회적 문제와 관련되어 있으며,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경제 성장에도 걸림돌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현재 Covid팬데믹과 4차산업 혁명으로 가속화되고 있는 소득 불평등 문제의 현실과 원인을 일반상식 수준에서 살펴보고, 물리학자의 관점에서 합리적인 소득 재분배의 원리 및 방법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2023-1학기
Title: 기후변화 티핑포인트 및 급격한 기후변화 연구
Speaker: Prof .Jong-Seong Kug (POSTECH)
Date & Time / Venue: May 24th (Wed.), 2023, 4:00 ~ 5:30 PM / Physics Seminar Room(Science Bldg Ⅲ, #302)
Abstract
: 2015년 파리협약에서 195개 당사국은 지구의 지구온난화를 산업혁명 이전으로부터 2도 상승까지만 제한하도록 노력하기로 합의하였다. 기온 상승 “2도”의 과학적 의미는 일부 과학자가 지구 기온이 2도 이상 상승할 경우 지구의 기후시스템의 임계점을 넘어 급격한 기후변화가 발생할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후변화 임계점의 한계온도가 어느 정도인지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발표에서는 과거의 지구의 급격한 기후변화의 예를 제시하고, 설명할 수 있는 물리 및 역학 과정을 소개한다. 지구의 역사에서 급격한 기후변화는 수 십차례 발생하였고, 생태계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었다. 또한 현재의 지구온난화에서 위험 요소로 제시되고 있는 티핑엘리먼트 (Tipping Elements)를 소개하고, 그 역학과정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현재 포스텍 급격한 기후변화 연구센터에서 진행되고 있는 급격한 기후변화 연구에 대해 소개한다.
Title: Phase-Space Engineering towards Intense and Bright Accelerators
Speaker: Dr. Moses Chung (UNIST)
Date & Time / Venue: May 15th (Mon.), 2023, 2:00 PM / Physics Seminar Room(Science Bldg Ⅲ, #302)
Abstract
: 1895년 독일의 물리학자 뢴트겐에 의해 발견된 X선은 의학분야, 비파괴검사, 공항검색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X선의 강한 투과성과 짧은 파장, 높은 에너지 특성은 고체물리 연구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거대 과학시설인 방사광 가속기의 건설로 더욱 강하고 집속된 X선을 활용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더욱 강하고, 결맞음성이 뛰어나며, X선의 시간폭이 펨토초 수준으로 매우 짧은 X선 자유전자레이저(X-ray Free Electron Laser; XFEL)가 건설되면서, X선을 이용한 고체물리 연구는 새로운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미국, 일본에 이어 세계에서 세번째로 X선 자유전자레이저가 포항가속기연구소에 건설되어 2017년부터 일반 이용자에게 공개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다양한 회절, 분광, 이미징 실험이 수행되고 있다. 본 강연에서는 X선 발생장치의 간단한 역사와 고체물리 연구에의 활용, 그리고 X선 자유전자레이저를 이용한 다양한 연구를 소개하고자 한다.
Title: X선 자유전자레이저(XFEL)를 이용한 시분해 고체물리 연구
Speaker: Dr. Hoyoung Jang (XFEL)
Date & Time / Venue: Apri 26th (Wed.), 2023, 4:00 ~ 5:30 PM / Physics Seminar Room(Science Bldg Ⅲ, #302)
Abstract
: 1895년 독일의 물리학자 뢴트겐에 의해 발견된 X선은 의학분야, 비파괴검사, 공항검색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X선의 강한 투과성과 짧은 파장, 높은 에너지 특성은 고체물리 연구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거대 과학시설인 방사광 가속기의 건설로 더욱 강하고 집속된 X선을 활용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더욱 강하고, 결맞음성이 뛰어나며, X선의 시간폭이 펨토초 수준으로 매우 짧은 X선 자유전자레이저(X-ray Free Electron Laser; XFEL)가 건설되면서, X선을 이용한 고체물리 연구는 새로운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미국, 일본에 이어 세계에서 세번째로 X선 자유전자레이저가 포항가속기연구소에 건설되어 2017년부터 일반 이용자에게 공개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다양한 회절, 분광, 이미징 실험이 수행되고 있다. 본 강연에서는 X선 발생장치의 간단한 역사와 고체물리 연구에의 활용, 그리고 X선 자유전자레이저를 이용한 다양한 연구를 소개하고자 한다.
https://postech-ac-kr.zoom.us/j/4664775061?pwd=YUg2cnRja2hBZUE5UmdlYldWSEZndz09
Title: Science of Success: 통계물리학자와 미술관을 간다면?
Speaker: Prof. Hawoong Jeong (KAIST)
Date & Time / Venue: Apri 5th (Wed.), 2023, 4:00 ~ 5:30 PM / Physics Seminar Room(Science Bldg Ⅲ, #302)
Abstract
: 우리는 누구나 성공을 하고 싶어한다. 그런데 과연 성공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성취할 수 있을까? 모든 것이 저장되는 빅데이터시대를 맞아 각 분야에 쌓여있는 엄청난 데이터로부터 이제는 성공에 관한 숨은 비밀을 찾아낼 가능성이 엿보이기 시작했다.통계물리학에서 "성공의 과학"으로 불리우며, 성공을 정량화하고, 그 숨은 법칙을 찾아낸 여러 연구들을 소개하고, 특히나 미술작품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양식측정학(Stylometry) 연구 결과를 통해 예술계의 숨겨진 뒷이야기들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1] B. Lee, M.K. Seo, D. Kim, I.-s. Shin, M. Schich, H. Jeong, and, S. Han, "Dissecting landscape art history with information theory", Proc. Nat. Acad. Sci. USA (2020)
[2] B. Lee, D. Kim, S. Sun, H. Jeong and J. Park, "Heterogeneity in chromatic distance in images and characterization of massive painting data set", PLoS ONE (2018)
[3] D. Kim, S.-W. Son, H. Jeong, "Large-Scale Quantitative Analysis of Painting Arts" Sci. Rep. (2014)
2022-2학기
2022-1학기
v Title: 물리학과 학생에게 필요한 특허 지식
v Speaker: Patent Attorney, Younghun Bae (POSTECH)
v ZOOM ID: 948 064 9013 / Password: 123456
v Date & Time: May 18th (Wed.) 4:00 pm ~
v Zoom URL: https://us02web.zoom.us/j/9480649013?pwd=dmVqaWZ3bHozbjZXRjd0RllvVVVkdz09
* When entering the meeting, please rename your profile as your full name (affiliation)
v Title: Ultra-Low Power and Scalable Programmable Silicon Photonic MEMS
v Speaker: Prof. Sangyoon Han (DGIST)
v ZOOM ID: 948 064 9013 / Password: 123456
v Date & Time: Mar. 30th (Wed.) 4:00 pm ~
v Zoom URL: https://us02web.zoom.us/j/9480649013?pwd=dmVqaWZ3bHozbjZXRjd0RllvVVVkdz09
* When entering the meeting, please rename your profile as your full name (affil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