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Liou, P. Y., Jang, J. & Myoung, E. (2024). Synergistic effects of students’ mathematics and science motivational beliefs on achievement, and their determina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TEM Education, 11, 50. [SSCI]
8. Jang, J., Yoo, H., & Rubadeau, K. (2024). More we or more me? How collaboration and autonomy connect with school climate, team innovativeness and school satisfaction among Korea’s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in Education, 1-17. [SSCI]
7. Jang, J., Yoo, H., & Rubadeau, K. (2024). Indifferent, skeptical, ambivalent, moderate, and enthusiastic: What impacts profiles of teachers' technology views. Social Sciences & Humanities Open, 10, 100925. [SCOPUS]
6. Jang, J., Yoo, H., & Liou, P. Y. (2023). Effects of collaboration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Person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as moderators. Educational Studies, 1-23. [SSCI]
5. Jang, J., Yoo, H., & Rubadeau, K. (2023). Profiles of instructional practices and associations with teachers’ self-efficacy, classroom autonomy, teacher collaboration, and school climate in Korea.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1-16. [SSCI]
4. Yoo, H., Jang, J., Oh, H., & Park, I. (2022). The potentials and trends of holography in education: A scoping review. Computers & Education, 186, 104533. [SSCI]
3. Yoo, H., & Jang, J. (2022). Effects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on teacher collaboration, feedback provision, job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Evidence from Korean PISA 2018 data. Compare: A Journal of Comparative and International Education, 1-18. [SSCI]
2. Jang, J., Yoo, H., & Rubadeau, K. (2022). How teacher collaboration profiles connect to literacy instructional practices: Evidence from PISA 2018 outcomes for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14, 102010. [SSCI]
1. Jang, J., Ko, Y., Shin, W. S., & Han, I. (2021).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for learning: An examination using an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EEE Access, 9, 6798-6809. [SCIE]
36. 신민철, 이시내, 장재홍. (2024). 교사의 업무 부담 경감을 위한 교무행정업무 수행 주체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42(5), 437-468.
35. 장재홍, 이은주. (2024). AI 기반 교수·학습 플랫폼에 대한 교사의 수용 수준 및 개선 방안 탐색. 교육정보미디어연구, 30(6), 1659-1687.
34. 장재홍, 송윤미. (2024). 교사의 디지털 역량 실태 및 영향 요인 분석. 교육공학연구, 40(3), 783-820.
33. 장재홍, 윤가영, 신주랑. (2024). 신규교사의 직무수행준비도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차이 검증. 교육방법연구, 36(2), 89-110.
32. 민홍기, 장재홍. (2023). 특수대학원 재학생의 학업지속의향과 영향요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20), 707-722.
31. 윤가영, 신주랑, 장재홍. (2023). 창의적 학교 환경 인식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적응을 매개로 학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창의력교육연구, 23(3), 43-58.
30. 신민철, 유하원, 장재홍. (2023). 학교 테크매니저 도입을 위한 직무 모델 개발: 초․중등 교사의 관점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39(3), 933-967.
29. 윤가영, 장재홍. (2023). 아동의 창의적 학교 환경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교사, 학부모, 학생 요인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3), 67-80.
28. 양수우, 장재홍. (2023). 온라인 직무교육에서 자기효능감,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요인 분석: 커리어컨설턴트를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35(2), 351-378.
27. 신주랑, 장재홍. (2023). 청년세대의 일자리 만족도 유형 분석 및 영향요인: 학교교육경험, 조직풍토, 전공 및 직무 일치를 중심으로. 직업교육연구, 42(2), 23-52.
26. 유하원, 장재홍, 김수연. (2023). 민주적 의사결정, 교장 지도성, 학교풍토, 전문적 학습공동체, 교직 만족도, 학교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부산광역시 중등교원을 중심으로. 교사교육연구, 62(1), 69-86.
25. 신민철, 장재홍. (2023). 학교 ICT 활용 수업 활성화 방안: 중학교 교사, 교장, 업무책임자 인식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39(1), 187-217.
24. 신민철, 유하원, 장재홍. (2023). 학교 에듀테크 통합 방해요인과 해결방안: 선도적 교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39(1), 219-250.
23. 김인엽, 신범철, 장재홍. (2023).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프로그램 이수 여부에 따른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 자기효능감 비교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3), 139-152.
22. 유하원, 김수연, 장재홍. (2022). 학교풍토, 교사 전문적 학습공동체, 교사 전문성 개발, 학생 학업성취도의 구조관계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39(4), 175-199.
21. 박혜림, 고은현, 장재홍. (2022). 대학 신입생의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적용한 학습전략 활용 유형 분류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3(10), 166-176.
20. 장재홍. (2022). 창의적 사고 역량 향상을 위한 수업 및 평가방법 탐색. 창의력교육연구, 22(2), 21-40.
19. 장재홍, 신범철. (2022). 전문성 개발 활동 개선을 위한 교사 인식 분석: 긍정적 특성, 지원요인, 방해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9(1), 285-307.
18. 장재홍, 조애영, 박인우. (2022). 협력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개선방안 탐색: 협력교사 사업 참여 교사를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34(1), 1-24.
17. 장재홍, 고유정. (2021). 청소년의 미디어 비판적 사고 능력의 종단적 변화 및 영향요인 탐색.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7(4), 1429-1456.
16. 고유정, 장재홍. (2021). 교사의 ICT 활용에 대한 학생의 수업인식 구조관계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7(2), 531-557.
15. 김수연, 장재홍. (2021). 중·고등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 프로파일의 종단적 변화 및 영향 요인 분석. 청소년학연구, 28(5), 273-301.
14. 장재홍, 조애영. (2021). 중학생의 학습전략 종단적 변화 양상 및 영향요인 탐색. 교육공학연구, 37(1), 131-160.
13. 장재홍. (2020). 교사별 과정중심평가 방식에 따른 수업개선활동, 과제피드백, 교사효능감, 수업이해도 비교 분석. 교육공학연구, 36(4), 1025-1055.
12. 장재홍, 고유정. (2020). 수업방법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및 집단별 특성에 대한 연구. 교육방법연구, 32(4), 575-605.
11. 장재홍, 조애영, 박인우. (2020). 중학교 교사의 코티칭 수업 운영방식과 전문성 개발 여부에 따른 수업 인식과 태도. 교육문제연구, 33(4), 115-142.
10. 장재홍, 김수연, 박인우. (2020).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지식정보처리역량 측정도구 개발. 교육연구, 78, 9-30.
9. 장재홍, 신원석, 고유정. (2020). 교사의 AR․VR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 인식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및 영향변인 탐색.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6(2), 367-393.
8. 장재홍, 박인우, 윤가영. (2020). 중․고등학생의 학습전략 수준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영향요인 탐색. 교육공학연구, 36(1), 105-135.
7. 윤가영, 박인우, 장재홍. (2020). 중학교 학생의 협동적 학습양식 분석 및 영향요인 검증. 교육방법연구, 32(1), 1-23.
6. 김희배, 장재홍, 박인우. (2019). 초등학생의 교육정보화 기기 활용이 학습전략 및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영향에서 지식정보처리역량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교육방법연구, 31(4), 767-784.
5. 장재홍, 박인우. (2019). 경기도 초·중·고 학생의 수학선행학습 실태 및 영향 분석. 교육방법연구, 31(1), 45-66.
4. 김주영, 장재홍, 박인우. (2018). 전문적 학습공동체 참여 여부에 따른 교사협력정도, 수업개선활동, 교사효능감, 교직만족도 비교 분석. 교사교육연구, 57(1), 1-15.
3. 김주영, 장재홍, 박인우. (2017). 학생들이 인식하는 교사특성이 학생들의 수업태도, 자기주도학습,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중등교육연구, 65(4), 731-758.
2. 장지윤, 박인우, 장재홍. (2017). EBS 방송 시청이 인문계 고등학생의 사교육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문제연구, 35(3), 129-150.
1. 장재홍, 박인우. (2017). SNS 활용 수업에서 학습자 상호작용,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인지된 학습성과 간의 구조 관계 분석. 교육문제연구, 30(3), 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