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스케일 구조재료 연구실은 차세대 구조재료를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차세대 구조재료라 함은 전통적인 구조재료로서의 역할 뿐 아니라, 친환경, 초경량, 자기치유 또는 자기 센싱기능을 탑재한 다양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된 재료를 말합니다. 현재 수행중인 연구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으며, 궁극적으로는 탄소중립2050에 기여하고 더욱더 지속가능하고 안전한 사회기반시설 및 스마트 도시를 구축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 탄소중립2050 관련 연구 (Research for Carbon Neutrality 2050) >
탄소중립2050달성을 위한 이산화탄소 저감 및 더 나아가 이산화탄소 저장/활용 (CCS & CCU)이 가능한 친환경 구조재료 개발 및 상용화
광물탄산화 (Mineral Carbonation)를 통한 이산화탄소 감축기술 국제표준 (ISO) 개발 및 국내외 탄소배출권 확보 전략 연구
CO2 반응경화 구조재료 개발 및 CO2 흡착 구조재료 개발
CCUS 관련 기술 소개 자료 (SNU Innovations)
< 고급 재료 분석 기법 개발 및 적용 (Advanced Material Characterization) >
라만 매핑, 3차원 마이크로 시티, 수화열 분석, 및 엑스선회절기법과 같은 고급재료분석기법을 통한 혼화제/재 화학 반응 분석
다양한 기능성 나노소재 (탄소나노튜브) 및 섬유소재 (강섬유 및 폴리머계 섬유) 의 매트릭스 내 분산성 평가
< 차세대 기능성 촉매/혼화제/혼화재 개발 (Development of Next-generation Functional Catalyst & Various Admixtures) >
구조재료용 촉매 개발 및 상용화 (강도증진용, 석회석 혼합시멘트 (Portland Limestone Cement, PLC) 용)
탄소중립형 촉매 개발 및 상용화 (비시멘트 대체재 (Non-Supplementary Cementitious Materials, Non-SCM)용 - 페로니켈슬래그, 제강슬래그)
순수 상재료 (Alite, Belite, Layered Double Hydroxides (LDH) 등) 합성 및 적용
<기술이전 및 상용화 단계 연구 (Research for Technology Transfer) >
차세대 구체방수제 (Water-proofing agent) 개발
중공입자 합성을 통한 고성능 인공 경량 골재 대량 생산 기술 및 바텀애시와 같은 산업부산물을 활용한 친환경 인공골재 개발
현장 단위수량 신속 측정 / 콘크리트 강도 발현 측정을 위한 차세대 콘크리트 스마트센서 개발
Research Summary using Raman microspectroscopy
Research Summary using Micro-Computed Tomography (CT)
Scientific hydration analysis of cement-based materials: (a) OPC KS type 1, (b) Enhanced OPC by organic catalyst
Catalytic Mineral Carbonation based Carbon Capture and Utilization (CCU) Technology for Carbon Neutrality 2050 (SNU Innovation news)
In-situ Raman spectromicroscopy analysis (Ettringite formation)
Time & Spatially resolved hydration analysis by In-situ Raman spectromicrosco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