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2. 역대 국가 목록
2.2.1. 주요 국가
2.2.2. 불확실 국가, 비주요 국가
2.8. 참고
3. 관련 민족
3.1. 주류 민족
3.2. 비주류 민족
4. 한국의 인물
4.1. ㄱㄴㄷ순
4.1.1. ㄱ
4.1.2. ㄴ
4.1.3. ㄷ
4.1.4. ㄹ
4.1.5. ㅁ
4.1.6. ㅂ
4.1.7. ㅅ
4.1.8. ㅇ
4.1.9. ㅈ
4.1.10. ㅊ
4.1.11. ㅋ
4.1.12. ㅌ
4.1.13. ㅍ
4.1.14. ㅎ
4.2. 한국의 왕사(王史)
4.3. 대한민국 대통령 일람
5. 사건
5.4. 근대
5.4.2.1. 독립운동
5.5. 현대
6. 정치, 군사적 세력, 단체
6.1. 전근대
6.2. 근대
6.3. 현대
7.1. 교육
7.2. 언론
7.3. 문화 단체
7.4. 문화 산물
8. 국가, 단체, 기구, 회사
9. 관련 매체
10. 사료, 사서
10.1. 역사서
10.1.1. 현존하지 않는 사서
10.1.2. 미확인된 역사서
10.2. 역사 관련 서술
11. 역사학 관련
11.1. 학설
11.2. 사관
11.3. 북한의 한국사 연구
12. 둘러보기
한국의 역사에 관련된 인물, 사건 등을 정리한 곳이다. 지켜야 할 형식은 기본적으로 역사 관련 정보와 같다. 인물은 가나다 순으로, 사건은 연대 순으로 배열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군왕검
2.2.1. 주요 국가
고구려 장군총
신라 월성 복원도
부여군 백제문화단지의 사비성 복원 건축물
가야의 철제갑옷
마한 토기 유물
탐라국 토기 유물
부여 (BC 2c ~ 494)
북부여
동부여
동예 (BC 3c ~ AD 3c)
고구려(고려)[7] (BC 37 ~ 668.9.21): 삼국시대 당시 영토가 가장 넓었던 국가이다. 삼국 중 체제 정비가 가장 빨랐으며, 이후 5세기 광개토대왕과 장수왕 대에 전성기를 맞아 한반도 북부와 만주, 연해주 일부에 이르는 광대한 영토를 영유했다.
백제 (BC 18 ~ 660.8.29): 삼국 중에서 가장 먼저 전성기를 맞이한 국가이다. 왜(야마토)와의 교류가 활발하여 왜의 정치적, 문화적 발전에 많은 영향을 주기도 했다.[8]
신라 (BC 57 ~ 936.1.8): 문헌상으로는 성립시기가 가장 이른 국가이며 가장 늦게 전성기를 맞이한 국가이다. 한반도의 국가 중 최초로 통일을 이룩한 국가이다. 단 발해[9]라는 또다른 한국의 왕조가 통일신라와 동시대에 존재했고, 신라의 통일 자체도 불완전했다는 평가가 많아서 통일신라를 한국 최초의 통일국가로 평가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역사학자 사이에서도 의견이 분분하다.
2.2.2. 불확실 국가, 비주요 국가
석굴암
중국 지린성에 위치한 발해 영광탑 유적
러시아 연해주에 위치한 발해 온돌 유적
후백제 견훤이 유폐되었던 김제 금산사
칠장사 벽면에 그려진 태봉 궁예 초상화
관경서분변상도에 묘사된 고려시대 건축물
안동 봉정사 극락전의 단청과 공포
고려 금동십일면천수관음보살좌상
고려 (918.7.25 ~ 1392.8.5)918년. 태조 왕건이 역성혁명으로 궁예가 세운 태봉을 멸망시키고 건국한 왕조 국가이다. 고씨 고려의 계승을 천명하며 국호를 고려라 정하고 이후 후삼국을 통일하고 중앙집권 체제를 이루었다. 거란과 여진 등 북방민족과의 전쟁을 승리로 이끌고 고려청자와 팔만대장경, 직지심체요절 등의 찬란한 문화유산을 남겼다.
아라비아 등 서역의 상인들까지 포함하는 활발한 대외 교류가 있었으며 현재 대한민국의 영문 로마자 표기인 '코리아(Korea/Corea)'의 유래가 되었다. 시기 구분은 초기의 호족, 전기의 문벌귀족, 중기의 무신정권, 후기의 권문세족, 말기의 신진사대부 집권기로 나뉜다.
조선시대 시가지
조선의 선비
경복궁
조선 (1392.8.5 ~ 1897.10.12)[10]
1392년. 태조 이성계가 역성혁명으로 고려를 멸망시키고 건국한 한국의 근세 왕조국가이다. 약 500년간 왕조가 지속되며 유교(성리학) 중심의 체계적인 중앙집권 양반 관료제를 이루었고 많은 독자적 문화와 유적을 꽃피웠다.
한국의 마지막 전근대 왕조국가이다.[11] 시기 구분은 크게 양란(임진왜란, 병자호란)을 기준으로 전/후기로 나누고 강화도 조약 이후를 근대로 평가한다. 한편 100년 단위로 구분할 경우 15세기의 체제 정비기 (1392~1498), 16세기의 사화 시기 (1498~1592), 17세기의 붕당 시기 (1592~1694), 18세기의 탕평 시기 (1694~1800) , 19세기의 세도정치 (1800~1862)와 구한말 (1862~1897)로 나누곤 한다.
임진왜란(1592-1598): 일본과 조선의 7년간의 전쟁이다.
구한말의 모습을 담은 영상
대한제국 선포와 황제 즉위식이 거행된 환구단
일제강점기 최대 번화가인 경성 본정[12]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한제국 (1897.10.12 ~ 1910.8.29): 조선시대 최후의 왕조국가
조선인민공화국
미군정의 시작
대한민국 정부수립
북한 인민대학습당[13]
제6공화국 수립 이후 사용되었던 청와대 본관[14]
대한민국 제1공화국 (1948.8.15 ~ 1960.6.15)
이승만 정부 (1948.7.24 ~ 1960.4.26)
허정 과도정부 (1960.4.27 ~ 1960.8.18)
대한민국 제2공화국 (1960.6.15 ~ 1961.5.18)
장면 내각 (1960.8.19 ~ 1961.5.18): 대한민국 유일의 의원내각제 체제
5·16 군사정변 (1961.5.19 ~ 1963.12.16)
국가재건최고회의 (1961.5.19 ~ 1963.12.16)
대한민국 제3공화국 (1963.12.17 ~ 1972.12.26)
박정희 정부 1기 (1963.12.17 ~ 1972.12.26)
대한민국 제4공화국 (1972.12.27 ~ 1981.2.24)
박정희 정부 2기 (1972.12.27 ~ 1979.10.26)
최규하 정부 (1979.12.6 ~ 1980.8.16)
하나회 군정 (1980.8.17 ~ 1981.2.24)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1980.8.17 ~ 1980.8.26)
전두환 정부 1기 (1980.8.27 ~ 1981.2.24)
대한민국 제5공화국 (1981.2.25 ~ 1988.2.24)
전두환 정부 2기 (1981.2.25 ~ 1988.2.24)
대한민국 제6공화국 (1988.2.25 ~ 현재)
노태우 정부 (1988.2.25 ~ 1993.2.24)
문민정부 (1993.2.25 ~ 1998.2.24)
국민의 정부 (1998.2.25 ~ 2003.2.24)
참여정부 (2003.2.25 ~ 2008.2.24)
고건 권한대행 체제[16] (2004.03.12 ~ 2004.5.14)
이명박 정부 (2008.2.25 ~ 2013.2.24)
박근혜 정부 (2013.2.25 ~ 2017.3.10)
황교안 권한대행 체제[17] (2016.12.10 ~ 2017.5.9)
문재인 정부 (2017.5.10 ~ 2022.5.9)
윤석열 정부 (2022.5.10 ~ 현재)
한덕수 권한대행 체제 (2024.12.14 ~ 2024.12.27)
최상목 권한대행 체제 (2024.12.27 ~ 2025.03.24)
한덕수 권한대행 체제 (2025.03.24 ~ 현재)[18]
소련군정 (1945.10.3 ~ 1946.2.15)
북조선인민위원회 (1946.2.16 ~ 1948.9.9)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948.9.9 ~ 현재)
선비 - 거란 - 몽골(거란은 지금의 평안도 북부를 주로 점령하여 지배했으나 고려에 의해 압록강 하류를 내놓게 되었고, 몽골은 평안도와 함경도, 제주도를 일시 지배하다가 고려가 재탈환했다)
읍루 - 물길 - 말갈 - 여진 - 만주족(지금의 평안도 북부, 함경도 대부분을 점령하여 지배했고, 때때로 동해안 일대들을 침공했지만 훗날 윤관이 쌓았던 옛 9성들을 되찾아 압록강, 두만강 이북으로 축출했다)
한국의 인물 관련 정보입니다. 논란이 끝난 사망한 정치적 인물 위주로, 가능하면 항목이 있을 때 추가해주세요.
4.1.1. 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