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학년~
전공수업
신호처리이론: 미적분학 공부하기.
콜라주 5주 끝나고 신호처리 교수님께 신호처리이론 수업에 관해서 공부하는 방법,신호처리 임베디드 프로그래밍과의 연계(왜 선수과목인지?)와 신호처리 공부를 어떻게 하면 따라갈 수 있는지 상담하고 콜라주가 끝나면 월요일 오후마다 신호처리에 대한 공부를 한다.(신호처리 수강생의 도움을 받는다)
여름방학: 토익 or 토스 ,,, 준비 및 점수 맞추기
최대 800점 으로 함
졸업작품 or 졸업논문
지도교수님의 네트워크 관련 스터디 참가요청 후
승인되면 스터디와 함께 졸업 논문 준비
학과 사무실 or 지도교수님께 정보통신공학과 졸업작품 자료를 빌려 읽어서 졸업작품의 방향성 정함.
공모전 사이트에 들어가서 전공 관련된 주제를 메모하고 흥미로운 주제 2가지 정도를 골라서 공모전 참여, 이를 통해 졸작을 만드는데 도움을 받는다.
임베디드 기사 자격증 준비
관련 교수님과 상담을 통해 취업전망이나 선배들의 사례에 대해 여쭤본다.
자격시험 출제기준을 보고 필요한 분야 공부를 한다.
(필기)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중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멀티미디어 프로그래밍, 개발 방법론
(실기)임베디드 펌웨어,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의 임베디드 프로그램 작성하기 부분의 C++, java 이용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알아보기.
4학년~
1학기: 졸업학점을 채워가면서 3학년 2학기때 정한 전공에 관한 지식을 쌓는다.
면접 준비
면접에서 물어보는 전공지식이 생각보다 중요하다. 거창한 기술 말고 기본적인 전공을 잘 숙지하고 대답할 수 있도록 한다.
전자회로면 트랜지스터의 역할은 무엇? 임피던스는 무엇? 시상수의 식은 무엇?
디지털 공학이면 조합논리회로와 순차논리회로는 무엇이며 무엇이 속해있는지,
레지-트랜스퍼 논리는 수업시간이 부족해 진도를 나가지 않았으므로 따로 공부하면 좋다.(디지털공학에 흥미가 있을시)
졸업작품을 만들었을시에 자기소개서의 하고 싶은 말 부분에 졸업작품을 위해 전부터 했던 내용을 서술한다. 따라서 면접에서 물어볼 수 있게(서류 심사 합격 할 수 있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