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교육연구단에 참여하는 교수님과 대학원생 연구진의 우수한 연구를 소개합니다. 우리 교육연구단에서 어떠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지 둘러보고 내 연구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거나 또는 협업 연구의 가능성을 발견하는 것도 좋겠습니다.

2023학년도 제8회 석탑연구상 수상

고려대학교에서는 탁월한 연구 성과로 연구력 향상에 기여한 교원을 대상으로 2016년부터 석탑연구상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의 질과 양, 그리고 교외연구과제 간접비 기여액 등을 평가하여 평가계열별 상위 3%에 속하거나 N.S.C(Nature, Science, Cell) 논문 게재 주저자, 국제협력 논문 다수 게재 주저자 또는 교외연구과제 간접비 기여액이 분야에서 가장 많은 교원을 선정합니다.

이에 우리 교육연구단 참여교수인 김경해 교수(간호학과)와 장성옥 교수(간호학과)가 2023학년도 제8회 석탑연구상 수상자로 선정되었습니다.

김경해 교수(간호학과)

장성옥 교수(간호학과)

2023학년도 제2회 석탑국제협력상 수상

최재욱 교수(의학과)

석탑국제협력상은 지난 1년 간 국제화 관련 프로그램을 신설(또는 운영), 국제화 지표 개선, 국제기구 관련 활동, 국제교육 인증, 글로벌 네트워크 확대, 해외 공동 교육 내지 연구 기회 확대 및 그 외 국제화에 탁월한 기여를 한 분들에 대한 소속대학(원)의 추천을 받은 후, 심사를 거쳐 수상자를 선정하였습니다.


제2회 석탑국제협력상 수상자로 러닝헬스시스템융합교육연구단 참여교수인 최재욱 교수(의학과)가 선정되었습니다.

교육연구단 참여인력 우수 연구 소개

안준용 교수(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Augmentation of the RNA m6A reader signature is associated with poor survival by enhancing cell proliferation and EMT across cancer types. Experimental & Molecular Medicine, 54(7), 906-921 (IF: 12.172, JIF: Q1, 6.9%, JCI: Q1, 9.78%). 

현재까지 세포 수준에서의 m6A 변화는 여러 암종에서 관측된 바 있으나, 공통된 특징은 밝혀지지 않았음. 본 연구는  RNA modification인 m6A의 변화와 여러 암종의 예후 간 상관관계를 밝힘.

다수의 암종에서 m6A 관련 유전자 중 reader group에 속하는 유전자의 발현량과 생존률 사이 상관관계 및 암세포 특이적인 발현 양상을 밝힘으로써 암치료의 새로운 바이오마커 및 치료제 타겟을 제시함.

송준아 교수(간호학과)

The competence scale in managing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CS-MBPSD) for family caregivers: Instrument development and cross-sectional validation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129, 104205 (IF: 6.612, JIF: Q1, 0.4%, first in nursing, JCI: Q1, 0.28%, first in nursing).

본 연구는 Nursing 분야 125개 저널 중 IF 1위 (JCR IF 6.612)인 저널에 게재된 논문으로 치매환자를 돌보는 가족의 치매환자 행동심리증상 대처 역량을 평가하기 위한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음. 

치매환자 행동심리증상은 가족뿐만 아니라 전문적 건강관리 종사자도 대처하기 어려워하는 증상으로 이에 대한 대처 역량을 향상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지만 기본적인 역량평가 도구가 없어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의 계획 및 효과 평가도 간접적으로 평가하여 적용하고 있는 것이 현 실정임. 본 도구는 국문과 영문으로 개발되었으며, 현재 중국어, 터어키어 등 외국에서 번역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중이며, 추후 임상현장 및 연구에서도 환자 및 가족을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음.

김혜영 교수(보건정책관리학부)

Association of periodontitis, missing teeth, and oral hygiene behaviors with the incidence of hypertension 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in Korea: A 10-year follow-up study. Journal of Periodontology, 93(9), 1283-1293 (IF: 4.494, JIF: Q1, 12.5%, JCI: Q1, 2.5%).

본 연구는 Dentistry, Oral Surgery & Medicine 분야 5년 평균 상위 10.326% Q1 저널인 Journal of Periodontology (5년 IF: 5.277, WoS)에 게재된 연구로, 뇌졸중과 허혈성 심장질환의 주요 원인인 고혈압 발생과 치주질환의 인과관계를 밝혀 전신질환과 구강질환의 통합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맞춤형 헬스케어의 계획에 참고할 수 있다는 성과가 있음.

기존 관련 코호트연구들에 비하여 인구 대표성에 기반한 대규모 코호트연구로서 넓은 연령대의 표본에 임상적인 진단도구를 사용하여 10년 가량의 장기간 연구를 수행하여보다 신뢰성있는 실증적 증거를 제공하였다는 탁월한 성과를 보임.

양정연 박사(보건과학과 졸업)

Digital healthcare for dementia and cognitive impairment: A scoping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104413. (IF: 6.612, JIF: Q1, 0.4%, first in nursing, JCI: Q1, 0.28%, first in nursing).

This is the first study to examine the various types of digital technology for cognitive impairment, summarizing the distinct properties of each technolog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ervice users and outcome measures.

This study identifies the types of digital healthcare technology for dementia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comprehensively examine how its outcome measures were constructed in line with each technology’s purpose. This study identified the advantages and barriers of each technology and emphasized the need for a convergent perspective between various technologies for effective intervention in people with cognitive impairment. This study revealed that appropriate technology options and considerations may differ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users. It also emphasizes the role of humans in designing and managing technology to apply digital healthcare technology more eff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