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PipelineIO

(Project Mangement Solution)

OpenPipelineIO는

ASWF 오픈소스 도구 및 여러 API를 연결하여 프로젝트를 관리할 수 있는 

오픈소스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솔루션 입니다.

여러분의 환경에 따라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

Intranet

보안을 위해 사내 환경에

설치할 수 있습니다.

Extranet

자사 + 협력사를 위해 Extranet 환경에

구축할 수 있습니다.

Cloud

특정 클라우드 기술을 사용하지않습니다.

하시는우드 서비스에 설치할 수 있습니다.

정보 입력을 위해 오직 웹 브라우저만 필요합니다.

다른 입력기가 필요없이 웹을 통해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웹에서 정보의 입력을 도와주는 단축키 기능이 있습니다.

검색 엔진 방식의 관리툴


검색어를 이용해서 프로젝트를 관리합니다.

자신의 이름만 입력하면 자신이 작업물을 손쉽게 볼 수 있습니다.

사내 교육 시간이 짧고 사용법이 쉽습니다.

태그 매니징

태그를 이용해서 샷 또는 에셋을 분류하고 정리할 수 있습니다.

태그 시스템을 이용해서 회의전 샷, 에셋을 분류하여 효율적인 회의가 될 수 있도록 만들 수 있습니다.

회의시 해당 태그만 클릭해서 샷 분석, 조직별 회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썸네일 정보

아티스트들이 썸네일만 보더라도 상당히 많은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디자인했습니다. 사용할 소스, 리타임 여부, 마감일, 렌더사이즈, 시간정보, LUT여부등 많은 정보들이 시각화 되어있습니다.

여러 파일을 Import / Export 할 수 있습니다.

Excel

CSI 정보를 몇번의 클릭으로 손쉽게 엑셀파일로 만들 수 있습니다.


CSV

Ascii, CSV 파일을 손쉽게 Export 할 수 있습니다.

JSON / BSON

개발자가 분석 또는 자료구조로 사용할 수 있는 포멧을 지원합니다.

Gantt Chart

간트챠트를 이용해서 일정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리뷰기능

아티스트가 올린 동영상을 웹에서 간편하게 컨펌할 수 있습니다.

*인트라넷 상황에서 효율적인 속도가 나옵니다.

Status 관리

회사에서 사용하는 Status의 상태를 자유롭게 추가, 삭제할 수 있습니다.


Task / PipelineStep 관리

조직에서 사용하는 Task의 상태를 자유롭게 추가, 삭제할 수 있습니다.

퍼블리쉬 관리

팀에서 만든 데이터를 다른팀이 어떻게 사용해야하는지 경로를 알 수 있는 Publish 데이터 위치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조직관리 기능

조직을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사용자 계정 관리 / 권한 관리

조직 관리(부서, 본부, 팀, 직책, 직급)가 가능합니다.

프로젝트 관리 기능

프로젝트 정보를 입력, 관리할 수 있습니다. ACES OpenColorIO 설정을 지원합니다.

파일 관리 기능

인트라넷에서 아티스트를 위해 웹파일 시스템, 웹 프로토콜을 지원합니다.

Web File System

샷, 에셋의 Task를 클릭

웹용 파일 브라우저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회사별로 개발이 필요합니다.

프로토콜

해당 샷에 대한 데이터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RV Player, Djv2 player, PD Player 등 연결이 가능합니다.

*회사별로 개발이 필요합니다.

슈퍼바이저를 위한 현장 데이터 연동

아이패드 VFX Onset툴 Satellite3 와 연동됩니다.

Satellite3 iPad

iPad용 현장 정보 수집툴 Satellite3 와 연동됩니다.

OpenPipelineIO 동기화

상단 메뉴에서 Satellite CSV 정보를 업로드 할 수 있습니다.


개발자를 위한 기능

개발자를 위한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솔루션 세부정보를 소개합니다.

오픈소스 입니다.

버그, 장애가 있더라도 소스코드 전체를 볼 수 있기 때문에 버그를 손쉽게 수정하고 대응할 수 있습니다.

BSD 라이센스를 따르고 있기 때문에 기업이 자유롭게 원하는 형태로 사용 가능합니다.

하나의 바이너리로 배포

약 28메가의 파일 하나만 필요합니다.

툴 내부에 필요한 모든 리소스가 한 파일에 전부 포함되어 배포됩니다. 리소스가 흩어져서 배포되지 않습니다. 이 특징으로  배포가 용이하고 버그 또는 실행관련 파일의 범위가 하나의 바이너리 파일안에서 작동되기 때문에 문제점 발생시 빠른 추론이 가능합니다. 버그의 범위(Scope)가 제한적이라서 빠른 디버그가 가능합니다.

REST API 지원

여러 그래픽스 툴에서 정보를 입출력 할 수 있도록 RestAPI를 지원합니다. Nuke, Maya, Max, Houdini, Blender등의 툴과 Python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보안 및 TOKEN

토큰을 이용해서 사용자 계정별로 보안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Github Action 연동

코드가 제안되면 자동으로 가상서버가 만들어져서 테스트가 이루어집니다.

로그 관리

CSI에 일어난 이벤트에 대한 로그 서버가 운용됩니다.

NoSQL 방식의 mongoDB를 사용합니다. 

NoSQL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관계 데이터를 모델링하는 것이 SQL 데이터베이스 보다 쉽습니다.

관련 데이터를 테이블 간에 분할할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자주 바뀌는 콘텐츠 제작환경에 잘 맞는 특징이라 생각하며 도입하였습니다.

NoSQL 데이터 모델을 사용하면 관련 데이터를 단일 데이터 구조 내에 중첩시킬 수 있습니다 .

콘텐츠 제작에 사용하는 자료구조가 갑자기 발생하더라도 몇일~몇주내로 해당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기능 제작에 용이합니다.

기술지원

hello@lazypic.org 으로 연락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