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연, 이창수, 김희철*, 2025. "사회적 여건 및 정책변화에 따른 리츠(REITs) 관련 연구경향과 리츠 실적변천에 관한 연구",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in press)
Yein Ha and Heechul Kim*, 2025. "COVID-19 and Urban Vitality: The Association Between Built Environment Elements and Changes in Local Points of Interest Using Social Media Data in South Korea", Sustainable Cities and Society, 123 (106271) (SCIE) doi.org/10.1016/j.scs.2025.106271
Heechul Kim*, 2024. "Walkable urban configurations: A comprehensive typology and analysis of built environment factors influencing pedestrian activity", International Journal of Sustainable Building Technology and Urban Development, 15(1):57-67. (Scopus) doi.org/10.22712/susb.20240005
Minkyung Park and Heechul Kim*, 2023. "Interaction of Urban Configuration, Temperature, and De Facto Population in Seoul, Republic of Korea: Insights from Two-Stage Least-Squares Regression Using S-DoT Data", Land, 12(12):2110. (SSCI) doi.org/10.3390/land12122110
Heechul Kim and Sungjo Hong*, 2022. "Relationship between Land-Use Type and Daily Concentration and Variability of PM10 in Metropolitan Cities: Evidence from South Korea", Land, 11(1):23. (SSCI) doi.org/10.3390/land11010023
YunJung Choi and Heechul Kim*, 2021. "Fashion Street Competitiveness in a Downtown Area of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 Case Study on Mokpo",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and Fashion, 21(2):19-30. (KCI) doi.org/10.7233/ijcf.2021.21.2.019
Seungho Yang and Heechul Kim*, 2021. "Urban digital twin applications as a virtual platform of smart city", International Journal of Sustainable Building Technology and Urban Development, 12(4):636-379. (Scopus) doi.org/10.22712/susb.20210030
Heechul Kim and Sungjo Hong*, 2021. "Differences in the Influence of Microclimate on Pedestrian Volume According to Land Use", Land, 10(1):37 (SSCI) doi.org/10.3390/land10010037
김희철 and 한수미*, 2020. "Text Mining Online-Crowdsourced Suggestions for Urban and Regional Planning", 기술혁신학회지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23(6):1159-1182. (KCI) doi.org/10.35978/jktis.2020.12.23.6.1159
Sungjo Hong, Ihl Kwon, Bumhyun Lee, and Heechul Kim*, 2019. "Indicators and Assessment System for Sustainability of Municipalities: A Case Study of South Korea’s Assessment of Sustainability of Cities", Sustainability, 11(23):6611. (SSCI) doi.org/10.3390/su11236611
김대인 and 김희철*, 2019. “도시공원 일몰제 대응 공원녹지 조성을 위한 이용권 분석의 적용과 활용방안”, 도시설계, 20(4):39-56. (KCI) doi.org/10.38195/judik.2019.08.20.4.39
Heechul Kim and Seungho Yang*, 2017. “Neighborhood Walking and Social Capital: The Correlation between Walking Experience and Individual Perception of Social Capital”, Sustainability, 9(5):680. (SSCI) doi.org/10.3390/su9050680
김희철 and 홍성조*, 2015 "신성장동력산업의 입지현황 및 집적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7(4):65-88. (KCI)
김희철, 안건혁 and 권영상*, 2014. "개인의 보행확률에 영향을 미치는 거주지 환경요인", 도시설계, 15(3):5-18. (KCI)
이승훈*, 김희철 and 안건혁, 2013. "창작클러스터 내 네트워크 수준과 그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도시설계, 14(3):29-44. (KCI)
김희철*, 이한울 and 안건혁, 2013. "해외 수변공간 개발에서 나타나는 유형별 계획특성", 도시설계, 14(2):81-98. (KCI)
김희철 and 안건혁*, 2012. "연결망 이론으로 본 인구, 고용, 사회적 자본과 서울 대도시권 중심성 사이의 관계 ", 국토계획, 47(3):105-122. (KCI)
김희철* and 안건혁, 2011. "이주회로별 수도권 외국인 거주지역 공간분포와 영향요인", 국토계획, 46(5):233-248. (KCI)
김희철* and 안건혁, 2011. "압축도시 계획요소가 소득계층별 통근거리에 미치는 영향", 도시설계, 12(1):55-70. (KCI)
김승남*, 김희철 and 안건혁, 2009. "유류가격이 통근거리 및 통근시간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44(7):153-169. (KCI)
하예인* & 김희철. 2023.10.11. "1기 신도시의 도시 활력 진단과 도시 활력을 위한 계획 요소 : VIIRS 야간 위성 이미지를 활용하여", 2023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 대한교통학회 추계학술대회, 부산: 벡스코.
박연수* & 김희철. 2023.10.11. "1인가구 고독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주거 및 커뮤니티 모델", 2023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 대한교통학회 추계학술대회, 부산: 벡스코. (poster session)
박민경* & 김희철. 2022.10.22. "도시 가로의 열환경, 유동인구와 도시형태 사이의 관계 - 2SLS 회귀분석과 S-Dot 데이터를 활용하여", 2022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대회, 대전시립미술관+하이브리드.
하예인* & 김희철. 2021.10.14. "도시 교통사고 위험 영향요인과 위험지역 평가모형 구축-대전시 사례연구", 2021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대회, 제주: 제주한라대학교 컨벤션센터.
하예인* & 김희철. 2020.11.07. "코로나19와 핫플레이스-소셜미디어 데이터 탐색적 분석을 통한 지역의 관심밀도 변화양상", 2020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대회, 온라인개최.
문혜림* & 김희철. 2020.11.07. "미세먼지 측정소 주변 토지이용 유형별 미세먼지 분포의 차이", 2020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대회, 온라인개최.
장형진* & 김희철. 2020.11.07. "전염병과 도시활력의 관계: Covid-19와 서울시를 중심으로", 2020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대회, 온라인개최.
이종표* & 김희철. 2020.11.07. "도시 공간특성과 정당지지 사이의 관계: 21대 국회의원 총선 서울지역을 대상으로", 2020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대회, 온라인개최.
Y. Jeon*, Y. You and H. Kim. 2016.03.17. “Housing Abandonment in Incheon, South Korea and the Resident’s Perception on Abandonment”, the 46th Urban Affairs Association Annual Meeting, San Diego, CA, USA, March 16-19.
H. Ji*, S. Cho and H. Kim. 2016.03.18. “Social Cohesion in the Urban Space of Kampung Kauman in Semarang, Indonesia”, the 46th Urban Affairs Association Annual Meeting, San Diego, CA, USA, March 16-19.
D. Choi*, S. Won, and H. Kim. 2016.03.18. “Social Justice and the Privatization of Sidewalks in Da Nang, Vietnam”, the 46th Urban Affairs Association Annual Meeting, San Diego, CA, USA, March 16-19.
H. Kim* and K. Ahn, 2011. “The Relation among population, jobs and Centrality by Travel Network, using a social network analysis in Seoul Metropolitan Area, 1996-2006”, the 22nd Pacific Conference for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International, Seoul, South Korea, July 3-6.
H. Kim*, H. Lee, S. Lee and K. Ahn., 2011. “Analysing Planning Characteristics of Abroad Waterfront Development Types”, 2011 Spring Conferenc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Apr 9.
H. Kim* and K. Ahn, 2010. “The Effects of Population and Job changes on Centraliti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2010 Autumn Conferenc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Korea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Oct 30.
H. Kim* and K. Ahn, 2009. “The Effects of Compact City Planning Elements on Commuting Distance of different Income Levels”, The 14th Inter-university Seminar on Asian Megacities, National Taiwan University, Taipei, Taiwan, Mar 12-13.
H. Kim* and K. Ahn, 2008. “The Effects of Mixed-Use Elementary School Characteristics on Local Residents' Satisfaction”, The 13th Inter-university Seminar on Asian Megacities,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Diliman, Quezon, Philippines, Mar 14-16.
(PI) 2024 "군공항 인접 노후계획도시의 도시기능 강화를 위한 지원 정책 방안 연구", 경기도의회 정책연구용역
2023-2024 "미래 첨단기술 확산에 대비한 신도시 계획 기준 연구 용역", LH한국토지주택공사
2022-2023 "신체활동 증진을 위한 건강도시 조성 모델수립 연구용역", LH한국토지주택공사
2022-2026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을 활용한 도시계획기술 개발",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2022 "평택 도시기본계획(일부변경) 및 도시관리계획 변경 용역", 평택시
2021-2022 "환경 에너지 분야 스마트도시 서비스 인증기준 개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21-2022 "분당벤처밸리 활성화 방안 마스터플랜 수립", 성남시
(PI) 2021-2024 "15분 도시 조성을 위한 도시형태 특성과 공간계획 방향 (Urban Form Factors and Planning Strategis for the Creation of the 15-minute City)", 한국연구재단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PI) 2020 "건축물 데이터 통합 및 분석 용역 (Data Integration and Analysis of Buildings and Energy Consumption)", 국토연구원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PI) 2018-2021 “딥러닝을 이용한 보행환경 평가모형 개발과 적용 (Deep Learning used Urban Walkability Evaluation Model Development and its Application)”, 한국연구재단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PI) 2018-2021 “장소 만들기를 위한 지역 인문 빅데이터 구축과 텍스트 마이닝 활용방안 (Local Human Big Data Building and Text Mining for Place Making)”, 한국연구재단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2018-2021 “미세먼지 적응대책 마련을 위한 시민 생활 영향 연구 (Impacts of particulate matter on citizen life for establishment of adaptation strategies)”, 한국연구재단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2018-2019 “무안군 갯벌도립공원 탐방다리 건립공사 타당성 조사 용역 (Feasibility study for Muan Mudflat Provincial Park)”, 무안군 Muan-Gun, Jeollanam-do
2018-2019 “첨단농업복합단지 후보지 선정 및 기본계획 수립용역 (Location Selection and Master Plan of Advanced Agricultural Complex)”, 무안군 Muan-Gun, Jeollanam-do
(PI) 2017-2019 “도시공원 일몰제 대응 공원녹지 조성을 위한 이용권 분석의 적용과 활용방안 (Spatial Analysis and Strategies with Concept of Catchment Areas to Create City Parks for Everyone Against Lifting of City Parks)”, 목포대학교 Mokpo National University
(Participated as Postdoctoral Researcher)
(PI) 2015-2017 “보행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도시형태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urban form pattern for creating a pedestrian-friendly city", 한국연구재단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2015-2016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통합평가 모형요소 기술개발: 통합, 건강, 물관리 부문 Development of integrated model for climate change impact and vulnerability assessment : integration, water, health”, 환경부 Ministry of Environment
2014-2015 "소규모 건축물 리뉴얼 활성화 방안 연구 Strategy for activation of small-scaled building renewal”, 국토교통부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Participated as R.A. before getting Ph.D.)
2012-2013 "자전거 통학 시범학교 정책효과 검증 및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한 근린환경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ng the 'Bicycle Travel to School Pilot Program' and the bicycle-friendly neighbourhood characteristics", 한국연구재단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2012-2012 "동탄 테크노밸리 사업추진 전략수립 용역 Development of Implementation initiatives for the DongTan Techno-Valley project", 한국토지주택공사 Korea Land & Housing Corporation
2009-2010 "지속가능한 도시공간구조 및 도시성장 패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rban growth pattern & sustainable spatial structures", 한국연구재단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2009-2010 "도시개발 유형에 따른 강중심의 수변도시 모델 구상 Development of river-oriented waterfront development models by development types", 국토해양부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09-2010 "에너지 절약형 도시개발 기술 연구 A study on energy-efficient urban development techniques", 조창걸 CG. Cho
2007-2009 "입체 복합 공간 개발", 도시재생사업단 Korea Urban Renaissance R&D project,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저서 )
2023. 2부 1장 일상생활에서의 공간정보의 활용, 2부 5장 스마트시티, 디지털 트윈, 메타버스에서의 공간정보 활용, "공간정보의 이해와 활용: 점, 선, 면에서부터 스마트시티, 디지털 트윈, 메타버스까지", 서울:푸른길. (ISBN: 9788962910636)
(외부연구자로 참여한 보고서 )
2022. 해외 관광안내소 입지와 설치기준, 조성 체크리스트 사례연구, "관광안내소의 효과적 설치·운영을 위한 입지 및 공간 기준 연구", 건축공간연구원 AURI
2020. 건축물 에너지 데이터 및 연구방법론 구축, "건물 분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건물토지공간 활용 전략", 국토연구원 KRIHS
2020. 보행환경개선 해외 사례연구, "서울시 도로다이어트 사업의 성과 및 효과평가 연구 - 2018~2019년 사업 대상지를 중심으로-", 건축도시공간연구소 AURI
2020. 보행환경개선 해외 사례연구, "2019년 보행환경개선지구사업의 성과 및 효과평가 연구-행정안전부 및 서울시 사업 대상지를 중심으로-", 건축도시공간연구소 AURI
2018. 영국의 경쟁적 대화 절차 사례연구, "경제기반형 도시재생 활성화를 위한 민간-공공 협력체계 조기구축 방안 Early Participation of Private Sector in Planning Economy-based Urban Regeneration Projects", 토지주택연구원 Land and Housing Institute,
2017. 자율주행차 도입으로 인한 서울시 주차수요의 변화 분석, "차세대 교통기술 발전에 따른 건축 및 도시공간의 대응방안 연구 Architectural and Urban Implications of New Transportation Technology", 건축도시공간연구소 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
2017. 택티컬 어바니즘의 개념과 특징, "택티컬 어바니즘 기반의 가로활성화 방안 연구 Street Revitalization based on Tactical Urbanism", 건축도시공간연구소 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
2015. 개선대상 학교근린의 공간적 범위 설정기준 개발과 시범적용, "아동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학교근린환경 진단 및 개선연구 Diagnosis and Improvement of School Neighborhood for Creating Child-friendly Cities", 건축도시공간연구소 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
2014. 용도지역별 건축물 온실가스 배출 특성 분석 및 성능기준 마련, "용도지역제도를 고려한 건물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관리 정책 연구 Zoning Regulations and Greenhouse Gas Management Policies in Building Sector", 건축도시공간연구소 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
김희철. (2025). [발언과 논평] 지속가능한 일상 공간을 위하여. "건축", 69(4), 56-57.
이훈, 정광복, 박일석, 유미희, 송기한, 김희철, 이주아. (2022). Smart mobility 혁명, "도시정보", (486), 5-23.
2023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 우수상. 하예인, 김희철.
2021 -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 우수상. 하예인, 김희철.
2021 - LH공사 국토도시 데이터 분석 대전시 과제 입선. 하예인, 김희철.
2020 -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 우수상. 하예인, 김희철.
2020 -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 우수상. 장형진, 김희철.
2020 -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 우수상. 이종표, 김희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