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상법
디지털무역
서비스/ICT 무역정책
국제표준/ICT 기술표준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박사(국제통상법 및 통상정책 전공) - 2019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석사(국제통상 전공) - 2015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학사(사회학) - 2008
경북대학교 경상대학 부학장 / 경영대학원 부원장 / 무역학과장 / 경상대학 자율학부장 - 2025 ~ 현재
경북대학교 경제통상학부, 부교수 - 2021 ~ 현재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통상지원센터, 수석연구원 - 2019 ~ 2021
한국무역협회 통상지원단, 연구원 - 2018 ~ 2019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통상연구실, 연구원 - 2017 ~ 2018
(주) S-OIL 윤활사업부문 윤활운영팀 - 2008 ~ 2010
제60회 무역의 날 한국무역협회장상(특수유공자상) - 2023.12.5
제3회 무역기술장벽(TBT) 논문대회 일반부문 최우수상(국가기술표준원장상) - 2018. 12. 6 ("5G 시대의 사실표준화기구와 TBT협정과의 관계 - 3GPP와 TBT협정 제2.4조 해석을 중심으로")
제15회 대학(원)생 무역구제 논문 발표대회 대상(산업통상자원부장관상) - 2014. 11. 14 ("환율변동이 반덤핑조사과정에 미치는 영향 - WTO 반덤핑협정 제2.4.1조와 제3.5조를 중심으로")
"디지털통상의 변곡점: 미국의 데이터 규범지지 철회와 디지털통상의 미래", 무역통상학회지 제25권 제4호, 2025년 8월: 63~89.
"일보 진전을 위한 이보 후퇴: 클라우드 보안인증제도(CSAP)의 국제통상규범 합치성에 대한 연구", 국제경제법연구 제22권 제2호, 2024년 7월: 7~39.
"남미형 디지털통상규범 표준모델 설정을 위한 연구: CPTPP와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기주혜 공저), 통상정보연구 제26권 제2호, 2024년 6월: 95~119.
"전자적 전송물 관세 부과 정책에 관한 연구: 인도네시아 사례를 중심으로"(톡토굴로바 아셀 공저), 아태비즈니스연구 제15권 제2호, 2024년 6월: 283~298.
"미국의 신보호무역주의와 기업의 대응 전략에 대한 사례 연구: 한미 세탁기 분쟁 사건을 중심으로"(김민찬, 이수경, 최은서 공저), 경상논집 제48권 제1호, 2024년 2월: 3~22.
"EU 일회용 플라스틱 지침의 WTO TBT협정 합치성 분석: 해양 생분해플라스틱을 중심으로"(김경은, 이성욱, 황주리 공저), 경상논집 제48권 제1호, 2024년 2월: 23~40.
"전자적 전송물 무관세 모라토리움의 미래와 통상법적 쟁점에 대한 연구"(노재연 공저), 통상정보연구 제25권 제3호, 2023년 9월: 129~151.
"디지털 시대의 통상정책에 대한 연구: 전자적 전송에 대한 무관세 모라토리움을 중심으로", 국제통상연구 제27권 제2호, 2022년 6월: 1~24.
"TAPED를 활용한 글로벌 디지털무역규범의 형성과 아시아-태평양 지역무역협정의 역할에 관한 연구", 통상정보연구 제24권 제2호, 2022년 6월: 219~240.
"No More Strategical Neutrality on Technological Neutrality: Technological Neutrality as a Bridge between the Analogue Trading Regime and Digital Trade", World Trade Review 21(1), February 2022: 18-32.
"개별조사를 받지 아니한 기업에 적용될 덤핑마진율 산정 관행 비교연구"(심종선 공저), 『무역구제연구』, 통권 제61호, 2021년 5월: 37~66.
"코로나 19 이후 국제통상질서의 변화와 통상규범의 발전 방향에 대한 연구", 『통상법률』, 통권 제148호, 2020년 8월: 76~113.
"Trade Negotiations in the Digital Era: A Case of OTT Video Streaming Services" (co-authored by Minjung Kim), Global Policy 11(S2), July 2020: 14-22.
"Online Platform Providers in the Sharing Economy: Emergence of New Service Suppliers?" (co-authored by Nany Hur and Jeongjoon Park), Journal of World Trade 54(3), June 2020: 349-372.
"WTO 상소기구의 위기와 개혁방안에 대한 연구", 『무역학회지』, 제45권 2호, 2020년 4월: 177~189.
"No More Strategical Neutrality on Technological Neutrality: Technological Neutrality as a Bridge between the Analogue Trading Regime and Digital Trade", Paper presented at the Society of International Economic Law's Asian International Economic Law Network (AIELN) 6th Biennial Conference, Taipei, Taiwan, October 2019.
"Digital Trade in the Analogue Trading Regime: Three Essays on Digital Trade", Doctoral Thesis, GSIS, SNU, August 2019.
"5G 시대의 사실표준화기구와 TBT협정과의 관계 - 3GPP와 TBT협정 제2.4조 해석을 중심으로", 『국제경제법연구』, 제17권 1호, 2019년 3월: 113~147.
"FTA 체제 하 정보통신 기술표준화의 주요 쟁점과 정책적 시사점 : 기술선택의 유연성 조항을 중심으로" (박정준 공저), 『국제통상연구』, 제23권 제1호, 2018년 3월: 101~125.
"아날로그 체제 하의 디지털무역 - 디지털무역 자유화와 무역협정의 역할" (안덕근 공저), 『통상법률』, 통권 제131호, 2016년 10월: 51~90.
"디지털통상협정의 한국형 표준모델 설정 연구" (권현호, 이주형, 김민정 공저),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연구보고서 22-29, 2023년 5월.
"K-POP과 K-웹툰에 관세를?: 전자적 전송에 대한 무관세 논의 현황과 정책적 대응", KITA 통상리포트 제2호, 2021년 1월.
"코로나19 이후 통상 축의 이동 - 무역협회가 뽑은 2020-2021 통상이슈 TOP 7" (통상지원센터 공저), KITA 통상리포트 제16호, 2020년 11월.
"디지털 헬스케어 활성화를 위한 산업・통상전략-원격의료서비스를 중심으로" (이준명 공저), Trade Focus 제35호, 2020년 9월.
"백투더퓨처: WTO 상소기구의 위기와 개혁 논의", KITA 통상리포트 제2호, 2020년 3월.
"무역협회가 뽑은 통상이슈 TOP 7 - 2019-2020 통상이슈 점검 및 전망" (제현정・설송이・이원석・김정균・김경화・홍정완 공저), KITA 통상리포트 제4호, 2019년 11월.
"미일 무역협정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김정균 공저), KITA 통상리포트 제3호, 2019년 10월.
"한-중미 FTA 발효와 FTA를 활용한 수출 유망품목", KITA 통상리포트 제2호, 2019년 9월.
"2018년 통상이슈 점검 및 2019년 통상환경 전망" (제현정・설송이・박진우・이희성 공저), KITA 통상리포트 제27호, 2018년 12월.
"킥오프된 브렉시트 후반전 : 향후 통상관계 전망과 우리 기업의 유의사항", KITA 통상리포트 제26호, 2018년 10월.
"한국의 CPTPP 참여에 따른 영향 분석 및 시사점" (제현정・설송이 공저), KITA 통상리포트 제24호, 2018년 10월.
"일-EU EPA가 우리의 대EU 수출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박진우 공저), KITA 통상리포트 제21호, 2018년 8월.
"클라우드 컴퓨팅 시대 디지털통상규범의 필요성" (최재원 공저), KITA 통상리포트 제19호, 2018년 7월.
"기술패권을 둘러싼 미・중 간 통상분쟁 - 미 통상법 301조 대중 제재 품목 발표 및 시사점" (박진우 공저), KITA 통상리포트 제16호, 2018년 6월.
"디지털무역제한지수(DTRI)의 발표와 우리의 디지털무역정책에 대한 평가" (최재원 공저), KITA 통상리포트 제14호, 2018년 5월.
"USTR 국별 무역장벽보고서를 통해 본 주요국의 디지털무역장벽 현황 및 시사점", KITA 통상리포트 제10호, 2018년 4월.
"한-메르코수르 TA 추진 필요성과 수출 유망품목", KITA 통상리포트 제2호, 2018년 3월.
"제11차 부에노스 아이레스 각료회의(MC11) 전망 및 시사점", Trade Brief 제30호, 2017년 12월.
"한・아세안 FTA 10년의 발자취 - 경제적 성과와 FTA 활용 애로사항 분석을 중심으로" (김정덕 공저), Trade Focus 제24호, 2017년 6월.
"미국과 EU의 우회덤핑 방지규정에 대한 이해와 우리의 대응", Trade Focus 제22호, 2017년 6월.
"미국 통상정책에 나타난 공정무역(fair trade) 개념 검토 및 시사점", Trade Brief 제15호, 2017년 4월.
"한국무역 GATT 가입 50년의 성과와 도전" (이준원 공저), Trade Brief 제12호, 2017년 4월.
"디지털무역 규모의 측정", 『디지털통상론(디지털통상연구회)』, 박영사, 2024.
"전자거래의 원활화", 『디지털통상론(디지털통상연구회)』, 박영사, 2024.
『디지털통상협정 길라잡이: 기본개념과 용어 100선』, 산업통상자원부·한국표준협회, 2023.
"내 구름은 내가 지킨다?: 우리나라 클라우드 보안인증제(CSAP)의 명과 암", 『주요 이슈로 보는 디지털 통상 시대』, 산업통상자원부·한국표준협회, 2022.
"기술표준은 혁신의 마중물인가 장애물인가: WIPI를 둘러싼 한미 통상갈등과 아이폰의 나비효과", 『ICT 국제표준화 노하우 가이던스: 실전편 I 글로벌 표준화 문화 만나기』,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2021.
"넷플릭스, 너는 누구냐? 국경간 제공되는 OTT 서비스의 분류 문제", 『사례로 손쉽게 이해하는 디지털 통상의 기초』, 산업통상자원부·한국표준협회, 2021.
"K-콘텐츠에 관세를 부과한다고? 전자적 전송에 대한 무관세 모라토리움의 미래", 『사례로 손쉽게 이해하는 디지털 통상의 기초』, 산업통상자원부·한국표준협회, 2021.
"FTA 디지털무역과 기술표준", 『지역무역 체제와 기술표준 협상』 (안덕근·김민정 편저), 박영사, 2020.
"한미 정보통신 기술표준 통상 갈등과 FTA 통신 챕터", 『4차 산업혁명과 표준화: 사례 모음』 (이희진·주한나·최동근 편저), 박영사, 2019.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의 기술표준과 통상 쟁점"(박정준 공저), 『WTO 무역기술장벽 대응체제와 표준정책』 (안덕근·김민정 편저),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9.
"2024년도 디지털통상 전문인력 양성사업-비학위과정(대구경북 디지털통상 아카데미)", 산업통상자원부(2024.1.1~2024.12.31), 경북대 책임교수
"2024년도 대학 디지털통상 집중강좌 지원사업", 한국표준협회(2024.3.1~2024.12.15), 책임교수
"2023년도 대학 디지털통상 집중강좌 지원사업", 한국표준협회(2023.2.27~2023.12.15), 책임교수
"2022년도 대학 디지털통상 집중강좌 지원사업", 한국표준협회(2022.7.4~2022.12.15), 책임교수
"2022년도 대학원 TBT 집중강좌 지원사업", 한국표준협회(2022.7.1~2022.12.15), 책임교수
"무역의 디지털화에 따른 KOTRA 중장기 개편 방향(국제경제법학회)", KOTRA 연구용역과제(2022.5.6~2022.9.5)
"글로벌 디지털 통상 협상 동향 연구: 관세협력 및 관세제도 개선 방향", 기획재정부 연구용역과제(2022.5~2022.10)
"한국 디지털 정책과 글로벌 통상규범의 갈등 구조", (사)주한미국상공회의소 연구용역과제(2022.2~2022.7)
"클라우드 보안인증제도 나비효과, 디지털 쇄국과 개방의 갈림길", 매일경제(2022.9.5)
대구본부세관, 관세심사위원회 심의위원(2025.7.1.~2027.6.30.)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 "APEC 산업·통상·에너지 자문단", 디지털분과 자문위원(2024.5.30.~2025.12.31.)
공정무역연구, 편집위원(2025.1.1~2025.12.31.)
한국국제경제법학회, 학술이사(2024.1.1.~2024.12.31.)
Member of "Digital Scholars Network", Digital Trade & Data Governance Hub,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산업연구원, "디지털전환 종합계획 수립", 표준화 분과 자문위원, 2022년.
산업연구원, "디지털 전환시대 산업별 디지털 통상 전략 수립", 자문위원, 2022년.
특허청, "부정경쟁방지·영업비밀보호 기본계획 수립 추진단", 디지털·국제협력 분과위원(2021.4.23.~2021.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