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부터 12월까지 약 한 달 동안 진행된 2022 KSDC DB 활용 사례 공모전의 결과가 발표됐습니다.
총 47명의 지원자분들이 지원해 주셨으며, 최우수상 세 분께 신세계 상품권 30만 원권, 각 부문별 우수상 여섯 분께 신세계 상품권 각 10만 원권씩 상품권과 표창장을 전달해 드렸습니다.
KSDC DB 활용 사례 공모전에 지원해 주신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지난 3월 23일부터 24일까지 진행된, 2023년 국내-외 학술연구 나침반 RISS 이용 교육에서 KSDC DB 이용교육을 진행했습니다.
학술정보연구팀 이준영 연구원이 교육을 진행하였으며, 교육 내용은 KSDC DB의 개요와 로그인 방법부터 KSDC DB의 주요 기능에 대한 설명 및 2023년 1학기 이용교육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습니다.
참석해 주신 분들께 다시 한번 감사드리며, 추후 다양한 행사에서도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2023년 05월 15(월) ~ 05월 26일(금), 약 2주 동안 제5회 KSDC DB 퀴즈 이벤트를 진행했습니다.
총 926명의 참가자분들이 지원해 주셨으며, 정답을 맞춰주신 분들 중 추첨을 통해 총 141분께 신세계 상품권 1만 원권을 전달드렸습니다.
KSDC DB 퀴즈 이벤트에 참여해 주신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다음 학기 퀴즈 이벤트에도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2023년 05월 24(수) ~ 05월 26일(금), 3일 동안 진행된 [한국전문대학도서관협의회] 제28회 정기총회에서 KSDC DB가 신기술 발표를 진행했습니다.
발표 주제는 'KSDC DB를 활용한 비대면 설문조사/통계분석'이며, 약 30분 동안 진행되었습니다.
또한, 정기총회 진행 동안에 KSDC DB 부스를 운영하며 다양한 이벤트와 KSDC DB에 대한 안내를드렸습니다. 앞으로도 KSDC DB에 많은 관심과 응원 부탁드립니다.
2023년 6월 21일(수)에 KSDC DB 온라인 설명회를 진행했습니다.
설명회 내용은 한국사회과학데이터센터의 간략한 소개와 KSDC DB의 기능, 콘텐츠 및 활용사례 등 다양한 내용으로 구성되었고, 교육 시간은 각 회차 당 30분 정도로 총 2회 진행되었습니다.
총 103분께서 참여해 주셨으며, 참여신청을 해주신 모든 분들께 설명회를 다시 볼 수 있는 링크를 함께 발송드렸습니다.
참여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의 말씀드리며, 앞으로도 KSDC DB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23년 1학기(3-6월)동안 '선물과 함께하는 KSDC DB 홍보 이벤트'를 진행했습니다.
해당 이벤트는 KSDC DB의 회원기관 담당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매달 KSDC DB를 홍보해주신 횟수별로 상품을 전달드렸습니다.
이벤트 설문 응답자 수는 총 114명으로 46개 학교의 담당자분께서 참여해 주셨습니다. 도서관 홈페이지, 인스타그램, 에브리타임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홍보해 주셨으며, 상품으로 총 94만 원 상당의 온라인 문화상품권이 지급되었습니다.
한 학기 동안 KSDC DB 홍보에 힘써주신 담당 사서분들께 다시 한번 감사의 마음을 전하며 앞으로도 많은 홍보 부탁드립니다.
2020년 하반기부터 대학별 온라인 전자정보박람회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KSDC DB 소개 영상 (10분 내외)
영상 시청 후 풀 수 있는 퀴즈
영상, 퀴즈를 담은 서베이 링크
2023년 상반기에는 총 17개의 대학에 온라인 전자정보박람회를 지원했습니다. 이번 하반기에도 지원할 예정이오니 본 행사를 계획하고 있는 학교들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KSDC DB는 "여러분의 생각이 궁금합니다(여.생.궁)." 시리즈를 통해 이용자와 소통하는 시간을 갖고 있습니다. 이번 상반기에는 총 2번 진행되었으며, 각 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KSDC DB 이용교육 관련 퀴즈
KSDC DB 콘텐츠
왼쪽의 사진과 같이 KSDC DB 메인 화면의 팝업 공지를 통해 참여 가능하며, 응답 결과는 KSDC DB 공지사항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더불어 추첨을 통해 참여하신 분께 소정의 상품을 제공하오니 앞으로 진행될 여.생.궁 시리즈에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133-834) 서울특별시 성동구 아차산로 7나길 18, 성수에이팩센터 701호
Copyright ⓒ 2011. Korean Social science Data Cente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