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min & Facilitators

dr. gi woong choi

Assistant Professor
University of Cincinnati
I am a learning scientist by training and have a background in human-computer interaction and user experience. My current research interests include AI in education, mobile learning, informal learning, problem-solving, makerspaces, educational affordances of technologies, learning technologies in higher education, HCI in education, etc.

dr. jewoong moon

Assistant Professor
The University of Alabama
교육공학 (Instructional Technology) 프로그램 교수로 연구하고 학생들을 가르칩니다. 연구관심사는 학습과학, 교육공학, 특수교육의 중간 지점에 위치하며, Inclusive and immersive learning system design에 관심이 많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연구자의 연구정체성 발전에 관심이 많습니다.

jieun ha

Doctoral Student
Ewha Woman's University
주요 연구 관심분야는 테크놀로지 기반 성인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향상 지원을 위한 교수설계, 프로그램 개발 및 척도 개발, online/distance learning, 개인화 교수입니다 

ryan kim

Strategy Planning LEAD
LearningSpoons
IT 스타트업에서 전략기획과 부트캠프를 총괄하고 있습니다. 테크교육 프로덕트로서의 부트캠프를 설계하고 부트캠프에서의 성장을 부스트하는 모든 일을 10년째 해오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부트캠프에서의 성장에 관한 경험과 고민을 가장 많이 한 사람 중 하나입니다. 

dr. jaewoo do

Associate Research Fellow,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EDI)
교육공학-교육공학-교육공학 전공, 박사학위 논문 주제는 실시간 화상수업 설계, 다양한 교육공학 영역(실시간 화상, 학습분석, 메타버스 등)에 대한 연구와 함께 질적연구방법론에 대해 지속적으로 탐구 중입니다.

seoyeon jin

Doctoral Student
Korea University
어떻게 가르쳐야 효과적인지를 고민하며 교육공학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주요 관심 분야는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수업 설계, 교수법, 교수역량, 수업 컨설팅입니다. 

hyeji jang

Doctoral Student
Ewha Woman's University
최근 테크놀로지가 교육에 많이 도입되면서 '학습 격차'에 대한 우려가 생겨나기도 합니다. 교수-학습 상황에서 학습 격차를 감소시키고 효과적인 학습을 촉진하기 위해 어떠한 테크놀로지를 활용해서 교수설계를 할 수 있는지에 대해 관심이 있습니다. 

chaeyeon kim

Doctoral Student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연구관심사는 가상현실(VR, AR, MR)의 교육적 활용입니다. 교사교육, 의료교육 등 다양한 교육 시뮬레이션을 개발했습니다. 체화된 인지 이론을 적용하여 MR을 연구하는 데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hunhui na

Doctoral Student
Florida State University
K-12 교실 환경에서 어떻게 테크놀로지를 효과적으로 적용해 보다 나은 STEM+CS 학습 경험을 제공해 줄 수 있을지, 교사들의 어려움이나 인식은 어떤지를 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dr. seonga lee

Assistant Professor
Honam University
교수자가 잘 가르치고 학습자가 잘 배울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고민을 시작으로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수업 설계 및 방법, 테크놀로지 활용 교육, 교수자 역량, 액션러닝, 디자인씽킹에 관심이 있습니다. 

Hakeoung Hannah Lee

Doctoral Student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Learning Analytics, Learning Sciences 연구를 주로 하고 있습니다. 주로 CS교육과 수학교육 맥락에서 탐구 중입니다. 티칭으로는 UT Dell Medical School에서 MS1 Essentials Course를 PBL로 가르치고 있습니다. (개인 웹사이트: https://sites.google.com/view/hkhlee/)

Hanall Sung

Postdoctoral Fellow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테크놀로지가 적용된 교수학습 상황에서 학습자의 인지적 과정이나 상호작용을 멀티모달 데이터 (multimodal data)를 통해 모델링하고 이해하는 연구를 합니다. 주로 multimodal learning analytics, epistemic network analysis를 활용합니다.

Jongwoo lee

Doctoral Student
The Ohio State University
특수교육, 특히 청각장애교육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청각장애 학생들의 언어발달 영어교육, 청각장애 학생들을 위한 보편적 학습설계, 청각중복장애학생교육을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모든 장애인들을 위한 교육을 위해 열심히 공부 중입니다. 

jeonghwa oh

Doctoral Student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배움이론에 있어 사회인지이론 중에 하나인 자기효능감과 생성형 인공지능을 접목시켜 연구하고 있습니다. 할 수 있다는 믿음, Self-efficacy (자기효능감)에 관심이 많습니다.

hyojung kim

Doctoral Student
Indiana University at Bloomington

인디애나대학교의 Instructional Systems Technology 프로그램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있는 김효정입니다.  최근 컴퓨팅 사고력, CSCL, 실감미디어어의 교육적 활용에 대해 공부하고 있습니다. KELS 공동체의 일원으로 봉사할 수 있어서 기쁘며, 앞으로 만날 소중한 인연들이 너무 기대가 됩니다.
만나서 반갑습니다!

minji kang

Undergraduate Student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Learning Analytics, Learning Sciences 연구에 관심이 많고, 이를 기반으로 수학교육 등 STEM education을 탐구하여 연구해보고 싶습니다. 또한 개인적인 관심사로는 hospitalized 혹은 special needs를 필요로 하는 학생들을 위한 informal learning 이나 AI를 활용한 learning system design가 있습니다. 연구관심사를 잘 탐색하여 가치있고 의미있는 연구를 해나가고 싶습니다!

Heeryung choi

Postdoctoral Associate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Self-regulated learning (자기조절학습)과 Learning analytics(학습분석)을 중심으로 데이터와 기술을 활용해 학습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는 방법을 고민합니다. 


Jiyoung kim

Doctoral Student
Indiana University at Bloomington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교육공학을 전공하고 있으며 유아교육과 언어교육을 부전공하고 있습니다. preK-6 학생들에게 발달적으로 적합한 CT, CS & AI 통합 프로그램/교육과정 개발 및 교사교육에 관심을 두고 있습니다.

Hyangeun ji

Doctoral Student
Temple University

인공지능과 가상현실 기술을 언어 교육에 어떻게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학습자, 교수자, 그리고 기술 간의 상호작용을 탐구하고 교수자의 역할과 수업 퍼실리테이션에 관심이 있습니다.

yeonji jung

Assistant Professor
University of Memphis

교수-학습 상황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Collaborative Discourse의 과정 및 결과를 분석하고 촉진하는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주로 학습분석학을 활용하여 학습자-데이터-테크놀로지-교수자 간의 상호작용을 탐구하고 학습경험을 설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