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순도 골수유래 중간엽줄기세포 분리와 골재생 효능
부착 방법을 이용한 전통적 골수유래 줄기세포의 분리 과정에는 대식세포가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실에서는 클로드로네이트 리포좀을 사용하면 대식세포가 약물을 탐식하여 사멸되므로 고순도 중간엽 줄기세포를 분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분리한 세포는 우수한 골재생 유도 능력을 보이며, 지방세포로도 분화할 수 있는 다분화능을 유지한다. 고순도 중간엽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다양한 조건(당뇨, 노화)에서의 골재생 유도 방법과 약물 효능을 평가하고 있다.
인플라마좀 억제제를 이용한 치주염 제어
본 연구실에서는 노화 및 실크 결찰을 통한 치조골 소실 동물모델에서 NLRP3 인플라마좀의 역할과 억제제 MCC950의 효능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마우스에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b 증가와 치조골 소실이 관찰되며, 이때 치주인대 조직에서 NLRP3 인플라마좀의 활성을 의미하는 Caspase-1 발현이 증가한다. 이러한 변화는 NLRP3-/- 마우스와 NLRP3 억제제 MCC950 투여 마우스에서 감소한다. 시험관 내 실험에서 IL-1β는 RANKL에 의한 파골세포 분화를 증가시키며, MCC950 투여는 활성형 Caspase-1 감소와 함께 파골세포 분화를 억제한다. 이러한 결과들은 세균 또는 대사질환 염증에 의한 골소실에 NLRP3/Caspase-1/IL-1β 경로가 중요하게 관여하며, NLRP3 인플라마좀 경로의 억제가 염증에 의한 골소실의 치료적 표적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