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덩더쿵 합창제]

어린이 ·  청소년을 위한 예술지원 창작의 발표

덩더쿵 합창제 프로젝트

덩더쿵 프로젝트 소개 페이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개요

추진 배경

ㅇ 영유아기부터 음악적 모국어로 된 곡을 불러야 한다 - 졸탄 코다이(Zoltán Kodály)

ㅇ 우리나라 민요나 전래동요는 기본적으로 메기고 받는 형식의 다성부 합창곡이다.

ㅇ 어릴적부터 합창을 통해 화음의 어울림과 하모니 조화를 체득하는 인성 교육이 필요하다.

ㅇ 국내외적으로 영유아 합창에 대한 수요는 많으나 체계적인 연구나 창작품이 드물다.

ㅇ 민족적 어린이 합창교육에 가장 널리 적용된 코다이 교수법을 27년간 연구,적용해 온 기관

ㅇ 음악적 모국어로 된 민요가창, 합창 창작, 교육 자료물을 제작, 교육기관에 배부해 온 경력

 

추진 목표

ㅇ 영유아의 정서와 신체적 발달 수준에 맞는 한국적인 곡들을 창작한다.

ㅇ 현재 영유아합창곡(단성부 위주)과 합창지도방법(비교육적), 합창대회(비음악적) 문제를 해결

ㅇ 민속 악기 중심의 반주 MR을 제작하여 지도할 수 있도록 만든다.

ㅇ 오스티나토와 율동을 함께하여 영유아 교육기관에서 손쉽게 가르치고 발표회에도 적합한 완성도 있는 창작물을 만든다

 

의미와 가치

ㅇ 음악적 모국어 작품을 통해 영유아들의 감성을 키우고 민족 음악 창의성을 개발한다.

ㅇ 음악적 모국어를 통한 영유아 K- 합창 콘텐츠 제작이 활성화 되고 세계로 확산된다.

ㅇ 영유아 교육기관 교사들이 쉽게 가르칠 수 있는 방법으로 영유아 합창이 활성화 된다

ㅇ 영유아 합창 작품의 창작, 발표, 보급 활동을 통해 국가 전체의 합창 문화가 활성화 되어 현재 거의 사라져가는 초중등학교의 합창이 다시 부흥되게 된다.


2. 세부 추진계획

기획 단계 1 (1-3월)

- 전래동요, 민요, 창작국악동요 수집 및 편곡 세부 방향, 커리큘럼 등

기획 단계 2 (4-5월)

운영 단계 1 (6월)

운영 단계 2 (7-8월)

결과 단계 1 (9-10월)

결과 단계 2 (11-12월)

3. 주요 참여인력

총괄대표 : 이영조
전)한국종합예술학교음악원 원장, 영재교육원 원장,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사장, 대한민국화관문화훈장
American Conservatory of Music 및 연세대 교수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지원위원회 위원장,
현) 한국코다이협회 이사장.
20Trillion Production Seoul (CEO/President)
Netherlands 및 Moscow 현대음악제 초청 작곡가


예술감독 : 조홍기
연세대졸, 중앙대 석사, 박사
헝가리 코다이음악원 졸 .리스트아카데미 수료
(사)한국코다이협회회장, (사)한국국제합창협회 이사장,
(사)한국합창총연합회 부이사장, 한국문화예술교육학회 부회장
아차산국악제전 아동부심사위원장, 전국유치원 유아가창특강수회
KBS 창작국악경연대회본상(우수상)수상 2005


연구(연구작곡) : 김소영, 조아라, 엄세현

김소영
전북대 졸, 동덕여대 박사수료, 중앙대 국악교육대학원,&
교통대 겸임교수

조아라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졸(작곡)
헝가리코다이음악원/ 리스트아카데미 졸업. 문화예술교육사
작곡가(국악작품 작,편곡), 세광출판사 국악교재 제작 인턴
한국코다이협회 전임연구원, KBS 창작국악경연대회본상

엄세현
중앙대 졸, 캘리포니아주립대학석사 한국여성작곡가협회 회원


연구(제작 및 발표) : 이영미, 방효섭, 박신영

이영미
덕원예술고등학교 작곡과, 숙명여대 작곡과 졸
뮤직아이연구소장, 피아노랑놀자 대표, 한국유아교사연수원 교육실장.음악교육기획 뮤직쌤 대표, 연세대학교 미래교육원 출강

방효섭
세종대,그리스도신학대학교대학원 졸, 은평소년소녀합창단 지휘자
(사)전국소년소녀합창연합회사무차장, ㈜씨씨에이피 대표

박신영
신흥대학교 유아교육과 졸, 서울종합예술원 현대교회음악과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졸. 유치원 2급 정교사
한국오르프슐베르크 교사, 씨니뮤직 대표


자문 및 감수 : 김정화, 이귀향

김정화
수성대학교 유아교육과 명예교수. 한국코다이협회 부이사장
(사)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감사, (사)한국숲유치원협회 고문,
큰나무어린이집 대표이사

이귀향
숙명여대 성악과졸, 성신여대 박사, 한국코다이협회 부이사장
전) 서일대학 유아교육과 학과장, 경기유아교육단체 회장
청심유치원 원장, 현) 씨알유치원 고문


음원 제작 및 반주(MR)  연주 : 김주희, 강지현

김주희
중앙대 및 동대학원 졸, 추계대학교 박사과정,
한국코다이협회 이사.

강지현
추계예대 숙명여대 대학원 졸업. 가야금전공, 협회 연구원


행정 : 박은주
성신여대 교육학과 졸업, 헝가리코다이음악원 수료
한국코다이협회본부장
협회 수많은 순회 연주 기획, 행정 회계, 교육 프로그램 총괄


진행보조 : 안준용, 김수연

안준용
협회 연구원 / 국악고등학교 졸업(대금),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졸업(대금)
한양대학교 대학원 지휘 석사 졸업

김수연
협회 연구원 / 스위스 티보르바르가 음악원 석사

               덩더쿵 유치원 교육 계획안                                                                                                                                                                                        영유아 교재 분석

유치원 교육계획안.pdf
분석_덩덕쿵 합창제 프로젝트 곡.pdf

질문이 있으신가요?

프로젝트에 관한 더욱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이메일(chkodaly@naver.com)로  문의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