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인프라 융합학과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한 신재관 원생이 2025년 5월 11일에 11th 3R International Scientific Conference on Material Cycles and Waste Management (3RINCs)에서 "Degradation of Naproxen by Electron Transfer Mediated Persulfate Activation of Heterogeneous Biochar Catalysts: A Role of Aromatic Moieties"라는 주제로 발표해 "Excellent Research Award for Oral Presentation "을 수상했다.
에너지·인프라 융합학과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한 신재관 원생이 2025년 2월 17일에 다학제 융합 에너지자원 핵심인력 양성사업단(BK21)에서 "STAR 논문 인센티브" 은상을 수상했다.
에너지·인프라 융합학과에서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손창길 원생이 2025년 2월 17일에 다학제 융합 에너지자원 핵심인력 양성사업단(BK21)에서 "STAR 논문 인센티브" 동상을 수상했다.
에너지·인프라 융합학과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한 김상원 원생이 2025년 2월 17일에 다학제 융합 에너지자원 핵심인력 양성사업단(BK21)에서 "SCI 논문 인센티브" 동상을 수상했다.
에너지·인프라 융합학과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한 곽진우 원생이 2025년 2월 17일에 다학제 융합 에너지자원 핵심인력 양성사업단(BK21)에서 "SCI 논문 인센티브" 동상을 수상했다.
전강민 교수 SCI(E)급 국제학술지 「Desalination and Water Treatment」 편집장 선임
문화예술·공과대학 건축·토목·환경공학부 환경공학전공 전강민 교수가 SCI(E)급 국제학술지인 「Desalination and Water Treatment(담수화 및 수처리)」의 편집장(Editor)으로 선임됐다.
‘Desalination and Water Treatment(담수화 및 수처리)’는 엘스비어(Elsevier) 출판사가 발행하는 SCI(E)급 전문 학술지로, Water Resources 분야에서 Q4등급을 받았으며, 피인용지수(Impact Factor)는 1.1(2022년 기준)이다.
전강민 교수는 수처리 및 해수담수화 분야의 활발한 연구와 기술 개발 공로를 인정받아 편집장으로 선임되었으며, 앞으로 ‘담수화 및 수처리(Desalination and Water Treatment)’ 학술지에 게재될 논문을 검토하고 심사하는 업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한편, 전강민 교수는 SCI급 국제학술지인 ‘Seperations’ 등 2개의 SCI(E)급 국제학술지에 편집위원으로 활동하며 활발한 학술활동을 이어 나가고 있다.
에너지·인프라 융합학과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한 신재관 원생이 2023년 12월 20일에 다학제 융합 에너지자원 핵심인력 양성사업단(BK21)에서 "STAR 논문 인센티브" 금상을 수상했다.
에너지·인프라 융합학과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한 김상원 원생이 2023년 12월 20일에 다학제 융합 에너지자원 핵심인력 양성사업단(BK21)에서 "STAR 논문 인센티브" 동상을 수상했다.
에너지·인프라 융합학과에서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곽진우 원생이 2023년 12월 20일에 다학제 융합 에너지자원 핵심인력 양성사업단(BK21)에서 "STAR 논문 인센티브" 동상을 수상했다.
에너지·인프라 융합학과에서 박사과정에 재학중인 신재관 원생이 2022년 12월 21일에 다학제 융합 에너지자원 핵심인력 양성사업단(BK21)에서 "STAR 논문 인센티브" 금상을 수상했다.
에너지·인프라 융합학과에서 박사과정에 재학중인 곽진우 원생이 2022년 12월 21일에 다학제 융합 에너지자원 핵심인력 양성사업단(BK21)에서 "STAR 논문 인센티브" 은상을 수상했다.
에너지·인프라 융합학과에서 박사과정에 재학중인 김상원 원생이 2022년 12월 21일에 다학제 융합 에너지자원 핵심인력 양성사업단(BK21)에서 "STAR 논문 인센티브" 동상을 수상했다.
에너지·인프라 융합학과에서 석사과정에 재학중인 손창길 원생이 2022년 12월 21일에 다학제 융합 에너지자원 핵심인력 양성사업단(BK21)에서 "STAR 논문 인센티브" 동상을 수상했다.
건축·토목·환경공학부 환경공학전공 전강민 교수가 11월 1일(화) SCI(E)급 국제학술지 「Desalination(담수화)」의 편집위원 (Editorial Board Member)으로 선임됐다.
엘스비어(Elsevier) 출판사가 발행하는 ‘Desalination(담수화)’는 수(水)처리 소재 및 공정 분야에서 세계적인 권위를 자랑하는 학술지로, JCR 상위 3% 이내 및 영향력 지수(Impact Factor) 11.211을 기록하고 있다.
전강민 교수는 수처리 분야의 활발한 연구와 기술 개발 공로를 인정받아 편집위원으로 선임되었으며, 앞으로 ‘Desalination(담수화)’ 학술지에 게재될 논문을 검토하고 심사하는 업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전강민 교수는 “세계적인 학술지에 편집위원으로 활동하며 학문 발전에 기여할 수 있어 기쁘게 생각한다”며 “앞으로 양질의 논문이 학술지에 게재되어 환경공학 분야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전강민 교수는 SCI급 국제학술지인 ‘Seperations’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는 등 활발한 학술활동을 이어 나가고 있다.
일반대학원 에너지인프라융합학과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곽진우 대학원생(지도교수 전강민)이 SCIE급 국제학술지인「Environmental Pollution」에 주저자로 논문을 게재했다.
곽진우 원생이 발표한 논문은 ‘Synthesis and applications of bismuth-impregnated biochars originated from spent coffee grounds for efficient adsorption of radioactive iodine: A mechanism study’라는 제목으로, 비스무스로 개질한 흡착제를 통해 방사성 아이오딘 제거기작 규명 및 이의 흡착제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곽진우 원생은 바이오차 기반 흡착제 및 촉매를 통한 수질정화 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한편, 「Environmental Pollution」은 환경과학 분야에서 JCR 상위 9.9% 이내에 속하는 세계적인 권위의 학술지로, 영향력 지수(Impact Factor)는 9.988이다.
일반대학원 에너지인프라융합학과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신재관 대학원생(지도교수 전강민)이 SCIE급 국제학술지인「Chemical Engineering Journal」에 주저자로 논문을 게재했다.
신재관 원생이 발표한 논문은 ‘Highly selective recovery of phosphate ions using a novel carbonaceous adsorbent synthesized via co pyrolysis of spent coffee grounds and steel slags: A potential phosphatic fertilizer’ 라는 제목으로, 유무기 폐자원 기반 흡착제를 통한 인 회수기작 규명 및 이의 비료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Chemical Engineering Journal」은 환경과학 분야에서 JCR 상위 2.7% 이내에 속하는 세계적인 권위의 학술지로, 영향력 지수(Impact Factor)는 16.744이다.
현재, 신재관 원생은 바이오차 기반 흡착제 및 촉매를 통한 수질정화 기술 개발 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일반대학원 에너지인프라융합학과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신재관 대학원생(지도교수 전강민)이 SCIE급 국제학술지인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에 주저자로 논문을 게재했다.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은 환경과학 분야에서 JCR 상위 3.5% 이내에 속하는 세계적인 권위의 학술지로, 영향력 지수(Impact Factor) 10.588이다.
신재관 원생이 발표한 논문은 ‘NaOH-assisted H2O2 post-modification as a novel approach toenhance adsorption capacity of residual coffee waste biochars toward radioactive strontium :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studies’라는 제목으로, 친환경 소재기반 흡착제를 통한 방사성 스트론튬 제거 기작을 규명한 내용을 담고 있다.
신재관 원생은 현재 바이오차 기반 흡착제 및 촉매를 통한 수질정화 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일반대학원 신산업개발 T-EMS 융합학과 석사과정에 재학 중인 신재관 대학원생(지도교수 전강민)이 SCIE급 국제학술지인 「Chemical Engineering Journal」에 주저자로 논문을 게재했다.
‘Chemical Engineering Journal’은 환경공학 분야에서 JCR 상위 3.0% 이내에 속하는 세계적인 권위의 학술지로, 영향력 지수(Impact Factor) 13.273이다.
신재관 원생이 발표한 논문은 ‘Fenton oxidation of synthetic food dyes by Fe-embedded coffee biochar catalysts prepared at different pyrolysis temperatures: A mechanism study’라는 제목으로, 친환경 소재기반 촉매를 통한 합성염료 제거 기작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신재관 원생은 현재 바이오차(Biochar) 기반 흡착제 및 촉매를 통한 수질정화 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곽진우 석사과정생 "BK21 SCI 논문 인센티브" 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