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학교 수해양관 408호
Tel: 061 - 659 - 7148
iskwak@jnu.ac.kr
Research Field
Zoology
Ecology (Freshwater Macroinvertebrate)
Ecotoxicology (Microplatics,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POPs, Heacy metals)
Environmental DNA (eDNA)
Major Career
2005.09 ~ 현재 - 전남대학교 해양융합과학과 교수
2018.06 ~ 현재 - 교육부 대학중점연구소 연구책임
2018.06 ~ 현재 -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소장
2021.07 ~ 현재 - 한국환경유전자학회(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DNA, KSED) 회장
2011.06 ~ 현재 - Ocean Science Journal(OSJ) 편집위원
2018.01 ~ 현재 - 한국하천호수학회 학술위원장
2020.01 ~ 현재 - 환경독성보건학회 생태독성분과장
2019.10 ~ 2020.09 - 해양수산부 정책자문위원
2018.01 ~ 2020.01 - 해양수산부 중앙연안관리심의위원
Research Project
2018 - 현재: 水통합 생물 FCF(Food Chain Flow) 평가 연구 (한국연구재단 - 연구책임)
2021 - 현재: 국내 고유종 기반 퇴적물 수생태계 통합 위해성 평가 기술 개발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연구책임)
2022 - 현재: 해양 생태계 보호기준 마련을 위한 위해성 평가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연구참여)
2020 - 2025: 유해물질을 감지하는 수생물의 센싱 메커니즘 연구 (한국연구재단 - 연구책임)
2022: 해양 생명자원의 환경 유전자 분석 표준 관리를 위한 기획 연구 (해양생물자원관 - 연구책임)
2021 - 2023: 깔따구 다양성 및 생태 특성 연구 (국립생물자원관 - 연구책임)
2020 - 2023: 수생태계 건강성평가 방법 및 변화예측 모델 개발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연구참여)
2019 - 2020: 수질-수량 통합관리를 위한 담수패류 모니터링 및 모델링기반의 하천생태계 평가 (한국수자원공사 - 연구책임)
2016 - 2019: 스트레스 반응유전자발현 패턴을 이용한 환경변화 센싱 진단요인 개발 (한국연구재단 - 연구책임)
2013 - 2016: 이상기후로 인한 염도변화 스트레스가 저서생물의 오스모레귤레이션에 끼친 영향과 피해감지진단을 위한 분자마커 특성 연구 (한국연구재단 - 연구책임)
2010 - 2013: 특이 테라토젠(teratogen)에 의한 깔따구류 분자마커의 변동과 생태학적 발생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 연구책임)
2009 - 2010: 화학통신 도구인 무척추동물의 냄새와 맛 감각신경세포들의 반응특성 연구 (한국연구재단 - 연구책임)
2008 - 2010: 지표생물의 분자지표를 이용한 생태독성 모니터링 시스템 (한국환경기술진흥원 - 연구책임)
2007 - 2009: 유해물질에 노출된 깔따구류의 기형 발생과 스트레스 단백질 발현과의 관련성 연구 (한국연구재단 - 연구책임)
2007 - 2008: 지표생물의 분자지표를 이용한 생태독성 모니터링 시스템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연구책임)
2005 - 2006: 오수생태계의 지표생물 추출을 거친 생물의 스트레스 반응행동 해석을 통한 모니터 (학술진흥재단 - 연구책임)
Book
수서 지표동물의 생태독성 연구 방법 (2008) 정행사
깔따구과 개론 (2015) 전남대학교출판부
Broadca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