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Projects (핵심 연구 주제)
아래 분야에 관심있는 석사 과정, 박사 과정, 학부생 인턴을 희망하는 분들 모두 jitae.kim@kaist.ac.kr 로 언제든지 편하게 연락 부탁합니다.
아래 분야에 관심있는 석사 과정, 박사 과정, 학부생 인턴을 희망하는 분들 모두 jitae.kim@kaist.ac.kr 로 언제든지 편하게 연락 부탁합니다.
[Project 1] 3D-Printed Displays
The project aims to develop a nanoscale 3D printing method for various luminescence materials such as metal halide perovskites, organic dyes, III-V semiconducting quantum dots, and so on, and to demonstrate advanced displays. We propose 3D nanopixels for high brightness, high resolution, form-factor-free display devices. Specifically, we plan to fabricate multicolor micro QR codes, multilevel anticounterfeiting labels, and micro-LEDs.
[프로젝트 1] 디스플레이3차원 프린팅
본 프로젝트는 페로브스카이트, 유기 염료, III-V양자점 등 다양한 발광 반도체 소재를 위한 나노 3D 프린팅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신개념 고해상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구체적으로, 3차원 나노 픽셀을 원하는 형태와 화학적 조성으로 제작하여 우리는 고 휘도, 폼팩터-프리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고자 합니다. 예를 들면 멀티 컬러 마이크로 QR 코드, 위조방지 라벨, 그리고 마이크로 LED를 제작 연구를 수행합니다.
[Project 2] 3D-Printed Thermoelectrics
The project aims to develop a bi-material 3D printing method for fabricating micro-thermoelectric devices for energy harvesting and temperature sensing. For ubiquitous energy harvesting, we will fabricate form-factor free thermoelectric devices directly integrated on heating sources. For thermal management monitoring of microelectronics, we are developing 4D micro-thermometers.
[프로젝트 2] 열전소자 3차원 프린팅
본 프로젝트는 열을 전기로 변환하는 열전소자를 생산을 위한 3차원 프린팅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합니다. 먼저, 전기 에너지 생산을 위해 곡면의 열원 표면에 직접 열전 소자를 집적할 수 있는 3차원 프린팅 기술을 개발하고자 합니다. 둘째, 4차원 마이크로 온도계를 적층제조를 통해 구현하여, 고도화 되고 있는 마이크로 전자소자의 발열 모니터링에 응용하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Project 3] Printing of Diamond Qubits at the Quantum-Level
The project aims to develop a quantum-precision printing of nitrogen-vacancy (NV) center nanodiamonds. As one of the most recognized diamond defects, the NV centers show their unique quantum properties and robustness even at room temperature, offering a feasible avenue for the realization of quantum technologies. We plan to demonstrate a high-precision, on-demand integration of NV centers with controlled quantity and location directly on nanophotonic circuits for quantum communications and quantum computing.
[프로젝트 3] 다이아몬드 큐비트 프린팅
다이아몬드 질소공극 센터는 상온에서도 작동 가능한 광 큐비트로 양자컴퓨팅, 센싱, 통신의 차세대 소재로 주목받고 있으나, 이를 광 회로에 집적하는 것이 기술적 난제로 남아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프로젝트에서는 나노다이아몬드 질소공극 센터를 직접 회로에 집적할 수 있는 초정밀 프린팅 기술 개발 연구를 수행합니다.
[Project 4] Freeform plasmonic superstructures for virus sensing
The project aims to combine 3D printing and nanoparticle self-assembly for fabricating freeform plasmonic superstructures with controlled near-field and far-field characteristics. By exploiting plasmonic enhancement of the printed structure, we will develop a ultracompact diagnostic platform to detect M13 virus and its mutations from femtoliter volume, sub 100 pM analytes. This platform could pave the way toward an effective diagnosis of diverse pathogens, which is in high demand for handling pandemic situations.
[프로젝트 4] 프리폼 플라즈모닉 클러스터 프린팅
본 프로젝트는 원하는 형태의 플라즈모닉 클러스터 구조물을 제작하기 위한 3차원 프린팅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이용해서 초고감도 바이러스 검출 센서 마이크로 플랫폼 생산의 저 비용 경로를 개척하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