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 • • •
"Research is formalized curiosity. " - Zora N. Hurston
• • • •
"Research is formalized curiosity. " - Zora N. Hurston
[2025]
Dai, R., Kim, J., Choi, H., Shin, Y., Kim, B-N., Kim, S., Kim, J.*, & Kim, K.* (accepted) Evaluation of virtual reality-based guided imagery stabilization intervention for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Virtual Reality. (KHIDI-funded)
Shin, Y., Kim, E., Kim, K., Kim, J. S., Kim, S., & Kim, B-N.* (accepted) Predicting efficacy of virtual reality-based stabilization for individuals with traumatic symptoms: A machine-learning approach. Psychiatry Investigation. (KHIDI-funded)
Kim, S-Y., Kim, B-N.*, & Kang, H. S.* (accepted) The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Future Time Perspective Scal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강효신, 김지혜, 홍상황, 김빛나*, 박중규* (2025). 한국형 유아 정신건강 선별검사 개발 및 타당화. Journal of Korean Maternal and Child Health, 29(3), 128-136.
Kim, B-N., Kang, H. S.* & Park, J.* (2025). The transdiagnostic role of event-related rumination on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symptoms during the pandemic: A two-wave longitudinal study. Frontiers in Psychology, 16:1421958. https://doi.org/10.3389/fpsyg.2025.1421958
[2024]
신용민, 김빛나*, 김지선, 김기범, 김성권 (2024). 의료진의 팬데믹 유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치료를 위한 가상현실 노출치료 프로그램 프로토콜 개발.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17(2), 163-186. (KHIDI-funded)
Song, Y. W., Lee, H. S., Kim, S., Kim, K., Kim, B-N., & Kim, J. S. (2024). How to solve clinical challenges in mood disorders: Machine learning approaches using electrophysiological markers. Clinical Psychopharmacology and Neuroscience, 22(3), 416-430.
Min, Y., Choi, Y., & Kim, B-N.* (2024). Filling the mental health service gap on campus: An effectiveness trial testing the utility of app-based mindfulness psychological intervention for college students. Current Psychology, 43, 15434-15444. https://rdcu.be/dtynD / Cited by the monthly publication of AMRA (American Mindfulness Research Association)
Kim, B-N., Jo, H., Kang, S., Kim, S-Y., Park, H-Y., Park, J.*, & Kang, H. S.* (2024).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Mental Health Scale for Maltreated Children (MHS-MC). Psychiatry Investigation, 21(3), 242-254. (NCRC-funded) https://doi.org/10.30773/pi.2023.0313
Kim, B-N., Kang, H. S.* & Park, J.* (2024). Meaning-making while staying connected matters in psychological adaptation during pandemic: A longitudinal moderated mediation study. Frontiers in Psychology. 15: 1364903. https://doi.org/10.3389/fpsyg.2024.1364903
[2023]
강효신, 김빛나, 박중규 (2023). 코로나19에 대한 주관적 인식과 스트레스 지각이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서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연구방법논총, 8(2), 41-69.
최민성, 김빛나, 박우람, 홍상황 (2023). 한국판 벡 아동청소년검사 2판의 신뢰도와 타당도. 초등상담연구, 22(3), 311-330.
Lee, S-A. Heo, S., Kim, S., Park, C., Jung, Y., Ji, G., Lee, H-A., Kim, K., Kim, S., Kim, B-N.*, & Kim, J.S*. (2023). The effectiveness of virtual reality interventions for COVID-19-related psychological distress: A systematic review. Psychiatry Investigation,20(4), 357-368. (KHIDI-funded)
Kim, B-N., Kang, H. S., & Park, J. (2023). A latent profile approach for classifying Internet gamers based on motives for online gaming. Journal of Behavioral Addictions, 12(1), 148-158. https://doi.org/10.1556/2006.2022.00092
[2022]
이정민, 정수연, 김빛나, 김한수 (2022). 한국판 목소리 자기조절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예비연구. 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33(2), 103-109.
김빛나, 임영진 (2022). 양극성 장애 심리사회적 개입에서 최근 발전현황의 탐색적 고찰. 재활심리연구, 29(2), 1-14. (NRF funded)
이은영, 김빛나* (2022).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대인관계 외상을 경험한 여대생의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순차적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8(2), 167-188. (MA thesis supervision)
Kim, B-N., & Kang, H. S. (2022). Differential roles of reflection and brood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 serial mediation stud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84, 111169.
[2021]
Kim, B-N. & Kang, H. S. (2021). Korean validation of the Motives for Online Gaming Questionnaire: Focusing on its factor structure and incremental validity. Addictive Behaviors, 122, 107019. (NRF funded)
Kang, H. S., & Kim, B-N.* (2021). The role of event-related ruminatio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on psychological distres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Results from greater Daegu region in South Korea. Psychiatry Investigation, 18(5), 392-399.
강효신, 김빛나* (2021). 미래시간조망 척도의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과 연령 집단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34(1), 63-80.
[2020]
한다정, 김빛나* (2020). 청소년의 부모 및 또래애착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소외에 대한 두려움(FoMO)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7(3), 243-261. (MA thesis supervision)
Kim, B-N. & Ko, H-S. (2020).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nine-item Korean Internet Gaming Disorder Scale – Short-Form.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23(12), 854-859. (NRF funded)
이승진, 김빛나. (2020). 정신적 외상을 경험한 피면담자의 수사 면담 시 주요 고려 사항. 과학수사학회지, 14(4), 313-327.
지하영, 김빛나*. (2020).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7(11), 71-92. (MA thesis supervision)
Kim, B-N. (2020). Behavioral activation system (BAS) dysregulation and bipolar spectrum psychopathology in daily life: An online-diary study. Psychiatry Research, 291, 113180.
[2019]
Kim, B-N. (2019). 양극성 장애의 근거기반치료.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8(4), 427-444. (Invited review)
Kim, B-N. (2019). Korean validation of the Internet Gaming Disorder-20 Test.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22(4), 271-276. (NRF funded)
[2018]
박아름, 권석만, 김빛나 (2018). 지속적인 문제음주를 보이는 대학생의 심리적 특성에 관한 질적 연구: 근거이론에 기반하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4(3), 395-417.
Kim, B-N., Lee, E-H., Kim, H-J., & Kim, J-H. (2018). Comparing the screening property of the shortened versions of the Hypomania Checklist-32 (HCL-32): Cross-validation in Korean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and major depressive disorder.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27, 384-390.
[2017]
김빛나, 최준원, 고현석 (2017). 심리학 연구에서 재현성 위기의 현황과 원인 및 대안 모색에 대한 개관.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6(3), 359-396.
Kim, B-N., & Kwon, S-M. (2017c). Initial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Altman Self-Rating Mania Scale: Preliminary validation study in a non-clinical sample. Psychiatry Investigation, 14(5), 562-567.
Kim, B-N., Kwon, S-M., & Meyer, T. D. (2017). Reward sensitivity and affect after success: Role of positive attribution bias in Korean individuals at risk for bipolar disorder.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36(7), 607-627.
Kim, B-N., & Kwon, S-M. (2017a). The link between hypomania risk and creativity: The role of heightened behavioral activation system (BAS) sensitivity.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15, 9-14.
김빛나, 권석만 (2017b). 행동활성화체계 민감성이 양극성 장애 위험군의 기능적 장해에 미치는 영향: 충동성의 조절효과.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6(2), 143-153.
Baek, J., Kim, J-H, Kim, B-N., Park S.J., Fava, M., Mischoulon, D., Lee, D., Jeon, H. J. (2017). Comparisons of subthreshold versus full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distinguished by subjective functional impairment among train drivers: A population-based nationwide study in South Korea. Psychiatry Investigation, 14(1), 1-7.
[2016]
김빛나, 권석만 (2016). 경조성 성격을 가진 양극성 장애 위험군에서 행동활성화체계의 과민감성과 기분증상의 관계.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5(3), 703-710.
고현석, 김빛나* (2016). 한국판 Persecution and deservedness Scale의 신뢰도와 타당도.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5(1), 61-79.
[2015]
김빛나, 김지혜 (2015). 근거기반 심리평가의 기본 개념과 국내 적용에 대한 논의: 공황장애와 우울장애의 예시와 함께.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4(3), 579-605.
[2014]
Jeon, H.J., Kim, J-H., Kim, B-N., Park, S.J., Fava, M., Mischoulon, D., Hong, C., Roh, S., & Lee, D. (2014). Sleep quality, posttraumatic stress, depression and human errors in train drivers: A population-based nationwide study in South Korea. SLEEP, 37(12), 1969-1975.
Yang, M.*, Kim, B-N.*, Lee, E-H., Lee, D., Yu, B-H., Jeon, H.J., & Kim, J-H. (2014). Diagnostic utility of worry and rumination: A comparison between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nd major depressive disorder. 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 68(9), 712-720. (Equally contributed 1st author / Mentee supervision)
김빛나, 권석만 (2014). 한국판 긍정 정서 반응 척도(K-RPA)의 예비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3(2), 243-260.
[2010-2012]
Sung, G.*, Kim, B-N.*, Lee, E-H., Yu, B-H., Hong, K., & Kim, J-H. (2012). Underestimating the severity of bipolar depression: A comparison of the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item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36(3), 425-429. (Equally contributed 1st author / Mentee supervision)
오주용, 김지혜, 김빛나, 안경진, 성기웅, 정유숙 (2011). 소아 수모세포종 환자의 인지 기능.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22(4), 302-306. (Mentee supervision)
김빛나, 임영진, 권석만 (2010). 탈중심화가 내부초점적 반응양식과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9(2), 573-596.
Shin, Y., Jung, Y., Park, C., Kim, K., Kim, S., Kim, J. S.*, & Kim, B-N.* Virtual reality-based stabilization for healthcare workers with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Under review)
Kim, S., Lee. C., Kim, B-N., Jo, H., Park, J., Kim, H.*, & Kang, H. S.* Identifying psychological profiles of officially reported maltreated children in South Korea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Revised & resubmitted)
Kim, B-N., Shin, Y., Park, J.*, & Baek, J. H.* Is longer always better? Clinical validation of the Korean Altman Self-Rating Mania Scale with a comparison of 5-item versus 11-item versions. (Under review)
Shin, Y., Park, J., Kang, H. S., Jo, H., & Kim, B-N.*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and aggressive-defiant symptoms across child maltreatment subtypes: A network analysis approach. (Under review)
Shin, Y., & Kim, B-N.* Too much is as bad as too little? A serial mediation mod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lexithymia, distress over-tolerance, urgency, and self-destructive behaviors. (In preparation)
민예슬, 박희재, 김빛나*. 대학생의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Under review)
김기환 · 김빛나 · 김지영 · 박선영 · 서장원 · 설순호 · 유성진 · 임선영 · 임영진 · 정지현 공역 | 학지사 | 2022
이은호 · 김빛나 · 김효정 · 박승진 · 이지현 저 | 국립정신건강센터 | 2020
이은호 · 김빛나 · 김효정 · 박승진 · 이지현 저 | 국립정신건강센터 | 2020
김빛나 역 | 학지사 | 2018
(원저: Frank, E. (2005). Treating bipolar disorder: A clinician's guide to interpersonal and social rhythm therapy. The Guilford Press: New York)
조용래 · 김빛나 저 | 학지사 | 2016
2025
아동청소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의 이해와 평가. 전문상담교사 역량강화 연수(동두천양주교육지원청).
회복탄력성 - 인생의 고해에 빠지지 않고 파도타기에 성공하기. Megazine SK (사내 매거진) 기고.
양극성 장애의 치료. 한국임상심리학회 대전세종충남지회.
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 THE 가꿈 멘토 특강(한국지역아동센터연합회).
2024
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 LX 인터내셔널 임직원 대상 기업 특강.
근거기반 심리평가의 개관.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을 위한 한국심리학회 근거기반 심리서비스 역량 강화 교육.
학대피해아동 마음건강척도 교육. 보건복지부 아동권리보장원.
2023
Faces of the Future 콜로퀴엄(신진임상심리학자 논문발표). 한국임상심리학회 추계학술대회 심포지엄 (사회자).
기분장애 최신 연구동향. 한국임상심리학회 추계학술대회 심포지엄 (사회자).
국내 디지털 기반 치료 현황 및 사례. WCCBT 2023. (사회자, Chair)
성격심리. 한국임상심리학회 수련생 공동교육.
2022
근거기반 운동의 시작과 근거기반 평가의 현황. 한국임상심리학회 추계학술대회 심포지엄 (근거기반 평가 및 치료의 국내 적용 및 확대).
BAS 모형에 기초한 양극성 장애 국내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춘계학술대회 심포지엄 (기분장애의 최신 연구동향).
COVID-19의 심리적 영향은 균등하지 않다: 반추를 중심으로. 한국임상심리학회 춘계학술대회 심포지엄 (포스트 COVID-19 심리적 적응).
성격심리. 한국임상심리학회 수련생 공동교육.
2021
예비 영양교사를 위한 상담자 교육.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비의료인의 COVID-19에 대한 불안. 한국불안의학회 춘계학술대회.
양극성 장애의 치료. 정신건강임상심리사 보수교육. 한국임상심리학회.
성격심리. 한국임상심리학회 수련생 공동교육.
2020
양극성 장애의 치료: 대인관계 및 사회적 리듬 치료(IPSRT)의 이론과 실제. 국립정신건강센터 임상심리과 외부 특강.
양극성 장애의 진단과 근거기반치료. 경성대학교 심리학과 대학원 겨울 특강.
성격심리. 한국임상심리학회 수련생 공동교육.
2019
양극성 장애의 근거기반치료. 한국임상심리학회 추계학술대회 심포지엄 7 (발표자).
근거기반평가의 주요 개념과 원리. 한국임상심리학회 추계학술대회 심포지엄 2 (발표자).
국립정신건강센터 임상현장기반 정신건강평가도구. 한국임상심리학회 춘계학술대회 심포지엄 (토론자).
2018
연구논문 작성 워크숍. 선문대학교 지역사회 교육연구 실천 프로젝트 (2016~2018년).
2017
차세대 연구지원 구두 발표 심사. 한국상담심리학회 추계학술대회.
연구논문 작성 워크숍. 선문대학교 지역사회 교육연구 실천 프로젝트 (2016~2018년).
2016
양극성 장애의 심리학적 연구와 치료: 가능한가? 유용한가? 한국임상심리학회 대구경북지회 제73회 학술모임.
신경심리검사 실시 교육. 보건복지부 노쇠코호트 구축 과제 (2016~2020년).
연구논문 작성 워크숍. 선문대학교 지역사회 교육연구 실천 프로젝트 (2016~2018년).
투사법 검사의 이해와 활용. 루터대학교.
2014
근거기반 평가(EBA): 기분장애와 불안장애를 중심으로. 한국임상심리학회 추계학술대회 심포지엄 (발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