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고령연구 Aging in Place
지역사회 노인의 '허약'과 '낙상'이라는 주요 건강문제를 중심으로, 자신이 살던 집과 지역사회에서 안전하고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노인의 건강한 노화를 지원하는 지역사회 돌봄 모델을 제시하는 것을 궁극적 목표로 연구합니다.
지역사회 노인의 '허약'과 '낙상'이라는 주요 건강문제를 중심으로, 자신이 살던 집과 지역사회에서 안전하고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노인의 건강한 노화를 지원하는 지역사회 돌봄 모델을 제시하는 것을 궁극적 목표로 연구합니다.
낙상 경험이 있는 노인의 가정을 직접 방문하여 허약과 낙상을 유발하는 다양한 요인을 조사함으로써, 신체적‧ 정서적 건강, 생활 습관, 주거 환경이 주요 위험요인임을 밝혔습니다. 또한, 국민건강영양조사, 한국노인실태조사, 한국 노쇠 및 노화 코호트(KFACS) 등 대규모 공공데이터 분석을 통해 독거노인의 허약 및 관절염이 있는 노인의 기능 저하, 낙상 부상 패턴, 영양 상태와 허약간 관련성 등 노인 건강을 위협하는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규명하였습니다.
허약과 낙상이 서로 긴밀히 연결된 문제임을 확인한 연구팀은 통합적인 중재 전략을 개발하기 시작했습니다.
🔍 한입운동(Exercise Snack)
: 본 연구팀에서 짧은 시간, 여러 차례 반복할 수 있는 디지털 기반 운동 프로그램으로 허약 노인의 근력과 균형을 강화하고 정서적 건강을 증진하고자 개발한 프로그램입니다. 맞춤형 피드백과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을 탑재하여 노인의 운동 지속성을 높였습니다.
🔍 실내용 보행보조기(INDOOR; Indoor Insurance Device for Older Residents)
: 본 연구팀에서는 또한 한국 고령자의 주거환경에 적합한 보행보조기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낙상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합니다. 이동성 보장, 신체기능 향상 뿐 아니라 독거노인을 위한 간편 프로그램 개발까지 확장하여 실질적 효과를 검증하고자 합니다.
현재, 연구팀에서는 허약, 낙상, 인지기능, 영양, 정신건강 등 다차원적 요소를 통합하여 노인의 삶의 질을 높이는 연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통해 환경 개선을 제안하고, 음악과 운동을 결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며, 성별 맞춤 전략을 제시하는 등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실험연구 및 디지털 기술과 접목시켜 확장해 나가고자 연구하고 있습니다.
🔍 2022~2023 | 허약·낙상 요인 식별
최근 2년 내 낙상 경험이 있는 65세 이상 노인 211명 대상 가정방문 조사
실제 vs 인식 낙상 위험 차이 시각화
근감소증 전단계 유병률 및 위험요인 규명
한국형 낙상 위험평가 도구(K-HOME FAST) 개정 및 타당화
반복 낙상 고위험군 예측모델 개발
🔍 2024 | 디지털 기반 ‘한입 운동’ 개발
일상 속 짧은 운동(Exercise Snack) 개념 도입
균형·근력 중심 1분 운동 동작 개발, 음악과 정서적 동기 요소 결합
디지털 기기를 통한 맞춤형 영상 제공 및 실시간 피드백 시스템 구축
🔍 2025 | 임상 적용 및 보행보조기 연구 착수
75세 이상 허약 노인 대상 ‘한입 운동’ 12주 무작위 대조군 실험 진행
한국형 실내용 보행보조기 개발을 위한 체계적 문헌고찰 수행
전문가 자문단 구성, 복지기관·스마트케어기업과 협력 네트워크 구축
🔍 2026~2027 | 실내용 보행보조기 프로토타입 개발 및 실증
주거환경·사용성 평가를 거친 프로토타입 제작
보행보조기 + 운동 + 환경개선 결합 프로그램 효과 검증
이동성·신체기능·낙상 예방 효과 평가
🔍 2028 | 홀몸 어르신 대상 확장 프로그램
간편형 1주 프로그램 설계 및 주거환경 개선 포함
고령자 맞춤형 통합 중재모델로 확산
(1) 허약·낙상 요인 식별
가정환경, 인지·정서 상태, 신체 기능 등 다면적 요인 분석
고위험군 선별 및 표적화된 중재 기초자료 마련
(2) 디지털 기반 ‘한입 운동’ 프로그램
하루 여러 차례, 1분 단위로 수행하는 맞춤형 균형·근력 운동
디지털 기기 기반 실시간 피드백, 음악·영상 지원, 동기 부여 메시지 제공
신체기능·정서 건강 향상 및 운동 지속성 강화
(3) 실내용 보행보조기 개발 및 적용
한국 노인의 생활환경·정서에 적합한 다기능 보조기 설계
보조기 + 운동 + 환경개선 결합 프로그램 효과 검증
홀몸 어르신 대상 확장형 간편 프로그램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