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BA
이지영
(서울대학교 국악과)
이주행
(페블러스, UST)
그림: 이주행, 음악: 정재훈/최영준, 연주: 가야금 앙상블 아우라
박소현
(영남대학교 국악과)
국악의 고저장단과 음색의 분석 등이 활발히 연구되고 발표되고 토론되어야 할 것이며 나아가 스마트 국악 혹은 인공지능 국악의 상용화를 기대하며 본 연구의 의의를 구하려 한다.
하효지
(아주대학교 미디어학과)
첫째, 수연장에서 반복되어 연주되는 율명의 도드리(사이클의 반복) 데이터를 분석하고 정제한다.
둘째, 수연장이 재생되는 시간에 따라 발생하는 도드리들의 분포를 살펴보기 위해,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진 도드리들을 픽셀(컬러링된 사각형)로 나타낸 Co-Occurance Matrix 시각화 테크닉을 적용한다.
셋째, 구간별로 반복 연주되는 음들의 패턴을 시각화를 활용하여 분석한다.
발표에서 소개하는 일련의 내용들은, 음악 데이터 시각화 사례들에서 나타나고자 하는 정보의 특성 및 최근 연구의 동향을 조명할 수 있다. 또한, 국악에서 나타나는 전통적인 율명의 조합들이 구간별로 어떻게 반복되는 지 파악하는 데 있어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박진호
(경기북과학고)
마지막으로 거문고 속에 스민 수학을 살핀다. 거문고의 괘율을 분석하고 정간보에 실린 악보를 바탕으로 서양의 음악과 동양의 음악이 어떻게 수학으로 만나는지 컴퓨터 언어를 통해 탐구하는 과정을 소개한다.
정재훈
(POSTECH)
초학제 국악 연구 - https://sites.google.com/view/kias-gukak/home
과학원 오시는 길
고등과학원 오시는 길 - http://kor.kias.re.kr/sub06/sub06_03.jsp
Maps and Directions to KIAS - http://www.kias.re.kr/sub06/sub06_03.j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