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농촌용수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Smart Pipeline System 개발(농림수산식품부, 2012.12 ~ 2013.11)
2. 상수관망 에너지 최적운영, 회수 및 지능형 플랫폼 개발(환경부, 2013.05 ~ 2014.04)
3. 용수공급 시스템의 지진재해 대응력 향상을 위한 설계 및 복구 프로그램 개발(한국연구재단, 2013.11 ~ 2016.10)
4. 실시간 펌프/밸브 조작을 통한 상수관망 최적운영(환경부, 2014.05 ~ 2016.04)
5. 기후변화 대응 W-E-F 연계해석 기술개발(환경부, 2016.03 ~ 2019.12)
6. 수자원-경제통합 물 배분 모형의 개발(한국연구재단, 2016.08 ~ 2020.05)
7. 웹기반 상수관망시스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한국연구재단, 2017.11 ~ 2022.10)
8. 지능화기반의 수요자맞춤형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 및 적응 연구(한국환경공단, 2018.10 ~ 2023.09)
9. 상수도 사고추적 및 동적대응을 위한 통합솔루션 개발(한국연구재단, 2020.03 ~ 2024.02)
10. BDAs를 활용한 홍수 위험도 평가 및 비상 대응 지원 기술 개발(한국연구재단, 2022.03 ~ 현재)
11. 탄소중립 컨설팅 및 갈등관리 융합대학원(산업통상자원부, 2022.07 ~ 현재)
12. 수자원 시설 연계운영 기반의 물 부족 규모별 비상대응 체계 구축(환경부, 2023.04 ~ 현재)
13. 도시침수대응 지하 인프라 저류능력 향상 및 다기능 활용기술 개발(환경부, 2024.04.01~현재)
14. 디지털 트윈 기반 상수도 최적운영 프레임워크 개발(한국연구재단, 2024.05.01~현재)
1. 수자원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거버넌스, 계획, 관리, 배분기법 개선(금강홍수통제소, 2015.01 ~ 2017.12)
2. 경산시 소하천 확률홍수량 증가원인 분석(경산시, 2016.04 ~ 2016.08)
3. 통합물정보 품질관리 알고리즘 개발 및 활용기반구축 학술용역(K-water, 2018.07 ~ 2019.01)
4. 상수도 네트워크 지진 취약성 평가방법 개발(K-water, 2019.04 ~ 2020.01)
5. 발전용댐 이치수 능력 검토 및 수문학적 안정성 평가용역(한국수력원자력(주), 2020.01 ~ 2022.01)
6. 상수도 공급계통 수질 취약구역 파악을 위한 수질해석 모델링(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20.08 ~ 2020.12)
7. 수질취약분석 기반 최적 센서위치 결정(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21.06 ~ 2021.11)
8. 기존댐 환경성 강화 및 기능회복을 위한 유사조절지 설계기준 수립 연구용역(K-water, 2021.04 ~ 2022.04)
9. EPANET 기반 수질 취약구역 분석 및 상수관 노후도 등급 분석(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22.10 ~ 2022.12)
10. AI 기반 댐안전 계측기 이상패턴 분류 및 자동보정 알고리즘 개발 용역(K-water, 2022.10 ~ 2024.11.29)
11. 머신러닝 기반 상수도 중점관리구역 선정 및 도시 물 순환의 시공간적 변동성 분석(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23.09 ~ 2023.12)
12. 수돗물 소비자 감성 기반 만족도 제고를 위한 상수도 시스템 친환경 재생에너지 활용 방안(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24.07.10~2024.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