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2월 우리 연구실 손석균 교수님이 조선비즈와의 인터뷰를 통해 양자기술 전문인력 양성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습니다.
손석균 교수님은 현재 서울시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공동 운영하는 서울퀀텀캠퍼스의 프로젝트매니저(PM)로서, 국내 최초의 지자체 양자기술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총괄하고 있습니다. 서울퀀텀캠퍼스는 지난 10월부터 '양자기술 사업화 심화 과정'을 운영 중이며, 12월 9일부터는 '양자기술 산업전문과정'을 새롭게 시작합니다.
인터뷰에서 손석균 교수님은 "한국의 탄탄한 반도체 산업 생태계를 활용해 양자기술 분야에서도 빠르게 선도국 수준의 기술을 확보할 수 있다"고 전망하셨습니다. 특히 "기존 산업 인력을 활용해 빠르게 양자 산업 생태계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하시며, 양자기술의 산업화 준비의 시급성을 역설하셨습니다.
서울퀀텀캠퍼스는 KIST, 고려대, 경희대의 인프라를 활용하여 실습 중심의 교육을 제공하며, 내년부터는 서울경제진흥원과 연계하여 창업 및 사업 확장 지원을 본격화할 예정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하단의 기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4년 11월 경희대학교 양자물질 글로벌 연구센터 개소식 및 기념강연이 성공적으로 개최되었습니다.
양자물질 글로벌 연구센터는 2010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싱가포르 국립대 교수를 센터장으로 하여 국제 공동연구 및 학부생을 위한 교육 장비 지원과 양자 분야 커리큘럼 신설 등 양자기술분야 역량 강화 역할을 수행할 예정입니다.
우리 그룹 손석균 교수님이 양자물질 글로벌 연구센터 연구부센터장으로 참여하며, 개소식 행사에서 우리 그룹 한지윤 학생과 함직현 학생이 Novoselov 미래과학인재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하단의 기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4년 9월 우리그룹 손석균 교수님이 서울시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가 주관하는 서울퀀텀캠퍼스에 양자 부분 PM으로 참여하셨습니다.
서울퀀텀캠퍼스는 전체 공통교육과 양자컴퓨팅, 양자통신 그리고 양자센서·계측으로 나눠진 3개의 분과별 교육을 통해 양자과학기술의 산업화 촉진 및 핵심인재 양성을 위해 신설되는 양자과학기술 관련 교육과정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하단의 기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https://www.newsis.com/view/NISX20240828_0002866533
2024년 7월 우리그룹 손석균 교수님이 한계도전 R&D 프로젝트에 선정되어 관련 내용의 인터뷰를 하였습니다.
양자통신 상용화를 위한 혁신적 방법인 상온에서 동작하는 고성능 단일 광자 발생기(Single photon emitter, SPE) 개발을 위해 핵심목표를 국내 통신 대기업 등과 협업해 단계적으로 수행한다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한겨래 등 각종 신문 기사에 소개
경희대, 한계도전 R&D 프로젝트 선정 (hani.co.kr)
아울러 본 과제 선정 관련하여 경희대학교 FOCUS ON 메인에 소개되었습니다.
2024년 6월 우리 그룹 손석균 교수님이 "한계도전 연구개발(R&D) 프로젝트"에 선정되어 향후 4년간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게 되었습니다.
연합뉴스 등 각종 신문기사에 소개
https://www.yna.co.kr/view/AKR20240621059200017
2024년 5월 우리 그룹 한지윤 학생이 2024년도 1학기 일반대학원 우수연구자
추천장학에 선발되었습니다.
2024년 5월 우리 그룹의 연구결과가 Nano Letters에 게제되었습니다.
2DNET Korea 등 각종 신문기사에 소개
https://n.news.naver.com/article/092/0002330664?sid=105
https://www.newswire.co.kr/newsRead.php?no=989341
공동 연구팀은 바이페닐렌 네트워크가 거울 대칭성에 의한 양자역학적 상쇄 간섭으로 인해 type-II 준금속 특성을 보인다는 점을 이론적으로 규명했습니다.
2024년 4월 우리 그룹 박무빈 학생이 2024년도 1학기 연구장학에 선정되어 양자 컴퓨터 소자 제작 관련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2024년 2월 고려대학교 주관 양자사피엔스 인재양성 센터에 경희대학교 물리학과가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2024년 2월 국방 양자 컴퓨팅 & 센싱기술 특화연구센터와 협력하게 되었습니다.
2024년 2월 우리 그룹 박무빈 학생이 2024 Khreative U+ SDGs 에 선정되어 1년간 양자 컴퓨터 소자 제작 관련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2023년 7월 손석균 교수님이 참여한 "디스플레이 절연막 식각용 150 이하의 저온난화지수를 지니는 F-기반 PFC 대체가스 개발" 연구 주제가 탄소중립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에 선정되었습니다.
Received the Proud Alumni Award from the College of Natural Science, Pusan National University
2023년 06월 손석균 교수님이 2023년도 부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이 선정하는 자랑스러운 자연대 동문상을 수상하였습니다.
2022년 9월 우리 그룹 연구결과가 Matter에 게재되었습니다.
출처: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S2590238522004209
2022년 9월 워크투데이 및 전자신문 등 각종 신문기사에 소개
http://www.mtnews.net/news/view.php?idx=14439
http://www.cc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9160
http://www.newswork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3659
https://www.etnews.com/20220919000102
2022년 6월 손석균 교수님이 참여한 "바이오 메디슨 첨단제형 연구센터"가 지역혁신선도연구센터 신규과제에 최종 선정되어 향후 7년 동안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게 되었습니다.
전남 목포MBC 뉴스 투데이 및 뉴스워 등 각종 신문기사에 소개
https://www.youtube.com/watch?v=NJgP7stzUhI
http://www.newswork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0811
2022년 4월 현대제철과 산학연구를 체결하였습니다.
2022년 3월 LG전자 H&A 사업부와 2단계 산학연구를 체결하였습니다.
2021년 3월 우리 그룹 손석균 교수님이 "우수신진연구"에 선정되어 향후 5년동안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게 되었습니다. .
KBS 추적 시사멘터리 "거꾸로 가는 반도체 15만 양성안"
2022년 10월 우리 그룹 손석균 교수님이 KBS 추적 시사멘터리 "거꾸로 가는 반도체 15만 양성안"에 출연하셨습니다.
'꿈의 신소재' 그래핀, 흑연에서 결점 없이 떼어낸다.
2020년 10월 우리 그룹 연구결과가 Science Advances에 게재되었습니다.
2020년 9월 연합뉴스 및 아시아경제 등 각종 신문기사에 소개
https://www.yna.co.kr/view/AKR20201101011300063?input=1195m
2020년 8월 우리 그룹 연구결과가 Nature에 게재되었습니다.
2020년 9월 전남 LG HelloVison 및 베리스타 알파등 각종 신문기사에 소개
2019년 11월 LG전자 H&A 사업부와 산학연구를 체결하였습니다.
LG전자 H&A 산학연구 관련 Open position을 통해 석사과정 1명이 합류하였습니다.
2019년 7월 Taniguchi 그룹 (National Institute for Materials Science)에서 고품질 hBN 크리스탈을 1년동안 지원받는 MoU를 체결하였습니다. 최 고품질의 hBN 크리스탈의 지원을 통해 국내에서 우수한 2D-vdW heterostructure 소자 제작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2019년 7월 우리 그룹 연구결과가 Adv. Mater. Interfaces 6권, 13호 내부 표지에 선정되었습니다.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abs/10.1002/admi.201970087
2019년 7월 15일 프레시안 등 각종 신문기사에 소개
http://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24283
2019년 5월 우리 그룹 연구결과가 Nat. Phys. 15권, 5호 표지에 선정되었습니다.
2019년 8월 19일 목포 MBC 뉴스데스크 및 전자신문 등 각종 신문기사에 소개
https://www.youtube.com/watch?v=i--yH5IoP40&t=672s&ab_channel=%EB%AA%A9%ED%8F%ACMBC%EB%89%B4%EC%8A%A4 (해당 관련 기사:12:06-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