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EA
Urban Management & Governance, Nonprofit Organization, Local Autonomy or Localism
도시행정 및 거버넌스, 비영리조직, 지방자치
Google scholar https://scholar.google.com/citations?user=lgRiO7oAAAAJ&hl=en
RESEARCH AREA
Urban Management & Governance, Nonprofit Organization, Local Autonomy or Localism
도시행정 및 거버넌스, 비영리조직, 지방자치
Google scholar https://scholar.google.com/citations?user=lgRiO7oAAAAJ&hl=en
Peer-Reviewed Articles
Inwhan Greg Lee, Jihoon Jeong, Jung Wook Kim, & Younghwan Jeon, (Forthcoming), The Effects of Citizens' Risk Perceptions on Voluntary Compliance with Government Policies: Protective Action Decision Model, Public Performance & Management Review, 1–29. https://doi.org/10.1080/15309576.2025.2563365
Jihoon Jeong, & Jung Wook Kim, (Forthcoming), Understanding Nonprofit-Nonprofit Collaborations: Insights from Voluntary Failure Theory, Nonprofit Management & Leadership, 1-15. https://doi.org/10.1002/nml.21662
Jiwon Suh, Jennifer Reiner, & Jung Wook Kim, (2023), Agile Management to Agile Collaboration in the Nonprofit Sector: Cas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Korean Journal of Urban Studies, 24, 169-214.
Young-Hyun Song, & Jung Wook Kim, (2023), The Spatial Spillover Effect of Technology Innovation Network in Cities: A Case of the High-Tech Industry of Yangtze River Delta,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Science, 27(3), 414-441. https://doi.org/10.1080/12265934.2022.2149610
김정욱 (2022). 지방자치단체의 주민자치회 운영 사례 분석: 인천광역시를 사례로, 「도시행정학보」, 35(1). 23-47. (A Case Study of Community Organizations in Incheon)
Jung Wook Kim, (2020), What are the Factors Encouraging Neighborhood Associations to Assume Roles in Urban Governance?, VOLUNTAS, 31(2), 359-374. https://doi.org/10.1007/s11266-018-0029-4
김정욱・송영현・여관현 (2020). 인천광역시 민관협력 네트워크 분석: 비영리민간단체를 사례로, 「지방정부연구」, 24(1). 269-289. (Network Analysis of the Public and Nonprofit Partnership in Incheon, South Korea)
김정욱・진성만・여관현 (2019). 지방자치단체의 사회성과보상사업(SIB)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함의: 국내·외 SIB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적가치와 기업연구」, 12(1), 45-80. (Implications for Promoting Social Impact Bond of Local Government)
김정욱・진성만・여관현 (2019). 지방자치단체의 비영리민간단체 공익활동 지원과 정책적 함의: 특별시・광역시 중간지원조직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31(2), 55-79. (Implications from Local Government Support for Nonprofit Organizations: the Cases of Intermediary Organizations in Metropolitan Cities)
김정욱・진성만・여관현 (2019). 강화군 마을사업에서 주민조직의 참여와 역량분석: Chaskin의 공동체 역량 형성 모형을 활용하여, 「도시연구」, 15, 143-178. (How Do Community Organizations in Ganghwa Engage in Community Project?: From Chaskin’s Community Capacity Framework)
Jung Wook Kim, & Hee Soun Jang, (2017), Why Do Residents Participate in Neighborhood Associations? The Case of Apartment Neighborhood Associations in Seoul, Korea, Journal of Urban Affairs, 39(8), 1155-1168. https://doi.org/10.1080/07352166.2017.1319229
Jung Wook Kim, Hee Soun Jang, & Lisa A. Dicke. (2017), The Civic Health Generated by Neighborhood Associations Seoul, South Korea: A Consider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Advocacy Roles, Journal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Administration, 39(4), 119-152. http://www.jstor.org/stable/44504694
Jung Wook Kim, & Kyujin Jung, (2016), Does Voluntary Organizations’ Preparedness Matter in Enhancing Emergency Management of County Government?, Journal of Local Self-Government,14(1), 1-17. https://doi.org/10.4335/14.1.1-17(2016)
Hee Soun Jang, Jesus N. Valero, Jung Wook Kim, & Kristina Cramb, (2015), Understanding the Diverse Forms of Nonprofit Collaborations: The Case Study of Partnership Management of Communities in School of North Texas, Journal of Public and Nonprofit Affairs, 1(2), 100-117. ttps://doi.org/10.20899/jpna.1.2.100-117
Minsun Song, Jung Wook Kim, Yonghee Kim, & Kyujin Jung, (2015), Does the Provision of Emergency Information on Social Media Facilitate Citizen Participation during a Disaster?, International Journal of Emergency Management,11(3), 224-239. https://doi.org/10.1504/IJEM.2015.071707
Jung Wook Kim, & Kyujin Jung, (2013), Does Civic Engagement Resolve Accountability Dilemmas in Local Govern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Policy Studies, 4(1), 87-104.
김정욱・김종수 (2011). 런던 도클랜드 Royal Docks 재개발 사업의 도시유형론적 분석, 「정책개발연구」, 11(2), 29-48. (Urban Typological Analysis on the Urban Renewal Development in the Dockland Royal Docks of London)
Dissertation or Thesis
Jung Wook Kim (2017) The Civic Roles of Neighborhood Associations in Seoul: Implications for Urban Governanc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North Texas.
김정욱 (2010) 「지역사회의 사회적가치 형성과정에서 자발적 결사체의 역할에 관한 연구: 성미산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단행본(Book), 보고서(Policy Report), Book Chapter, & 기타 간행물
서울시립대학교 도시행정학과 (공저) (2025). 「도시행정학」 (제2판). 박영사.
김정욱, 2장 도시정치시스템과 거버넌스
송영현・김정욱, 5장 도시공공서비스
김정욱, 13장 미래의 도시행정
Hee Soun Jang, & Jung Wook Kim. (2023). Nonprofit and Government Partnerships in Public Service Delivery in South Korea. In The Oxford Handbook of Governance and Public Management for Social Policy (pp.278-291). Oxford University Press. doi.org/10.1093/oxfordhb/9780190916329.013.32
김정욱・정남숙・최의란 (2022). 「연수구형 마을공유공간 조성 및 운영방안」, 인천연구원.
김정욱・안지선 (2022). 「인천시 청년 참여 현황분석 및 제도 개선 방안」, 인천연구원.
김정욱・안지선 (2022). 「캠프마켓 시민공론화 운영 방안」, 인천연구원.
김정욱・안지선 (2021). 「인천광역시 위원회 운영 활성화 방안」, 인천연구원.
조성윤・김정욱・안지선・윤세미 (2021). 「인천광역시 기능연속성계획 수립 연구」, 인천연구원.
김정욱・정남숙 (2021). 「인천광역시 주민자치회 운영 개선방안」, 인천연구원.
이행준・김정욱・윤주현 (2021). 「인천시 자치경찰제 시행을 위한 기초조사」, 인천연구원.
최태림・김정욱・이자훈 (2021). 「인천광역시 일자리 사업 성과평가시스템 구축」, 인천광역시.
김정욱・이왕기・이자훈 (2021). 「인천광역시 제2기 마을공동체 만들기 기본계획」, 인천광역시.
배광빈・김정욱 (2020). 「인천광역시 민관위탁사무 타당성 여부 검토」, 인천연구원.
김정욱・장정연・이자훈・이연정 (2020). 「미추홀구 마을공동체 중간지원조직 운영방안」, 인천연구원・미추홀구.
김정욱・정남숙 (2020). 「인천시 자원봉사 활성화 방안」, 인천연구원.
채은경・이미애・김정욱・이주헌・오수길・정남숙・안지선 (2020). 「인천광역시 민관협치 활성화 기본계획 수립」, 인천광역시.
이행준・김정욱 (2020). 「인천형 자치경찰제도 도입방안」, 인천연구원.
배은주・이미애・채은경・김정욱・조혜정・정혜은・최영화・민경선 (2020). 「코로나19 위기에 대한 인천 시민들의 인식 및 요구」, 인천연구원.
김창수・심진범・남근우・안내영・김수한・김운수・김정욱・조혜정・최영화・최태림・임수진・김지선・전유정・사경은・주필주 (2019). 「평화도시 인천 비전 및 전략 연구」, 인천연구원.
김정욱・주필주・문유진 (2019). 「연수구 주민자치센터 운영방안」, 인천연구원・연수구.
서봉만・윤혜영・최영화・최태림・김정욱・오수영 (2019). 「인천 청년실태조사 및 청년정잭 기본계획(2020~2024) 수립」, 인천광역시.
채은경・이미애・김정욱・석종수・정남숙・안지선・서지민・서형준 (2019). 「성과 중심의 업무관리체계 컨설팅 용역」, 인천광역시.
채은경・김정욱・석종수・이미애・안지선・정남숙・서지민 (2019). 「성과관리제도 개선을 위한 성과지표 개발」, 인천연구원.
채은경・김정욱・배광빈・정남숙・안지선・박서연 (2019). 「인천광역시 조직문화 진단과 시사점」, 인천연구원.
Hee Soun Jang & Jung Wook Kim (2019). Community Building Policy in Seoul, South Korea, Electronic Hallway at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http://dx.doi.org/10.4135/9781526478924 (Peer-reviewed; Developed version of Jang & Kim (2017))
김정욱・정규진 (2018). 「인천시 도시 재난 복원력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재난 복원력 스코어카드를 중심으로」, 인천연구원.
채은경・이미애・김정욱・정남숙・안지선 (2018). 「2023 중장기 경영전략계획」, 인천시설공단.
김수한・김정욱・박경선・전유정・이호진 (2018). 「한강하구 인천권역 평화기반 조성 방향과 과제」, 인천연구원.
김윤영・김정욱・진성만・김아진 (2018). 「경로당 조성 계획 수립을 위한 정책 연구」, 인천연구원・미추홀구.
김정욱・진성만 (2018). 「인천광역시 사회성과보상사업(SIB) 도입방안」, 인천연구원.
김정욱・진성만 (2018). 「인천시 비영리민간단체의 공익활동지원을 위한 기초조사」, 인천연구원.
김정욱・진성만 (2018). 「강화군 통일기반 조성사업의 주민참여 방안」, 인천연구원.
김정욱・진성만 (2017). 「인천시 공익활동 지원방안 연구」, 인천발전연구원.
김정욱・진성만 (2017). 「인천시 공무원 교육훈련 중장기 수요조사와 개선방안」, 인천발전연구원.
Hee Soun Jang, & Jung Wook Kim (2017). Transforming Seoul: Rethinking Neighborhood, In Korea Cases in Public Administration for Training and Practice, Korea Institute for Public Administration (Ed.,), Daeyoung Moonhwasa (pp.137-164). (Peer-reviewed)
김찬동・김귀영・이혜숙・배준식・김정욱 (2012). 「지방분권가치 선언을 위한 정책자료」, 서울시정개발연구원.
김찬동・김인희・김정욱・황하 외 (2012). 「2020 서초구 중장기 정책발전계획」, 서초구-서울시정개발연구원.
김찬동・김정욱 외 (2012). 「서울시의회의 대의기능 강화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김종수・김정욱 (2011). 성미산 마을만들기 사례를 통해 본 사회적경제의 길, 「정책동향분석」, 제9호, pp.51-58, 충남발전연구원.
김찬동・김정욱 (2011), 「서울시 정책홍보 효과성 제고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김찬동・박은철・김정욱 (2010). 「아파트 관리 공공성 제고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박은철・이주헌・김정욱・이정화 (2010). 「아파트 주거복지 프로그램 운영 개선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