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 이 홈페이지는 만료되었습니다. [새 홈페이지로 이동]
This website has expired. Please move to the new website [mmc.hallym.ac.kr/].
학생 진로를 최우선으로 두며 진로 확정 시 언제든지 졸업 가능
국제 우수 논문 작성에 중점을 둡니다 (연구페이지)
참여 프로젝트 (선택 가능):
1. 의료 AI: 의료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동 진단을 내리는 AI 설계 (5개 병원과 협업 중)
2. 게임 AI: 챗봇 기반의 게임 아바타 연구, 플레이 패턴인식AI 개발 (산업체 공동연구)
3. AI 보안 (대학원): AI가 유발하는 다양한 보안 이슈(딥페이크, 저작권 등)에 대한 연구
프로젝트 참여에 따른 인건비 지급
학사 30~100, 대학원생 100~220만원
연구 활동을 위해 수강을 계획해야 하는 교과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파이썬, 인공지능수학(2학기), 딥러닝(2학기), 영상처리와 딥러닝(2학기)
학부 전공 2~3학년, 혹은 연구실 석사 진학에 관심있는 4학년 학생
성적표 스크린샷과 간단한 자기 소개를 제 이메일(juhou@hallym.ac.kr)로 보내주세요.
선발 기준:
가능성: 기초 전공 우수(평점 3.5↑), 혹은 전공 성적이 크게 향상 중임
성실성: 연구실에 매일 나와 공부할 수 있는 꾸준함
우대사항: 석/박사 지망생, 코딩 or 영어 우수, 핵심 전공 A+
현재 재학중인 연구생(링크)을 통하여 연구생 생활에 대해 문의할 수 있습니다.
이기훈, 010-6227-3428, dlrlgns1104@naver.com
김강수, 010-3997-1813, gangsu1813@gmail.com
서상혁, 010-8792-5267, a52675268@naver.com
학부연구생의 경우 학기 중 수업 및 학과 공지 등을 통한 신청 기간에 선발하며, 연구실의 상황에 따라 그 외의 기간에도 수시로 모집할 수 있습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2~3학년 학생 혹은 석사를 희망하는 4학년 학생을 받고 있으며, 선발 시 고려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능성: 기초 전공을 우수하게 이수하였거나, 전공 성적이 크게 향상 중임
성실성: 연구실에 매일 나와 공부할 수 있는 꾸준함
그 외 +요소: 석/박사 지망생, 영어 우수자, 지도 교수 담당 수업에서 A학점 획득
학부연구생으로 선발되면 연구실에 출근하여 일정기간(2~3개월) 실무를 위한 기초 공부와 기본기를 쌓는 시간을 갖게 됩니다. 일정 수준 이상의 실무 능력과 성실성을 갖추었다고 판단되는 학생에게는 아래에 설명할 다양한 기회가 주어질 수 있습니다.
정부 및 의과대학 프로젝트의 경우 일반적으로 1~3명(선/후배 학생)이 한 팀이 되어 교수 지도 하에 참여하게 됩니다. 참여하는 학생은 주기적으로 지도 교수와 프로젝트 진행에 대한 미팅을 진행하게 됩니다. 참여 학생은 프로젝트 종류에 따라 소정의 인건비를 받을 수 있으며, 연구 결과물에 실질적 기여를 하는 학생은 추후 논문 및 특허 작성 시 저자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집니다.
경험이 어느정도 쌓인 학생은 국제학회 및 SCI저널 등을 목표로 논문을 작성하는 프로젝트를 만들거나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논문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구 면담 신청, 대학원 수업 프로젝트, 지도 교수가 공모하는 주제에 응모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학생이 1저자가 되어 논문을 작성하게 됩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우수 국제학술대회 및 저널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며, 지도 교수는 논문이 게재되는데 도움이 되는 모든 부분을 지도합니다. 연구생이 우수 논문을 준비하고 내는 과정은 결코 쉽지 않지만(최소 1년 소요) 관련 분야의 취업 및 진학에 있어 모두가 인정하는 강력한 포트폴리오가 됩니다. (Research참조)
학생들은 외부에서 주관하는 인공지능 경진대회에 선후배들과 팀을 꾸려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습니다. 저희 연구실은 최고의 경진대회 환경을 위해 고성능 딥러닝 하드웨어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으며 (NVIDIA RTX4090 7대, RTX3090 13대 등 보유), 중요 대회의 경우 지도 교수 허락 하에 연구실의 하드웨어 자원을 모두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는 우수한 졸업생과 좋은 논문 두 가지가 연구/교육 기관으로써 저희 연구실의 가장 큰 성취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연구실의 모든 지도는 학생의 희망 진로를 중심으로 두고 있으며, 졸업생의 진로는 그 무엇보다 최우선 시 됩니다. 단, 지도 교수와의 정기 면담이 많지 않으므로(한 학기 1~2회), 진로 설정에 고민이 있는 경우 본인이 적극적으로 나서서 면담을 신청해 주어야 합니다.
그 외로 알아두어야 할 사항은:
프로젝트 참여는 학생의 희망 진로와 재학 기간, 수행 능력을 고려하여 결정합니다. 재학 기간과 프로젝트 기간이 맞지 않는 경우 참여가 힘들 수 있습니다.
매 학기 면담 시 상호 간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학기 단위(6개월)로 연구생을 계속하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학생과 방향성이 맞지 않는 경우, 성실성이나 수행 능력이 부족한 경우, 그 외 프로젝트를 지속할 수 없는 사정이 생긴 경우 해당 자리는 새로운 학부연구생으로 대체됩니다.
협의 하에 졸업 이후나 휴학 상태로도 연구원 생활을 지속할 수 있습니다. 면담을 통해 연구원 TO가 있는지 문의해 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