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우(2025.6) 한국의 극우 포퓰리즘과 인권: 12.3 비상계엄 이후 한국 극우 유튜브 채널과 퇴행적 인권 담론. 인권연구 8(1) 39-78. (DOI: 10.22976/JHRS.2025.8.1.39)
김종우(2025.3) 한국적 극우 포퓰리즘 담론의 구조와 전파 양상: 12.3 비상계엄 사태 직후 극우 유튜브 채널-이용자 연결망과 댓글 분석. 현상과인식 49(1) 135-162. (DOI: 10.46349/kjhss.2025.03.49.1.135) (KCI, 1229-3555)
김종우 (2024.6) 한국 사회의 인권 상황 인식과 시사점: 2022년 인권의식실태조사 자료의 IPA 분석. 인권연구 7(1), 133-166. (DOI: 10.22976/JHRS.2024.7.1.133) (KCI, 2765-6748)
김위정, 김종우 (2024.6) AI 활용 교육의 사회․윤리적 쟁점에 관한 교원의 인식. 교육문화연구 30(3), 117-142. (DOI: 10.24159/joec.2024.30.3.117) (KCI, 1598-9283)
Lee, Jaejoon., Kim, Jongwoo & Lee, Soo Kyoung. (2024.6) Trends of fear and anger on YouTube during the initial stage of the COVID-19 outbreak in South Korea. BMC Public Health 24, 1496. (DOI:https://doi.org/10.1186/s12889-024-19023-6) (SCIE, 1471-2458)
Kim, Jongwoo & Lee, Jaejoon (2023.9). The Politics of Quarantine: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Negative Social Affects in the Early Stage of COVID-19 in South Korea. Korea Observer 43(3): 437-464. (DOI: 10.29152/KOIKS.2023.54.3.43 ) (SSCI,2586-3053)
김종우, 김위정, 이가람 (2023.6). 학생 인권과 교권 관계에 관한 학생의 인식: ‘2022 경기도학생인권실태조사’를 중심으로. 인권연구 6(1): 65-99. (DOI: 10.22976/JHRS.2023.6.1.65) (KCI,2635-4632)
Lee, Jaejoon & Kim, Jongwoo (2023.5). Social Exclusion on Vagrants in Modern Korean History: Disgust Behind Institutional Isolation. FILOSOFIJA. SOCIOLOGIJA 34(2): 139-147. (DOI:https://doi.org/10.6001/fil-soc.2023.34.2.3 ) (SSCI, A&HCI,0235-7186)
김현민, 김종우, 이상준 (2022.12) 라이프스타일 운동과 사회운동의 접점 및 한계: 부산 비건 매핑운동 사례. 문화와사회, 30(3), 7-62. (DOI: 10.17328/kjcs.2022.30.3.001) (KCI,1975-7239)
김종우, 김왕배, 김현민 (2022.12) 한국의 기본소득 연구 동향과 그 함의: 국내학술지의 주제어 의미연결망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2(12), 40-51. (DOI: 10.5392/JKCA.2022.22.12.040) (KCI,1598-4877)
김종우, 서현수 (2022.6) 차별금지/평등법 제정의 정치과정: 제도, 행위자, 담론을 중심으로. 인권연구, 5(1), 87-131. (DOI: 10.22976/JHRS.2022.5.1.87) (KCI,2635-4632)
김종우, 김왕배 (2022.6) ‘공정’ 가치 담론에 관한 대중매체의 정파성과 감정 동학: 주요 일간지 사설을 중심으로. 담론201, 25(2), 65-102. (DOI: 10.17789/discou.2022.25.2.003) (KCI,1598-1118)
Kim, J., Joo, S., Lee, K., & Jun, H. (2022.1). Family Values in South Korean Society: Marital and Sexual Values in Gender, Age, and Protestantism Contexts. Journal of Population and Social Studies, 30, 54-71. (10.25133/JPSSV302022.004) (SCOPUS,2465-4418)
김종우 (2021.12) 코로나19와 권리 제한의 담론: 코로나19 방역 정책에 대한 대중매체 담론과 국가 책무성 논의, 인권연구, 4(2), 55-86. (DOI: 10.22976/JHRS.2021.4.2.55) (KCI,2635-4632).
김종우, 강지웅(2021.12) 감염병과 감정: 신종감염병에 관한 대중매체의 메시지와 공포, 분노 감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1(12), 816-827. (DOI: 10.5392/JKCA.2021.21.12.816) (KCI,1598-4877).
김종우, 강지웅 (2021.6.) '빨갱이'담론의 적대성 변화: 국내 주요 일간지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통일인문학, 86, 371-404. (DOI: 10.21185/jhu.2021.06.86.359) (KCI, 2288-9841)
김종우 (2021.3.) 한국의 포괄적 차별금지법을 둘러싼 담론 지형과 이중화된 인권: 포괄적 차별금지법 입법 과정을 중심으로. 경제와사회, 129, 84-117. (DOI: 10.18207/criso.2021..129.84) (KCI, 1227-1373)
박하영, 주수산나, 김종우, 송시영 (2020.9.) 나의 미래, 나의 선택: 정규직 미혼여성의 직장경험을 통해 본 결혼 및 출산에 관한 인식. 가족과문화, 32(3), 79-107. (10.21478/family.32.3.202009.003) (KCI, 1229-5973)
유계숙, 주수산나, 김종우 (2020.9.)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기혼 성인 남녀의 스트레스 경험: 젠더와 계층의 교차성을 중심으로. 여성연구, 106(3), 5-32. (DOI: 10.33949/tws.2020.106.3.001) (KCI, 1225-7214)
김왕배, 김종우 (2020.3.) 호혜경제와 갈등의 감정동학. 현상과인식, 44(1), 91-114. (DOI: 10.46349/kjhss.2020.03.44.1.91) (KCI, 1229-3555)
김종우 (2019.6.) 사회적 표상으로서의 인권: 차별금지법 관련 보도에 드러난 인권 담론을 중심으로. 인권연구, 2(1), 1-33. (2635-4632)
이가연, 주수산나, 김종우 (2019.3.) 현상학적 관점에서 본 한국 개신교 미혼 청년의 연애와 성. 가족과 문화, 31(1), 56-84. (DOI: 10.21478/family.32.3.202009.003) (KCI, 1229-5937)
Kim, J. (2018.12.) The Relationship between Frequency of Injuries and Workplace Environment in Korea: Focus on Shift Work and Workplace Environmental Factors. Safety and Health at Work 9(4), 421-426. (https://doi.org/10.1016/j.shaw.2018.01.006) (SSCI, 2093-7911)
김종우, 주수산나 (2018.4.) 학교상담현장에서 인식하는 학업중단숙려제의 실제: 근거이론 접근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9(2), 107-124. (KCI)
김종우 (2017.12.) 인권 담론의 유형과 제도의 변동: 차별금지법을 중심으로. 민주주의와 인권, 17(4), 171-203. (KCI)
주수산나, 김종우 (2017.12.) ‘학교 안’에서 ‘학교 밖’으로의 전환 과정: 학교 밖 청소년 유관기관 종사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8(6), 499-522. (KCI, 교신)
김종우 (2017.11.) 한국 식(食)문화의 문화적 경계에 대한 탐색: 주류 선호 및 식품 품질에 대한 태도를 중심으로. 사회과학논집, 48(2), 139-159. (KCI)
김종우, 주수산나 (2017.4.) Foucault의 통치성 관점을 통해 분석한 청소년 문제 담론의 변화. 상담학연구, 18(2), 223-243. (KCI)
김종우, 김왕배 (2016.2.) 감정노동 담론의 경합과 공존: 의미연결망을 통한 유형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50(1), 163-188. (KCI)
김왕배, 김종우 (2012.12.) 인권으로서의 건강권에 대한 탐색과 전망, 보건과사회과학, 32, 1-18. (KCI)
2025.5.24. 김종우. "한국 극우 포퓰리즘 담론에서 '인권'의 재구성." 한국인권학회-인권법학회 2025 상반기 공동학술대회. 서울: 서울대학교.
2024.11.9. 김종우. "한국 인구 정책 변천과 인권적 함의: 지난 100년간의(1920-2024) 미디어 데이터는 무엇을 이야기 하고 있는가?." 한국인권학회 2024 하반기 학술대회. 서울: 숙명여자대학교.
2023.11.18. 김종우. "환경과 권리 담론의 흐름과 현황: 주요 권리 선언 등에 관한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인권학회 2023 하반기 학술대회. 서울: 서울대학교.
2023.8.19. 김종우. "데이터로서의 텍스트 그리고 연구자." 한국이론사회학회 2023년 연례학술대회. 서울: 광화문HJ비즈니스센터.
2023.5.13. 김종우, 김위정, 이가람. "학생 인권과 교권 관계에 관한 다각적 접근." 한국인권학회-인권법학회 2023 상반기 공동학술대회. 서울: 서울대학교.
2022.11.26. 김종우. "문화적 키워드로서의 '인권': 국내 인권 용어의 사용동향과 특징." 2022 하반기 한국인권학회 학술대회. 서울: 서울대학교.
2022.8.18. 김종우(토론), "간호사 태움 자살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 제도적 문화기술지 접근." 2022비판사회학회 하계학술대회. 전주: 전북대학교.
2022.6.4. 김종우(라운드테이블). "현대 평등 정치의 다양한 경로와 딜레마." 2022 상반기 한국인권학회 학술대회. 서울: 서울대학교.
2022.6.4. 김종우, 서현수. "평등법 제정의 정치과정: 제도, 행위자, 담론을 중심으로." 2022 상반기 한국인권학회 학술대회. 서울: 서울대학교.
2022.5.27. 김종우(라운드테이블). "차별금지/평등법 제정을 둘러싼 저항의 언어와 포괄적 보수주의의 효과." [대전세종연구원 기획세션] 도시는 누구에게나 평등한가? 소수의 목소리와 사회적 호응. 한국문화사회학회 2022년 봄 학술대회. 대한상공회의소, 서울.
2021.12.17. 김종우(토론), 2021 한국사회학회 정기사회학대회. 복지/평등 세션, 문화2 세션. 온라인.
2021.12.10. 한국인권학회 연구위원회, 김종우, 주윤정. 문재인 정부 및 국가인권위원회 인권정책 수행 평가에 관한 전문가 조사 결과 발표. 2021년 한국인권학회 하반기 학술대회. 한국인권학회. 온라인.
2021.7.2. 김종우. 코로나19와 권리 제한을 둘러싼 담론의 갈등구조. 2021년 온라인 인권학술대회. 한국인권학회, 인권법학회. 온라인.
2021.6.24. 김종우(토론) "기술과 포용성: 기술에 반영되는 편향성과 해소방안." 인문360 제3회 인간과 기술 포럼.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서울: 공간성수.
2021.5.20. 김종우. 코로나19와 권리의 충돌: 코로나19 범유행 상황의 인권 관련 보도의 사례. 한국인권학회 제17차 월례포럼. 온라인.
2020.12.17. 김종우. 한국의 포괄적 차별금지법 제정을 둘러싼 담론의 경합. 2020 부산대 성평등네트워크심포지엄. 부산대학교(온라인). 부산: 대한민국.
2020.11.27. 김종우. 사회적 위험의 구성과 인권 담론의 변동: COVID-19 위험 인식과 인간 안보 개념을 중심으로. 2020 한국문화사회학회 가을. 덕성여자대학교(온라인). 서울: 대한민국.
2020.8.14. 김종우,강지웅. 혐오라는 나이테: 혐오표현으로서의 빨갱이의 의미 변화 분석. 2020년 한국정보사회학회 · 한국미디어경영학회 상반기 정기학술대회. 고려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2020.7.1. (특강)김종우, 차별과 미디어 정파성: 차별금지법에 관한 미디어 텍스트 마이닝을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진주: 대한민국.
2020.5.22. (특강)김종우, 한국의 인권담론과 정파성 지형: 차별금지법에 관한 미디어 보도를 중심으로. 2020 문화사회학회 콜로키엄(5월). 서울: 대한민국.
2019.10.26. 김종우, “한국사회 차별에 대한 이해와 정파성.” 2019 비판사회학대회, 이화여자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2019.6.14. (토론) 김종곤, “분단적대성 지표 개발 연구” 냉전학회, 동아시아학술원 HK+연구소, 성공회대 동아시아연구소 HK+, 건국대 통일인문학연구단 공동학술회의. 성균관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2019.6.8. 김종우. “차별금지법 제정 역사: 구조화 토픽 모델을 중심으로.” 2019 한국인권학회-인권법학회 하계 공동학술대회, 서울대학교.
2019.5.25. 이가연, 전혜정, 주수산나, 김종우. “연령, 성별, 종교에 따른 결혼가치관과 성가치관의 차이.” 2019 가정학분야춘계공동학술대회, 서울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Poster presentation)
2019.1.24. 김종우, “차별금지법과 인권 담론: 쟁점으로서의 성적 지향.” 제11회 성소수자 인권포럼, 서울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2018.12.8. 김종우. “차별금지법과 인권 담론: 성적 지향 쟁점과 그 이면” 한국사회학회 2018 정기사회학대회. 중앙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2018.10.27. 박하영, 주수산나, 김종우. “나의 미래, 나의 선택: 정규직 미혼여성의 직장경험을 통해 본 일-가정 양립에 관한 인식.” 2018 한국가족학회-일본비교가족사학회 공동추계학술대회, 서울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2018.4.21. Kim, Jongwoo. “Human Rights Discourse and Locality: Focused on Local Newspaper Discourse on the Human Rights Ordinances.” PBBP workshop 2018, Freie Universität Berlin, Berlin: German.
2017.11.4. Kim, Jongwoo & Joo, susanna. “The Reality of ‘Institutional Delay before School Drop-out’ in School Counseling Field: Based on Grounded Theory from Counselors at Wee-class and Wee-center” 2017 Research Network on Education, Family, and Inequality in Korea (EFIK) Graduate Student Conferenc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hiladelphia: PA.
2017.10.27. 주수산나, 송시영, 김종우. “양(兩)부모와 한부모 가족구조가 청소년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 2017 추계학술대회, 상명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Poster presentation)
2017.8.11. 주수산나, 김종우. “학교 안에서 학교 밖으로의 전이: 학교밖 청소년 유관기관 종사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2017 한국상담학회 연차학술대회, 건국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Poster Presentation)
2017.4.4. 김종우. “네트워크를 활용한 텍스트 분석” 건국대학교HK사업단 통일인문학연구단 제43회 콜로키움, 건국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2017.3.31. 김종우. “인권담론의 생산과 제도의 변동: 포괄적 차별금지법 입법과정을 중심으로” SSK인권포럼 제2회 차세대인권리더컨퍼런스, 고려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2016.12.16. 김종우. “인권 담론의 생산과 변동: 차별금지법 입법 과정을 중심으로”, 2016년도 한국사회학회 후기사회학대회, 서울시립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2016.10.21. Kim, Jongwoo. “Discourse Dynamics on Human Rights Acts in Korea – In case of legislating Anti-Discrimination Law.” Conference for Intercultural Exchange 2016. University of Vienna, Vienna: Austria.
2016.7.6. 김종우. “교대근무와 건강: 교대근무 유형과 근로환경요인을 중심으로” 제3회 근로환경조사 논문대회. COEX, 서울: 대한민국.
2016.6.18. 김종우. “교대근무와 건강”, 2016년도 한국사회학회 전기사회학대회. 이화여자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2012.12.15. 김종우, 강지웅. “모니터 위의 금남로를 걷다: “26년”에 대한 수용태도와 5.18에 대한 인식”, 2012년도 한국사회학회 후기사회학대회. 경희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2012.10.20. Kim, Jongwoo. “The Rise and Transition of Multicultural Discourse in Korean Government: An Analysis of the Korean Act on Multiculturalism.” International Symposium for Young Sociologists of Taiwan, South Korea, and Japan 2012, Kobe University, Kobe: Japan.
2012.8.23. 김종우. “감정노동은 어떻게 감정노동이 되고 있는가: 중앙일간지 및 학술지 논문 분석”, 제5회 전국사회학과대학원생 학술대회. 연세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2012.6.25. 김종우. “감정노동은 어떻게 감정노동이 되었는가: 한국의 중앙일간지보도와 감정노동 담론 형성유형”, 2012년도 한국사회학회 전기사회학대회. 경남대학교, 마산: 대한민국.
2011.8.27. 김종우. “야간(교대)노동과 건강권”, 제3회 전국사회학과대학원생 학술대회. 연세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2025.6-: 2025 (A유형)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2022.4: 2021년 2학기 우수강의상(교과목: 사회조사방법) 수상(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9-2019.8: BK21플러스 지원대학원생 (한국연구재단)
2018.5: 2018년 연구등록생 연구경쟁력 강화사업 연구장학금(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2: 대학원 세미나 학술지원 최우수논문(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3-2018.2: 대학원 세미나 학술지원 장학금(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3.31: 제2회 SSK인권포럼 인권논문공모전 우수상, “인권담론의 생산과 제도의 변동: 포괄적 차별금지법 입법과정을 중심으로.” (SSK인권포럼, 휴먼아시아)
2016.7.6: 제3회 근로환경조사 논문대회 우수상, “교대근무와 건강: 교대근무의 유형과 근로환경요인을 중심으로.” (산업안전보건공단)
2015.9-2016.2: 경원문화재단 장학금 (경원문화재단)
2013.3-2013.8: BK21 지원대학원생 (한국연구재단)
2012.3-2013.2: 국가연구장학금: 인문사회계 (한국장학재단)
2011.3-2012.2: BK21 지원대학원생 (한국연구재단)
2024.9-현재 연세대학교 사회학과BK21FOUR "분열사회의 사회적 포용을 위한 성찰적 공감인재 양성" 교육연구단 연구교수
2025.5.-10.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이주민 정책 담론과 문화정책 방향> 공동연구원.
2025.1-12.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의 소득 분배와 체감 분배 간 괴리의 원인에 대한 연구> 공동연구원.
2025.3-11. 국가인권위원회, <2025 국가인권통계 연구용역> 공동연구원.
2024.8-12. 경기도교육연구원, <데이터 기반 학교안전사고 예방 체계 구축 연구> 공동연구원.
2024.5-11. 서울연구원, <약자동행 정책 지식네트워크 구축: 약자동행 정책의 이론적 근거 삶의 질 제고 논의> 공동연구원.
2024.3-11. 국가인권위원회, <2024 국가인권통계 연구용역> 공동연구원.
2024.1-6. 대전세종연구원, <청년 인식 심층분석을 통한 대전 이주와 정주 지속 영향 요인 탐색> 공동연구원.
2024.1-12.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미래사회 대비 보조생식기술을 통해 출생한 아동의 친자관계 결정 기준 정비> 공동연구원.
2024.1-12.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보이스피싱 피해자의 심리 분석을 통한 피해 예방 방안 연구> 공동연구원.
2023.9-12. 경기도교육연구원, <2023 경기도 학생인권 실태조사> 공동연구원.
2023.9-12. 대전세종연구원, <인구통계 및 전입 사유 분석을 통한 2022년 대전 합계출산율 반등 원인 도출> 공동연구원.
2023.7-9. 대전세종연구원, <대전지역 외국인 인구 현황과 유입 정책 방향> 위촉연구원.
2023.7-8. 경기도교육연구원, <AI 활용 교육의 윤리적 쟁점과 과제> 위촉연구원.
2023.3-11. 국가인권위원회, <2023 국가인권통계 연구용역> 공동연구원.
2022.9-12. 경기도교육연구원, <2022 경기도 학생인권 실태조사> 공동연구원.
2022.9-2024.2 연세대학교 사회학과BK21FOUR "위험사회와 탈진실 시대의 성찰적 사회학자 양성" 교육연구단 연구교수
2022.3-11. 국가인권위원회, <2022 국가인권통계 연구용역> 공동연구원.
2021.9-12. 경기도교육연구원, <2021 경기도 학생인권 실태조사> 공동연구원.
2021.9-10. 전남대학교, 광주광역시, <5.18 피해자 실태조사 사전기획 연구> 공동연구원.
2021.8-10. 제주여성가족연구원, <코로나 시대 제주 청년여성의 정신건강 실태와 대응 전략> 초빙연구원.
2021.6. 여성가족부/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청소년정책분석평가센터, <2021년 청소년정책리포트 제1호: 후기청소년 갭이어 정책 필요성 및 운영방안> 공동저자.
2020.10-12.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20년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 결과집> 공동연구원.
2020.7- 2022.12. 한국연구재단 일반공동연구지원사업 “고도 개인화 시대의 가치정치” 공동연구원
2020.5-8. 제주시소통협력센터, 단순컴퍼니. <제주시소통협력공간 주민참여 실험활동사업 프로세스 분석 및 운영전략> 공동연구원.
2018.9-12. MCS사회적협동조합, 서울특별시 청년허브, <서울형 갭이어 지원방안 기초연구> 공동연구원.
2018.7-2019.8 한국연구재단 일반공동연구지원사업 “거시적 감정사회학 정립을 위한 탐색적 연구” , RA
2016.12.6. EBS, <다큐프라임> 제작자문 (제1086회, “감정시대-제2부: 감정의주인” 편)
2013.9-11. 충남연구원, <전략과제: 충청남도 자살 실태분석 및 예방정책 연구> RA.
2022.9~현재.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4단계BK21교육연구단 연구교수(BK21Four Program, Research Professor, Sociology, Yonsei University)
2020.7~현재.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전문연구원(Researcher, Institute for Social Development, Yonsei University)
2021.2~현재. 한국인권학회 연구이사
2021.2~2023.4. 한국인권학회 이사
2022.1~8.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학술연구교수(Research Professor, Institute for Social Development, Yonsei University)
2019.9~2021.12.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강사(Lecturer, Dept. of Sociology, Yonsei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