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 강의 (Undergraduate course)
▪ 그린에너지공학개론 (Introduction to Green Energy Engineering) - 1학년 1학기
· 그린에너지공학과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다양한 에너지자원의 유형과 특성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습득하는데 목적을 둔다. 전통자원(광물 및 석유가스), 비전통자원(셰일가스 및 오일샌드) 그리고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기본 개념과 안정적·지속적인 에너지자원의 수급을 위한 탐사, 개발, 생산, 복원 단계에 대한 기초 지식을 학습한다. 또한, 에너지 사용과 환경영향에 대한 이해를 통해 친환경적 미래 에너지 개발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갖도록 교육한다. 학생은 에너지자원들의 특성과 장단점을 종합적으로 비교분석할 수 있다.
▪ 재생에너지공학개론 (Introduction to Renewable Energy Engineering) - 2학년 1학기
· 에너지자원화학공학과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재생에너지에 대한 기초 지식을 습득하는데 목적을 둔다. 에너지자원 중 재생에너지의 유형 별 원리, 특성 및 장단점에 대해서 학습하고, 재생에너지원 별 출력 특성을 기반으로 지속 가능한 미래 에너지 수급과 적절한 에너지시스템 설계 방안에 대해 알아본다. 학생은 지역의 환경적∙전력수급 특성에 적합한 재생에너지원을 선택하고 설계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 태양에너지공학 (Solar Energy Engineering) - 3학년 1학기
· 에너지자원화학공학과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태양광에너지에 대한 기초 이론과 다양한 응용 사례를 이해하는데 목적을 둔다. 태양광에너지 기술 요소에 대한 학문적 지식을 습득하고,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의 기본 설계를 위한 전력 생산량 예측과 더불어 사회·지리적, 환경적, 경제적 관점에서의 타당성 평가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또한, 태양광 발전소 현장 방문,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활용 및 조사, 상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실습, 공모전 아이디어 분석 등 다양한 실습을 수행한다. 학생은 이론적 지식을 바탕으로 태양광에너지 발전 프로젝트에 의한 발전량, 환경성, 경제성을 평가할 수 있다.
▪ 광해방지공학 (Mine Reclamation Engineering) - 3학년 2학기
· 에너지자원화학공학과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광산피해를 조사, 분석, 복구하는데 필요한 이론 및 실무적 지식을 습득하는데 목적을 둔다. 광산개발 활동으로 야기되는 광산피해(광해)의 발생 원인과 종류, 특성, 현황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광해조사, 방지 및 복구를 위한 학문적 지식을 습득한다. 광해방지 이론 및 실무 이외에 광산지리정보시스템, 광해복구 이후 폐광지역의 경제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진흥 정책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학생은 이론적 지식을 바탕으로 광해 유형 별로 적합한 조사, 분석, 복구 방법을 제안할 수 있다.
▪ 에너지지형공간분석 (Energy Geospatial Data Analysis) - 4학년 1학기
· 에너지자원화학공학과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지리정보시스템 환경에서 에너지자원정보를 취득, 분석, 가시화하는 방법을 습득하는데 목적을 둔다. 에너지자원의 탐사, 개발, 생산, 복원 등 전과정에 활용될 수 있는 지리정보시스템 기술에 대해 학습한다. 다양한 지형공간 데이터의 종류와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지표 및 지하공간에 대한 지형 및 지질 공간정보의 분석 방법에 대해 공부한다. 학생은 소프트웨어의 지형공간분석을 통해 광물자원개발, 광해방지, 재생에너지 분야의 다양한 공간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태양광 자원량 평가 (Solar PV Resources Assessment)
· 본 수업에서는 태양광 자원량 평가에 대한 기초적 학문적 지식과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발전량, 경제성, 환경성을 평가하는 시뮬레이션 기법에 대한 이론을 학습하며, 관련 소프트웨어 실습을 수행한다.
▪ 태양광 지리정보시스템 (GIS for Solar PV Energy)
· 태양광에너지 분야에서 활용되는 지리정보시스템의 최신 기술동향을 파악하고, 관련 소프트웨어 실습을 수행한다.
▪ 광산 지리정보시스템 (GIS for Mining and Mine Reclamation)
· 자원개발 및 광해방지 분야에서 활용되는 지리정보시스템의 최신 기술동향을 파악하고, 관련 소프트웨어 실습을 수행한다.
▪ 광해방지공학 특론 (Advanced Mine Reclamation Engineering)
· 광해방지 및 폐광지역 진흥 정책에 대한 최신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관련 소프트웨어 실습을 수행한다.
▪ 지하공간정보관리 (Underground Spatial Information Management)
· 지하공간통합지도와 지하공간정보의 관리에 대한 이론을 학습하고, 이에 대한 최신 연구동향을 파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