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ent Research
Development of framework for decision support integrated impact assessment platform and application technology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Ministry of Environment, 2022-2028, Researcher.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의사결정형 통합 영향평가 플랫폼 기반 구축 및 활용기술개발, 환경부, 2022-2028, 참여연구원)
Development of AI-based urban flood damage risk prediction and evaluation technology for practical us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24-2028, Researcher. (AI 기반 도시침수 피해 위험도 예측 및 평가 실용화 기술 개발, 행정안전부, 2024-2028, 참여연구원)
Completed Research
Microplastic contamination in urban water bodies: Characteristic and behavior,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2022-2024, Principal Investigator. (도시유역 미세플라스틱의 하천 유입 성상 및 거동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2022-2024, 연구책임자)
파주 메디컬 클러스터 조성사업 공공하수처리시설 및 하수관로 설치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 중 EFDC 3차원 수리동역학 및 수질모델 확산영향평가, (주)동성엔지니어링, 2023-2024, 참여연구원.
Development of water quality management strategies of major dams in the Seomjin River Basin, K-Water, 2022-2023, Researcher. (영·섬 댐 상류 물환경관리 종합대책 수립용역, 수자원공사, 2022-2023, 참여연구원)
Development of water quality management strategies of major dams in the Geum River Basin, K-Water, 2022-2023, Researcher. (금강 댐 상류 물환경관리 종합대책 수립용역, 수자원공사, 2022-2023, 참여연구원)
Numerical model-based augmentation of hyperspectral image data for detecting spatial-temporal algal bloom occurrences in Daecheong lake, ETRI, 2022, Researcher. (대청호 시공간 녹조 영역 예측을 위한 수질 모델 기반 초분광 이미지 자료 확장기술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22, 참여연구원)
Improvement of modeling system for predicting salinity in Nakdong River, Busan City, 2022, Principal Investigator. (낙동강 염분 예측모의시스템 개선을 위한 용역, 부산 보건환경연구원, 2022. 연구책임자)
Input data development for 3-dimensional hydrodynamics-water quality model and deep learning model to improve spatio-temporal harmful algal blooms in Daecheong lake, ETRI, 2021. (대청호 시공간 녹조 예측을 위한 3차원 수리-수질동역학 모델 및 딥러닝 모델 입력 데이터 구축 기술,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21)
Development of deep learning based input data of three-dimensional hydrodynamics and water quality model to improve water quality prediction accuracy of Daecheong lake, ETRI, 2020. (대청호 수질 변화 예측 정확도 개선을 위한 딥러닝 기반 3차원 수리-수질동역학 모델 입력 데이터 예측 기술,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20)
Development of integrated evaluation model for climate change effect and vulnerability, Ministry of Environment, 2014-2020.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통합평가 모형요소 기술 개발, 환경부, 2014-2020)
Development of salt transportation monitoring and model in the Nakdong Estuary area, Busan City, 2019. (낙동강 하구 염분모니터링시스템 고도화,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2019)
Development of harmful algal bloom prediction system by combining water quality data modeling and deep learning, ETRI, 2019. (수질 데이터 모델링 기법과 딥러닝 결합한 시공간기반 녹조 예측 기술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9)
Water quality improvement methods for Hanryucheon in Goyang City, CJ K-Valley, 2019. (한류천 수질개선방안에 대한 기술적 검증, CJ 케이벨리 주식회사, 2019)
Development of water quality data modeling for Daechung Lake, ETRI, 2018. (물리모델 기반 대청호 인근 수질 환경 데이터 모델 구축,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8)
Safety and environmental function improvement for the Gwanpyungcheon detention pond, Daejeon City, 2018. (관평천 유수지의 안전 및 환경기능 제고를 위한 연구, 대전녹색환경지원센터, 2018)
관평천 유역 초기강우 오염물질 축적 및 이동 특성 조사 연구, 대전녹색환경지원센터, 2017.
Effect of phosphorus removal system on wastewater treatment plant discharge in the Han River, Seoul City, 2017. (물재생센터 총인처리시설 설치에 따른 한강 수질 영향예측 용역, 서울시청, 2017)
Identification and countermeasures of Harmful Algal Bloom occurrences in the Han River, Seoul City, 2017. (한강 녹조발생 원인분석 및 대책수립 연구 용역, 서울시청, 2017)
Development of sustainable waste load removal using self-purification,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2013-2018. (하도 내 물질순환을 고려한 자연정화기법 개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13~2018)
Effects of discharge from Samsung Electronics' Onyang Plant on the Gokgyo stream's water quality, Samsung Electronics Co., Ltd., 2015. (삼성전자 온양사업장 방류수질 및 수온이 곡교천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 및 범위 평가에 대한 연구, 삼성전자, 2015)
Development of prediction system for algal bloom and harmful algal bloom occurrences for Korean rivers, Ministry of Environment, 2013-2015. (한국형 조류 및 조류 독성 모델 및 데이터 통합형 예측시스템 개발,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환경부, 2013~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