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present the new findings on the changes in wage inequality and propose a simple theory to account for them.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al National Accounts between 1980 and 2019, the wage inequality in the United States exhibits two intriguing patterns: (1) The majority of increases in inequality occurred above the 80th percentile of the wage distribution, while the inequality below the 80th percentile remained relatively unchanged. (2) There is a strong regularity in the increase in wage inequalities above the 80th percentile: a log-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initial wage gap and the subsequent increase in the wage gap. This relationship is robust across all percentiles from the 80th percentile to 99.99th percentile. I show that a simple model that features an interaction between the span of control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managerial task can successfully replicate these patterns in wage inequality.
Real estate constitutes a large share of household asset portfolios. However, possessing extensive land assets doesn't contribute to production in the same way as other productive capital, like machinery and equipment since land just exists without active accumulation. This paper quantitatively studies the effect of introducing a land tax in a (state-of-the art) incomplete markets heterogeneous agents general equilibrium model. Introducing a tax on land rent can discourage the rent-seeking behavior on real estate and encourage the accumulation of production capital which will lead to an increase in wages (when capital and labor are complementary in production). As highlighted by Davila, Hong et al. (2012) this could mitigate income inequality (because low-income households rely on labor earnings rather than capital income) and enhance overall social welfare.
The Global Repository of Income Dynamics (GRID), initiated by Fatih Guvenen (Minnesota), Gianluca Violante (Princeton), and Luigi Pistaferri (Stanford), collects internationally comparable statistics on earnings inequality and dynamics based on administrative income data. As attendants of this project, we construct Korean statistics through a rich administrative dataset from NTS and NHIS. We anticipate producing the statistics by July 2024. This dataset will be very useful for analyzing the dynamics of income inequality and social mobility. Furthermore, it can be used as a baseline earnings dynamics calibration for the Korean economy.
대표적인 고용지표로 사용되는 경제활동인구조사의 취업자수와 평균근로시간이 실제로 생산에 투입되는 노동량을 보여주는 데 한계를 갖고 있을 가능성을 제기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고용지표를 제안한다. 첫째, 경제활동인구조사는 “사업 부진, 조업 중단으로 인한 일시 휴직자”를 취업자로 분류하고 있다. 이러한 일시 휴직자들을 (미국과 마찬가지로) 취업자에서 제외할 경우 생산활동 중단이 심했던 코로나 이후 기간에 대해, 고용과 GDP의 상관계수는 0.7에서 0.83으로 증가하며 고용의 GDP에 대한 탄력성(오쿤의 계수)은 0.6에서 0.98로 무려 63% 증가한다. 둘째, 우리나라의 경우 월별근로시간을 매월 15일이 속한 주에 일한 시간을 기준으로 계산하는데 해당 주에 음력 명절, 대체휴일, 선거 등이 겹치는 경우, 공식통계는 심각한 불규칙성을 내포한다. 보간법을 이용해 이 같은 불규칙성을 보정할 경우 총근로시간과 GDP의 상관계수는 공식통계대비 0.53에서 0.69로 높아졌다.
소비자 물가 지수가 실재하는 물가상승 압력을 미처 반영하지 못할 가능성을 지적하고 이를 보완할 방법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 세 가지 요인을 고려한다. (1) 타 기관 통계를 반영한 전세가격, (2) 자가 주거 비용 (3), 공공요금 관리로 인해 발생하는 공공기관 적자. 위 세 가지 요소를 전부 반영할 경우 2021년 12 월 기준 전년 대비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공식 통계치 3.7%보다 2.95%p나 높은 6.65%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물가상승 폭(2.95%p)에 대한 세 가지 요인의 기여분은 0.08%p(KB 전․월세 지수 사용), 1.62%p(자가 주거비 반영), 1.25%p(한국 전력과 한국가스공사의 원가 상승요인 반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