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신코일의 방향성에 관계없이 무선충전이 가능한 시스템
모터가 3상을 이용하면 회전자계가 형성된다는 사실을 활용하여 120도 각도에 120도씩 위상차이가 나는 80 kHz 고주파 전류를 인가하여 고주파 회전자계를 생성하는 시스템을 만듦
송신코일은 3개의 코일을 사용하고 수신코일은 1개의 코일을 사용함
송신기는 스위칭소자와 PWM 파형을 만드는 제어보드를 활용하여 고주파 인버터를 만들어 사용함
수신기는 전파정류기를 만들고, 레귤레이터 소자를 붙여서 일정전압이 나오도록 함
2025년도 전자파학회 하계학술대회 학부우수논문상 수상
주행중 무선충전을 위하여 바닥에 길이가 긴 송신코일을 디자인함
수신코일을 RC 카 하부에 부착하여 전원을 공급하도록 함.
송수신코일디자인, 송신인버터, 수신정류기 등을 설계 및 제작함
일반 자전거를 모터, 모터구동인버터, 배터리등을 이용하여 전기자전거로 개조
모터컨트롤러, 컨버터, 제어알고리즘 등 직접 설계 및 제작
제어는 아두이노보드를 활용함
실제운행결과 회생제동사용시 에너지 절감효과 검증함
핸드폰으로 제어를 하면 레일을 따라 움직이면서 자동으로 비료를 살포하는 장치 제작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기구구조 및 기어 비료저장통등 다양한 구조 제작
아두이노를 이용하여 모터를 제어하여 움직임 제어
비료통 하부에 스텝모터를 사용하여 회전시켜 비료를 살포하도록 디자인
전류, 전압 센서등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사용하는 전력을 모니터링하고 기록함
저장한 전력데이터를 사용하여 인공지능 학습을 진행하고 주간 전력사용량을 예측함
인공지능은 파이썬을 활용한 LSTM 모델을 사용
디스플레이를 위한 GUI 프로그램 작성
RF를 이용한 무선충전을 진행하게 되면 실제 전자파가 많이 닿는 위치를 눈으로 볼수 없음
전자파가 강하게 형성되는 위치를 눈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전자파의 세기를 감지하여 LED를 켜는 장치를 제작함.
송신기는 2.4 GHz 파워앰프를 포함한 재밍장치를 활용함
수신기를 제작하였으며, 2.4 GHz 에 동작하는 안테나 디자인, 전파의 세기를 측정하는 AD8317 등을 활용함
전자파의 강도에 따라 LED 색깔을 달리하여 눈으로 확인가능하도록 하였음
현재 고전압을 측정하는 방법은 직접 컨텍을 통한 전압을 측정함
두선간 전압은 두선간 전기장에 비례하는 원리를 활용함
비접촉의 경우 변화하는 전기장만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모터를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변화하는 전기장을 형성하여 이를 측정함
모터를 이용하여 금속 블래이드 날개를 회전함
그라운드와 블래이드 사이에 형성되는 전압을 측정하여 기록함
필터를 이용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고, 신호처리를 통해 고압환경을 판단함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여 기분에 따라서 조명을 달리하는 모델
사람얼굴인식은 웃는얼굴, 무표정, 슬픈얼굴등을 학습하여 딥러닝으로 구현
조명을 표현하기 위하여 아두이노등을 활용한 LED 큐브를 제작함.
자기부상열차의 절대위치검지는 고주파 자기장 생성장치가 틈이 있는 금속판을 통과하면서 틈으로 세어나오는 자기장을 인지하여 측정함.
이의 원리를 활용하여 고주파 자기장을 생성하는 인버터를 제작함.
유도가열용 인버터 모델을 참고함.
인버터 시뮬레이션은 LTspice 등을 활용
제작은 MOSFET, 아두이노(PWM제어), 코일, 전원장치 등을 활용하여 구현
카메라와 라이다 센서를 이용하여 사람이 있는 방향으로만 선풍기를 동작시킴
사람이 멀리 있으면 라이다 센서가 거리를 인지하여 바람세기를 강하게 함.
라즈베리파이, 카메라, 라이다센서 등으로 구현
교류 고전압환경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전차선에 고전압이 인가되어 있을 경우 불이켜지고 경고음을 울림.
다이폴 안테나는 교류전기장을 수신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로 제작
수신된 교류신호의 크기를 측정하여 전기장레벨을 측정하며 레벨에 따른 불 밝기를 달리함.
라즈베리파이, ADC, 동테이프 등으로 구현
2022년 학생철도 창의작품전 장관상 수상
손을 넣으면 체온을 자동으로 측정하여 핸드폰으로 전송함.
아울러, 손소독제가 자동으로 켜짐
코로나 시기에 손소독에 대한 이슈가 있었음.
센서, 아두이노, 모터 등을 이용하여 구현
조도모드: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실내와 실외의 빛을 비교하여 블라인드를 자동으로 동작
온도모드: 설정온도보다 높을경우 블라인드가 내려옴
수동모드: 휴대폰을 이용하여 동작
센서, 아두이노, 모터 등을 이용하여 구현, 기어등은 3D 프린터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