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duino 사용 방법

[2022-2학기~현재] Arduino IDE Version = 2.0.0: 강의의 연속성을 위해 이 Version만 사용하고 Update하지 않습니다.

[2022-1학기] Arduino IDE Version = 1.8.19 [2021-2~2020-2학기] Arduino IDE Version = 1.8.13 [2020-1학기] Arduino IDE Version = 1.8.12 [2018-2학기] Arduino IDE Version = 1.8.6 [2018-1학기] Arduino IDE Version = 1.8.5 [2017-2학기] Arduino IDE Version = 1.8.4 [2017-1학기] Arduino IDE Version = 1.8.1 [2016-2학기] Arduino IDE Version = 1.6.11 [2016-1학기] Arduino IDE Version = 1.6.8 [2015-2학기] Arduino IDE Version = 1.6.5 [2015-1학기] Arduino IDE Version = 1.6.3 [2014-2~2013-2학기] Arduino IDE Version = 1.0.5

[Arduino IDE]

Arduino IDE는 아래 링크에서 무료로 내려받을 수 있다.

- Download: http://arduino.cc/en/Main/Software

Arduino IDE의 소스 코드는 아래에서 볼 수 있다.

https://code.google.com/p/arduino/

[설치 방법 - Arduino Duemilanove]

1. 아래 링크의 여러 설치 파일 중에서 강의 시간에 고정한 Arduino Version의 "Windows(ZIP file)"을 내려 받는다.

http://arduino.cc/en/Main/Software

2. 압축을 해제하고 폴더 내부로 들어가서 "arduino.exe"를 실행한다.

3. 툴 > 보드 > Arduino AVR Boards로 들어가서 Arduino Duemilanove or Diecimila를 선택한다. 이게 학교에서 지급하는 Arduino의 보드명이다.

Arduino Duemilanove의 자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볼 수 있다.

http://arduino.cc/en/Main/arduinoBoardDuemilanove

4. USB를 이용해 Arduino를 PC에 연결한다. 그러면 자동으로 USB Serial Port 드라이버가 설치된다.

- 컴퓨터 > 속성 > 장치 관리자에 들어가서 "포트(COM & LPT)" 부분에 USB Serial Port가 설치되었는지 확인한다.

- USB Serial Port 옆에 보이는 번호가 Arduino가 PC와 통신할 포트 번호이다. 대부분의 경우 COM3로 선택된다.

- 혹시 설치가 실패했다면 드라이버를 삭제하고 Arduino를 분리한 후 다시 연결한다.

- 자동 설치가 안되면 Arduino Uno 설치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동 설치한다.

5. 툴 > 포트에 들어가서 통신할 포트도 선택한다. 새롭게 연결된 USB Serial Port의 포트 번호를 선택한다.

[설치 방법 - Arduino Uno]

1. 아래 링크의 여러 설치 파일 중에서 강의 시간에 고정한 Arduino Version의 "Windows(ZIP file)"을 내려 받는다.

http://arduino.cc/en/Main/Software

2. 압축을 해제하고 폴더 내부로 들어가서 "arduino.exe"를 실행한다.

3. 툴 > 보드 > Arduino AVR Boards로 들어가서 Arduino Uno를 선택한다. 이게 학교에서 지급하는 Arduino의 보드명이다.

Arduino Uno의 자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볼 수 있다.

http://arduino.cc/en/Main/ArduinoBoardUno

4. 툴 > 포트에 들어가서 통신할 포트도 선택한다. Arduino Uno로 쓰여진 포트 번호를 선택한다.

[설치 방법 - Jarduino Uno]

1. 아래 링크의 여러 설치 파일 중에서 강의 시간에 고정한 Arduino Version의 "Windows(ZIP file)"을 내려 받는다.

http://arduino.cc/en/Main/Software

2. 압축을 해제하고 폴더 내부로 들어가서 "arduino.exe"를 실행한다.

3. 툴 > 보드 > Arduino AVR Boards로 들어가서 Arduino Uno를 선택한다. 이게 학교에서 지급하는 Arduino의 보드명이다.

호환 보드인 Jarduino Uno의 자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볼 수 있다.

http://jcnet.co.kr/?pageid=2&page_id=77&mod=document&uid=2

4. 툴 > 포트에 들어가서 통신할 포트도 선택한다. Arduino Uno로 쓰여진 포트 번호를 선택한다.

[설치 방법 - Arduino Mega ADK]

1.아래 링크의 여러 설치 파일 중에서 강의 시간에 고정한 Arduino Version의 "Windows(ZIP file)"을 내려 받는다.

http://arduino.cc/en/Main/Software

2. 압축을 해제하고 폴더 내부로 들어가서 "arduino.exe"를 실행한다.

3. 도구 > 보드로 들어가서 Arduino Mega ADK를 선택한다. 이게 학교에서 지급하는 Arduino의 보드명이다.

Arduino Mega ADK의 자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볼 수 있다.

http://arduino.cc/en/Main/ArduinoBoardMegaADK

4. USB를 이용해 Arduino를 PC에 연결한다. 그러면 자동으로 USB Serial Port 드라이버가 설치된다.

- 컴퓨터 > 속성 > 장치 관리자에 들어가서 "포트(COM & LPT)" 부분에 Arduino Mega 2560 Port가 설치되었는지 확인한다.

- Arduino Mega 2560 옆에 보이는 번호가 Arduino가 PC와 통신할 포트 번호이다. 대부분의 경우 COM3로 선택된다.

- 혹시 설치가 실패했다면 드라이버를 삭제하고 Arduino를 분리한 후 다시 연결한다.

- 자동 설치가 안되면 Arduino Uno 설치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동 설치한다.

5. 도구 > 시리얼 포트에 들어가서 통신할 포트를 선택한다. 새롭게 연결된 Arduino Mega 2560 Port의 포트 번호를 선택한다. 대부분의 경우 COM3로 연결하면 된다.

6. 주의 사항

- Arduino Mega ADK에서 SoftwareSerial Rx는 D10, D11, D12, D13만 가능(Interrupt Port)

4. USB를 이용해 Arduino를 PC에 연결한다. 하지만 현재 보드의 USB는 자동으로 드라이버가 설치되지 않는다.

- 그래서 컴퓨터 > 속성 > 장치 관리자에 들어가서 설치가 안된 장치인 Arduino Uno를 선택해 수동으로 "드라이버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실시한다.

- 장치 관리자의 "포트(COM & LPT)" 부분에 Arduino Uno가 설치되었는지 확인한다.

- Arduino Uno 옆에 보이는 번호가 Arduino가 PC와 통신할 포트 번호이다. 대부분의 경우 COM3로 선택된다.

- 혹시 설치가 실패했다면 드라이버를 삭제하고 Arduino를 분리한 후 다시 연결한다.

5. 도구 > 시리얼 포트에 들어가서 통신할 포트를 선택한다. 새롭게 연결된 USB Serial Port의 포트 번호를 선택한다. 대부분의 경우 COM3로 연결하면 된다.

[Hot Keys]

- 참조에서 찾기(도움말): Ctrl+Shift+F

- 시리얼 모니터: Ctrl+Shift+M

[문제점 해결]

1. Serial Monitor에 한글 출력

- Arduino Sketch Version 1.6.6까지 여전히 해결되지 않아 직접 수정해야 한다.

- 아래에서 arduino-core.jar, pde.jar 파일을 Download해서 현재 설치된 파일에 덮어쓰기하면 된다.

- 문제 해결 파일 위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