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정
한국환경연구원 부연구위원
기후대기전략연구본부 녹색경제연구실
30147 세종시 시청대로 370 B동
유선전화: 044-415-7018
학력 및 학위
미시간주립대학교 박사 2023
텍사스오스틴대학교 석사 2017
한국개발연구원 국제정책대학원 석사 2016
이화여자대학교 학사 2014
경력
2025.08 - 현재: 한국환경연구원 기후대기전략연구본부 녹색경제연구실
2024.12 - 2025.08: 한국환경연구원 지속가능전략연구본부 녹색전환연구실
2024.08 - 2024.12: 고려대학교 식품자원경제학과 강사
2023.05 - 2024.08: 캐나다 구엘프대학교 박사후연구원
2022.08 - 2022.12: 미국 알마대학교 경영경제학부 강사
2017.08 - 2023.05: 미시간주립대학교 연구조교
논문
[6] Kim, H. & Lupi, F. (2025). Estimating Recreation Demand with Incomplete Trip Location Information (Submitted)
[5] Pourtaherian, B., Kim, H., & Li, T. (2025). A Lab-in-the-field Experiment on How Information Shapes Farmers’ Preferences for Conservation Practices (Under review at Journal of Behavioral and Experimental Economics)
[4] Earle, A., & Kim, H. (2025). Causal Inference, High-Frequency Data, and the Recreational Value of Water Quality. (Minor revision at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sts)
[3] Sandstrom‐Mistry, K., Lupi, F., Kim, H., & Herriges, J. A. (2023). Comparing Water Quality Valuation across Probability and Non‐probability Samples. Applied Economic Perspectives and Policy, 45(2), 744-761.
[2] Lupi, F., Herriges, J. A., Kim, H., & Stevenson, R. J. (2023). Getting off the ladder: Disentangling water quality indices to enhance the valuation of divergent ecosystem service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20(18), e2120261120.
[1] Kim, H., & Lupi, F. (2023). Testing the Robustness of a Structural Model for Discerning Use and Non-use Values of Ecosystem Services. Agricultur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52(2), 406-421.
정책 보고서
[KEI Working Paper] ESG 공시와 자연자본 공시 간 연계성 제고를 위한 기초 연구 (2025.9. 발간예정)
[KEI Focus] 자연자본 공시 제도의 국제적 동향과 한국의 대응 과제 (2025.10. 발간예정)
진행중인 연구 과제
[R&D] 수생태계 서비스 평가지표 개발 및 가치평가 기술개발 (2025-2027)
[환경부] 2025 환경관련 조세 및 세입계정 통계 작성(2023년 기준)
뉴스레터
응용생태공학회 신진연구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