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itu Cadmium Surface Passivation of Perovskite Nanocrystals for Blue LEDs
Woo Hyeon Jeong1, Zhongkai Yu1, Luca Gregori1, Jonghee Yang1, Su Ryong Ha, Ji Won Jang, Hochan Song, Jong Hyun Park, Eui Dae Jung, Myoung Hoon Song, Sung Heum Park, Henry Snaith, Albert Boretti, Filippo De Angelis, Daniele Meggiolaro*, Jeongjae Lee*, Hyosung Choi*, and Bo Ram Lee*
J. Mater. Chem. A, 9, 26750 (2021); https://doi.org/10.1039/D1TA08756H. (IF=12.732)
2021. 10. 22
2021. 10. 21
축하합니다. 이보람 교수가 한국고분자학회 신진학술상을 수상하였습니다.
한국고분자학회 "신진학술상"
귀하는 광전자 소재 및 소자 분야에서 창의적이고 진취적인 연구 활동으로 국내 고분자 과학과 기술의 발전에 기여한 바가 크므로 2021년도 본 학회 신진학술상을 드립니다. - 한국고분자학회장 이준영
한국고분자학회 신진학술상은 국내 고분자과학과 공학의 발전을 위하여 또한 고분자분야의 진취적 연구활동을 촉진하기 위하여 우수한 신진과학자를 포상함을 목적으로 한다. 고분자과학 또는 공학분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7년이 경과하지 않은 연구자를 대상으로 하며, 학위는 국내, 국외에 상관없이 평가한다. 최종학위 후에 낸 업적 전체를 평가하나 특정 분야에 확실한 자리 매김을 하였는가에 비중을 둔다.
2021. 10. 20
2021. 10. 03
김지훈, 김영경, 정우현, 장지원, 석경은, Yu Zhongkai, Xinyu Shen, Fan Xiangyang, 이보람
2021. 09.06
Welcome to HOME. 김영경 학생(17)이 HOME 연구실의 학부 연구원이 되었습니다.
Yeong Gyeong Kim (Junior)
Education
2019.03 ~ Present : B.S Course
Department of Physic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Research Field
Organic-inorganic hybrid perovskite light-emitting diodes
E-mail : hanigirl0@gmail.com
2021. 09. 03
Welcome to HOME. 석경은 학생(19)이 HOME 연구실의 학부 연구원이 되었습니다.
Gyeongeun Seok (Junior)
Education
2019.03 ~ Present : B.S Course
Department of Physic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Research Field
Organic-inorganic hybrid perovskite light-emitting diodes
E-mail : ruddms7724@naver.com
2021. 09. 02
Welcome to HOME. 김지훈 학생(17)이 HOME 연구실의 학부 연구원이 되었습니다.
Ji Hoon Kim (Junior)
Education
2017.03 ~ Present : B.S Course
Department of Physic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Research Field
Organic-inorganic hybrid perovskite light-emitting diodes
E-mail : kjhn1025@gmail.com
2021. 09. 01
축하합니다. 이보람 교수가 부교수로 승진하였습니다.
Associate Professor
Bo Ram Lee, Ph.D.
Department of Physic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Ofiice : 5117, College of Natural Sciences 1 (B-15)
Tel : +82-51-629-5562
Fax : +82-51-629-5549
E-mail : brlee@pknu.ac.kr
2021. 08. 26
축하합니다. HOME 연구실이 2021 PKNU 우수 연구실 Proud Lab 에 선정되었습니다.
BK21 대학원혁신사업 2021학년도 PKNU 우수 연구실 Proud Lab 선정
HOME 연구실이 2021학년도 PKNU 우수 연구실(Proud Lab)에 선정되었습니다.
PKNU 우수 연구실(Proud Lab)은 BK21 대학원혁신사업 참여 교육연구단(팀) 에서 추천한 11개 연구실을 최종 평가하여 우수 연구실을 선발합니다. 최종 선정된 Proud Lab은 소속 연구실 대학원생들에게 포상금 (500만원)이 지급됩니다.
본 취지는 매년 PKNU 우수 연구실(Proud Lab)을 선정하여 파격적인 포상금을 지원함으로써 연구실 간 자발적 경쟁을 유도하여 대학원의 연구 역량 강화 및 연구 업적 대표 연구실 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021. 08. 25
Welcome to HOME. Xinyu Shen 박사가 HOME 연구실의 연구교수로 임용되었습니다.
Dr. Xinyu Shen
Education
2021.09 ~ Present : Research Professor
Department of Physic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2018.09 ~ 2021.08 : Ph.D.
Department of Electronic Science and Technology,Jilin University
(Advisor : Prof. Yu Zhang)
2016.09 ~ 2018.08 : M.S
Department of Electronic Science and Technology,Jilin University
(Advisor : Prof. Yiding Wang)
2012.09 ~ 2016.07 : Bachelor
Department of Electronic Science and Technology,Jilin University
Research Field
Perovskite light-emitting diodes
E-mail : shen_xinyu1993@163.com
2021. 08. 13
축하합니다. 이보람 교수가 대학 연구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특별상"을 수상하였습니다.
특별상 (우수논문게재)
귀하는 세계 과학 학술지 네이처 (Nature)에 논문 (Ligand-engineered bandgap stability in mixed-halide perovskite LEDs)을 게재하여 우리 대학 연구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기에 이 상을 드립니다. - 부경대학교 총장 장영수
[언론보도]
[임원철이 만난 사람] ‘네이처 논문 게재’ 공로로 총장 특별상 받은 부경대 이보람 교수 - 부산일보 (busan.com)
‘네이처 논문 게재’ 부경대 이보람 교수, 우수논문 표창 - 부산일보 (busan.com)
부경대 이보람 교수, 네이처(Nature) 논문 게재 - 머니투데이 (mt.co.kr)
이보람 부경대 교수, 우수논문 표창 < 인물·동정 < 피플∙컬쳐 < 기사본문 - 한국대학신문 - 409개 대학을 연결하는 '힘' (unn.net)
‘네이처 논문 게재’ 부경대 이보람 교수, 우수논문 표창 - 교수신문 (kyosu.net)
‘네이처 논문 게재’ 부경대 이보람 교수, 우수논문 표창 : 국제신문 (kookje.co.kr)
‘네이처 논문 게재’ 부경대 이보람 교수, 우수논문 표창 - 베리타스알파 (veritas-a.com)
부경대 이보람 교수, ‘네이처 논문 게재’ 우수논문 표창 (sisa-news.com)
‘네이처 논문 게재’ 부경대 이보람 교수, 우수논문 표창 받아 (cnbnews.com)
Solvent engineering of colloidal quantum dot inks for scalable fabrication of photovoltaics
Jonghee Yang1, Minseon Kim1, Seungjin Lee, Jung Won Yoon, Sanchari Shome, Koen Bertens, Hochan Song, Seul Gi Lim, Jae Taek Oh, Sung Yong Bae, Bo Ram Lee, Whikun Yi*, Edward H. Sargent*, and Hyosung Choi*
ACS Appl.Mater. Interfaces, 13, 36992 (2021); https://doi.org/10.1021/acsami.1c06352 (IF=9.229)
Water-repellent perovskites induced by a blend of organic halide salts for efficient and stable solar cells
Yuanyuan Zhang, Qiao Chen, Hyun-Seock Yang, Danbi Kim, Insoo Shin, Bo Ram Lee, Joo Hyun Kim, Doo Kyung Moon, Kwang Ho Kim, and Sung Heum Park*
ACS Appl.Mater. Interfaces, 13, 33172 (2021); https://doi.org/10.1021/acsami.1c09093 (IF=9.229)
결함 제어를 통한 신규 비납계 페로브스카이트 청색 소재 및 LED 소자 응용
주관기관: 한양대학교
공동연구기관:
한양대학교 임원빈 교수 (연구 책임), 충남대학교 김현유 교수 (공동), 부경대학교 이보람 교수 (공동)
부경대학교(총장 장영수) 이보람 교수(물리학과)가 ‘2021년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에 선정됐다.
이 교수는 삼성전자가 지원하는 이번 사업에 차세대 디스플레이 지정테마 분야에 선정되는 성과를 거뒀다.
이 교수가 선정된 사업 테마는 디스플레이 산업의 난제 해결과 이 분야 세계 최고 수준을 유지하고, 소재/소자/공정 기술과 미래 시장 선점을 위한 폼팩터 및 3D 기술 개발을 위해 진행되는 과제다.
이 교수는 한양대 임원빈 교수(연구책임자), 충남대 김현유 교수(공동연구자)와 함께 결함 제어를 통한 신규 비납계 유사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구조 기반 고효율, 고색재현성, 고안정성 청색 LED 소재 및 소자를 개발한다.
이를 통해 신규 청색 LED 소재의 용액·박막화 공정에 대한 원천 기술과 소자 구현 기술을 확보해 차세대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은 우리나라의 미래를 책임질 과학기술 육성·지원을 목표로 삼성전자가 2013년부터 1조 5천억 원을 출연해 시행하고 있는 연구 지원 공익사업이다.
매년 상·하반기에 각각 기초과학, 소재, ICT 분야에서 지원할 과제를 선정하고 1년에 한 번 실시하는 ‘지정테마 과제 공모’를 통해 국가적으로 필요한 미래기술 분야를 지정해 해당 연구를 지원하고 있다.
Enhancement in charge extraction and moisture stability of perovskite solar cell via deep infiltration of charge transport material into grain boundaries
Danbi Kim, Insoo Shin*, Hyun-Seock Yang, Pesi Mwitumwa Hangoma, Jong Seong Bae, Bo Ram Lee, Joo Hyun Kim, Doo Kyung Moon, and Sung Heum Park*
J. Power Sources, 506, 230212 (2021); https://doi.org/10.1016/j.jpowsour.2021.230212. (IF=9.127)
Multi-scalable grain growth via PCBM molecular aggregation in perovskite solar cells
Su Ryong Ha1, Saemon Yoon1, Sangwon Eom, Woo Hyeon Jeong, Jeseob Woo, Jonghee Yang, Daekyung Sung, Jae Taek Oh, Hong In Jeong, Won Il Choi, Youngjong Kang, Bo Ram Lee*, Dong-Won Kang*, and Hyosung Choi*
ACS Applied Energy Materials, 4, 5985 (2021); https://doi.org/10.1021/acsaem.1c00826. (IF=4.473)
Recent progress of ultra-narrow-bandgap polymer donors for NIR-absorbing organic solar cells
Dae-Hee Lim1, Jong-Woon Ha1, Hyosung Choi, Sung Cheol Yoon*, Bo Ram Lee*, and Seo-Jin Ko*
Nanoscale Advances, 3, 4306 (2021); https://doi.org/10.1039/D1NA00245G. Invited review paper (IF=4.553)
고색 재현성 페로브스카이트 나노결정 기반의 고성능 발광소재 및 소자 개발
주관기관: 부경대학교
공동연구기관:
1세부 : 한양대학교 최효성 교수 (1세부 책임), 임원빈 교수 (공동)
아주대학교 김종현 교수 (공동), UNIST 김진영 교수 (공동)
2세부 : 부경대학교 박성흠 교수 (총괄/2세부 책임), 이보람 교수 (공동)
충남대학교 임종철 교수 (공동)
3세부 : UNIST 신현석 교수 (3세부 책임), 서울대학교 이탁희 교수 (공동)
연세대학교 강기훈 교수 (공동), 부경대학교 장동욱 교수 (공동)
Folic acid-functionalized carbon dot/polypyrrole nanoparticles for specific bioimaging and photothermal therapy
Tae Eun Kim, Hyeon Jeong Jang, Seok Won Park, Jie Wei, Shinuk Cho, Woon Ik Park, Bo Ram Lee, Chang Duk Yang, and Yun Kyung Jung*
ACS Appl. Bio Mater., 4, 3453 (2021); https://doi.org/10.1021/acsabm.1c00018.(IF=pending)
Luminous efficiency roll-off mechanism in CsPbBr3-xClx mixed-halide perovskite quantum dot blue light-emitting diodes
Young Ran Park, Hong Hee Kim, Sangwon Eom, Won-Kook Choi, Hyosung Choi, Bo Ram Lee, and Youngjong Kang*
J. Mater. Chem. C, 9, 3608 (2021); https://doi.org/10.1039/D0TC05514J. (IF=7.393)
Ligand-engineered bandgap stability in mixed-halide perovskite LEDs
Yasser Hassan1,*, Jong Hyun Park1, Michael L. Crawford, Aditya Sadhanala, Jeongjae Lee, James C. Sadighian, Edoardo Mosconi, Ravichandran Shivanna, Eros Radicchi, Mingyu Jeong, Changduk Yang, Hyosung Choi, Sung Heum Park, Myoung Hoon Song, Filippo De Angelis, Cathy Y. Wong*, Richard H. Friend, Bo Ram Lee*, and Henry J. Snaith*
Nature, 591, 72 (2021); https://doi.org/10.1038/s41586-021-03217-8. (IF=49.962)
부경대 이보람 교수 참여 차세대 디스플레이 논문 <네이처> 게재 - 부산일보 (busan.com)
"QLED보다 훨씬 선명한 ‘페로브스카이트’ 디스플레이 나온다"- 헤럴드경제 (heraldcorp.com)
부경대 이보람 교수 페로브스카이트 색안정성 향상 연구 ‘주목’ < 대학 < 교육 < 기사본문 - 일간리더스경제신문 (leaders.kr)
부경대 교수의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재 연구, '네이처'가 주목 - 울산매일 (iusm.co.kr)
이보람 부경대 교수 연구 성과, ‘네이처’가 ‘주목’ < 학술·연구 < 뉴스 < 기사본문 - 한국대학신문 - 409개 대학을 연결하는 '힘' (unn.net)
부경대 교수의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재 연구, ‘네이처’가 주목 : 국제신문 (kookje.co.kr)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재 연구 주목받아 - 경남매일 (gnmaeil.com)
한국연구재단, 국내 연구진 ‘페로큐브 프로젝트’ 참여...페로브스카이트 발광소자 개발 - 뉴스프리존 (newsfreezone.co.kr)
부경대 교수의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재 연구, '네이처'가 ‘주목’ - 시사매거진 (sisamagazine.co.kr)
Designing multi-mode optical thermometers via the thermochromic LaNbO4:Bi3+/Ln3+ (Ln= Eu, Tb, Dy, Sm) phosphors
Junpeng Xue, Zhongkai Yu, Hyeon Mi Noh, Bo Ram Lee, Byung Chun Choi, Sung Heum Park*, Jung Hyun Jeong*, Peng Du*, and Mingjun Song
Chem. Eng. J. 415, 128977 (2021); https://doi.org/10.1016/j.cej.2021.128977. (IF=13.273)
Yanliang Liu1, Zhongkai Yu1, Shi Chen1, Jong Hyun Park, Eui Dae Jung, Seungjin Lee, Keehoon Kang, Seo-Jin Ko, Jongchul Lim, Myoung Hoon Song, Baomin Xu*, Henry J Snaith, Sung Heum Park*, and Bo Ram Lee*
Nano Energy, 80, 105511 (2021); https://doi.org/10.1016/j.nanoen.2020.105511. (IF=17.881)
2021. 02. 05
홈페이지가 개설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