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2023년도 반도체공학회 하계학술대회 우수논문상 수상


(2023718일)
2023년 7월 17-19일 개최된 경주 반도체공학회 하계학술대회에서 이성민 석사과정의 "60 GHz 대역 I/Q 위상 조정 CMOS LO 버퍼 설계” 포스터 논문 (저자: 이성민, 이용호, 신현철) 이 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다.

European Microwave Integrated Circuits Conference 논문 2편 채택


(2022년 6월 7일)

올해 EuMIC 국제학술대회에 이용호 박사과정의 논문 2편이 accept 되었다. 채택논문은 각각 60GHz CMOS RF Transceiver 및 30GHz CMOS VCO RFIC 집적회로 설계에 관한 논문이다. 올해 EuMIC는 2022년 9월 Milano, Italy 에서 개최 예정이다 ( https://www.eumweek.com ).

"대학전자회로실험" 출간


(2021년 2월 26일)

신현철교수님의 대학전자회로실험이 출간되었다.  이 책은 대학교 전자공학 전공 3학년 전자회로실험실습 과정의 교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편찬되었다.  

제목: 대학전자회로실험: SPICE와 실험실습의 통합적 접근

저자: 신현철

출판사: 한티미디어

출간일: 2021년 2월 26일

우리 연구실 BK21 사업 선정


(2020년 11월 20일)

우리 연구실이 금번 BK21 사업팀에 선정되었다. 

전자융합공학과 ‘초연결 인간경험 웰니스 융합기술 교육연구팀’이 정부의 4단계 BK21(두뇌한국21)‘ 사업에 최종 선정되어 향후 7년간(2020.9.1~ 2027.8.31) 총 17억원의 연구비를 지원 받게 되었다. 이종철 교수(팀장)를 주축으로 신현철 교수, 김형국 교수, 김진영 교수, 심준섭 교수, 김정현 교수가 연구팀에 참여하고 있으며 초연결 인간경험 웰니스 융합기술 개발 및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구성되었다. - details

연구실 졸업생 신재욱 박사, 미국 Northrop Grumman 수석연구원


(2020년 6월 30일)

신재욱 박사는 전자정보공과대학 전자융합공학과 (당시, 전파공학과) 대학원에서 신현철 교수의 지도아래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UCLA)에서 박사 후 연구과정(PostDoc)을 마쳤으며, 그 후 수년 간 미국 캘리포니아 산호세의 실리콘밸리에 소재한 FPGA 분야 세계 1위 업체인 Xilinx Inc.에서 100 Gb/s 급의 통신 소자 개발에 참여하였다. 현재는 캘리포니아 로스엔젤레스에 소재한 미국 방위산업 대표업체인 Northrop Grumman Aeronautics Systems에서 Senior Principal Design Engineer로 근무 중이다.

Northrop Grumman Aeronautics Systems은 우주, 항공 산업의 선두 주자로 매년 수 십여 기의 인공위성을 발사하고 있다. 신재욱 박사가 소속된 팀에서는 우주, 항공기기에 요구되는 성능과 조건을 만족하는 유무선 통신시스템 및 집적 소자를 개발한다. 신재욱 박사는 인공위성용 디지털 유선 통신시스템과 그와 관련된 핵심 집적소자(digital wireline transmitter and receiver, phase-locked loop, analog-to-digital converter, digital-to-analog converter 및 아날로그 기본 회로)를 개발하고 있다. 

신재욱 동문은 후배들에게 "전자정보공과대학의 체계적인 교과과정과 지원시스템 그리고 대학원에서의 연구경험을 잘 활용하며 탄탄한 기본기를 갖추면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자신의 미래를 만들어 가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라고 했다. 

제20회 대한민국 반도체설계대전 대통령상 수상

(2019년 9월 28일) 

광운대학교 전자융합공학과 신현철 교수 연구팀 (수상자: 장신일(박사과정), 이용호(박사과정), 김정아(석사과정))은 2019년 9월 26일 한국반도체산업협회에서 개최된 제20회 대한민국 반도체 설계대전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하였다. 수상 작품은 “ISM 대역 간섭 내성이 향상된 블루투스 CMOS RF 트랜시버”로서, 2.4GHz 무선통신 대역에서 WiFi 등 외부 간섭 신호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킨 새로운 회로 구조 및 설계 기술을 적용하여 무선 통신 성능을 향상하고 소모 전력을 감소시킨 새로운 블루투스용 RF 트랜시버 집적회로 설계에 대한 성과를 인정받았다.

대한민국 반도체 설계 대전은 2000년에 시작되어 20회째를 맞고 있으며, 올해 광운대 고속집적회로및시스템 연구실 (HiCSL)의 대통령상 수상 외에도, 국무총리상은 고려대학교 집적시스템 연구실이,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은 연세대학교 VLSI 시스템 연구실과 강원대학교 RACAS팀이, 그리고 기타 다수의 기업 후원상을 포함하여 총 16개 팀이 수상하였다.

전자융합공학과 고속 집적회로및시스템 연구실 (http://hicsl.kw.ac.kr)은 신현철 교수의 지도하에 5G 무선통신 및 고속데이터 전송을 위한 RF, 밀리미터파, 아날로그 분야의 시스템 반도체 집적회로 설계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0&aid=0002843675

http://www.dh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2226

http://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219592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8&aid=00042856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