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다문화교육 전공교수, 2021. 3. - 현재
Assistant Professor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eimyung Unviersity, 2021. 3. - Present
Contact : heejin (@)kmu.ac.kr, 053-580-6338, 계명대학교 성서캠퍼스 영암관
Education
박사: 미국 피츠버그대학교 교육행정정책학과 교육사회학, 국제비교교육학 (지도교수: Prof. Dr. John C. Weidman)
Ph. D. in Social and Comparative Analysis in Education , Department of Administrative and Policy Studies, University of Pittsburgh, PA, USA
석사: 독일 알리스살로몬대학 상호문화연구(다문화연구) & 갈등관리 전공 (논문지도: Prof. Dr. Claudia Lohrenscheit, Hochschule Coburg)
M. A. in Intercultural Study and Conflict Management, Alice-Salomon Fachhochschule, Berlin, Germany
학사: 연세대학교 교육과학대학 교육학과 & 문과대학 사회학과
B. A. in Education, Sociology(double major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Professional Experiences
2013. 9.1.- 2021.2 . 한국교육개발원(KEDI) 연구위원 (다문화교육, 세계시민교육, 민주시민교육, 인성교육 , 교원정책 , 국제교육개발협력, 교원양성기관평가, 한국교육종단연구)
2014. - 2019. 서울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시간강사 (석박사과정 강의 명: 비교교육연구방법론, Comparative Education Research Seminar)
2007. 8.-2012. 4. 미국 피츠버그대학교 (University of Pittsburgh, PA, USA )
사범대학 교육행정정책학과 연구조교 (2007.8. – 2011.12.)
Institute for International Studies in Education (IISE) 연구원
동아시아 언어 문학학과 시간강사 ( 2011. 8. –2012. 4.)
아시아연구소 한국학분과위원 (Faculty Member of Korea Council)(2012. 1. – 2012. 4.)
2009. 9.-2012. 4. Production Editor of 국제개발교육 학술서 시리즈(International and Development Education Book Series), Palgrave Macmillan Publishers
*시리즈 편집장: Drs. W. James Jacob & John N. Hawkins
2010. 9. - 2011. 8. Inter-Cultural House (ICH: NGO 다문화의 집), Pittsburgh, PA, USA
대외협력 및 홍보간사 (Promotion and Marketing Coordinator)
책임편집인, ICH News Letter
2004. 2.19.- 2007. 7. 한국교육개발원(KEDI) 전문원
2003. Human Rights Education Intern of Amnesty International Irish Section, Dublin, Ireland
Academic Publications 학술논문 (2015 - )
박희진. (2025). 고교-대학 연계사업 참여 주체별 역할 탐색 : A교육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 사회과학연구, 44(2), 105-134. 8.31.
이규빈·박희진. (2025). 학교급과 다문화교육경험에 따른 혐오표현 및 차별행위의 차이: 서울시 초중고생을 중심으로. 다문화교육연구, 18(2), 269-294.
이동엽·박희진·강호수(2025). 학교자치가 학교 구성원 간 신뢰와 조직 혁신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및 중학교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5(6), 751~762. 2025.6.30.
박희진·이규빈(2024). 다문화교육을 받은 중학생은 더 포용적일까? : 서울시학생의 문화 포용성 실태와 영향요인 분석. 다문화교육연구, 17(2), 91-120. 2024.6.30. ISSN: 20054963
박희진·남궁지영(2024). 교원의 이주민에 대한 수용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주배경 학생 밀집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30(3). 6.30. ISSN 15989283
강호수·박희진·이동엽(2024). 학교자치가 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교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법과인권교육연구, 17(1), 81-101. 2024.4.30.
오유진·장민경·박희진(2024). 초중고생의 차별과 혐오표현 실태: 서울학생의 이주배경에 따른 경험의 특성을 중심으로. 다문화와 평화, 18(1), 24-56. 2024.4.30. ISSN: 2092-576X
박희진(2024). 다문화·이주민 국가로의 전환과‘새로운 우리’를 위한 다문화교육 정책 방향 탐색: 영국과 싱가포르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비교교육연구, 34(1), 149-175. 2024.3.30.
박희진·강호수·이동엽(2023). 교원이 인식하는 학교자치 주체의 현실과 과제 : 학교 구성원 간의 역할과 관계를 중심으로. 교육혁신연구, 33(2), 269-297. 2023. 6. 30. ISSN 2092563
Park, Heejin. (2023). Characteristics of first-generation immigrant mothers' social capital in terms of their children’s education: A qualitative study in the South Korean context.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61(3), 87-112. 2023. 5. 31.
Park, Heejin. (2023).The vicious cycle of racism, low self-efficacy, and dependency: First generation immigrants’ maternal involvement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in the context of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33(2), 1-29. 2023. 5. 31.
박희진(2023). 다문화교육을 위한 학부 교양강좌 개설의 근거와 요건 탐색. 다문화와 평화, 17(1), 62-84. 2023.4.30.
Park, Heejin. (2022).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Secondary Teachers Who Are Effective in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Global Studies Education, 14(2), 129-156. 6.30.
박희진(2022). 교사가 인식하는 ‘교사가 주도하는 학교혁신’의 의미 탐색: 학교혁신 경험을 중심으로.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26(2), 1- 23. 6.30.
박희진·강호수·이동엽(2022). 학교자치 개념에 대한 교원의 인식 탐색. Global Creative Leader: Education & Learning, 12(2), 83-109. 6.30.
박희진·최수진(2022). 이주배경 학생 밀집초등학교 다문화교육 담당교사의 경험과 정책시사점. 한국교육논총, 43(1), 89-123. 4.30.
이문수·박희진(2021). 초기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 및 공동체 의식의 유형분류 및 영향 요인 탐색. 다문화교육연구, 14(4), 111-140. 12.31.
박희진(2021). 농촌지역 이주배경 학생 밀집 초등학교 교사의 경험. 다문화교육연구, 14(3), 87-116. 9.30.
박희진·이호준(2021).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현황 및 영향요인 분석: TALIS 2018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8(3), 1-29. 9.30.
박희진·남궁지영(2019). 학업성취 변동 종단 분석: 교육격차 완화 요인 탐색을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29(4), 65-88. ISSN: 1229-344X 2019.12.31.
박희진(2019). 학급자치 활동이 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 교육행정학연구, 37(2), 93-122. ISSN: 1226-8755 2019. 6. 30.
박희진·이문수(2019). 중학교 교사의 입직 동기에 따른 교직 만족도와 효능감이 교사의 헌신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연구, 36(1), 309~335. ISSN: 1738-7256 2019. 3. 30.
남궁지영·박희진(2018). 대학생의 학습성과 요인 분석: 재수경험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교육정치학연구, 25(4), 21-41. 2018.12. 31.
박희진·남궁지영(2018). 대학생의 시민의식 수준 및 영향 요인 분석. 교육정치학연구, 25(2), 165-193. ISSN: 1226 – 7856 2018. 6. 30.
박희진(2018). 봉사학습 사례 분석을 통한 사회정서역량 함양 정책 방안 탐색: 영국과 싱가포르를 중심으로. 한국교육, 45(1), 139-165. ISSN: 1599-2659 2018. 4. 30.
박희진·이동엽(2017). 사회자본의 규범적 기능 탐색: 대학생의 강의태도에 대한 영향을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27(4), 27-48. ISSN: 1229-344X 2017.12.31.
박희진·허예지·장애리(2017). 우리나라 자유학기제와 아일랜드 전환학년제의 정책과정 비교, 교육정치학연구, 24(4), 131-160. ISSN: 1226 – 7856 2017.12.31.
박희진·김수진·이지미·김지혜 (2017). 인성교육 자료 개발 실태 및 요구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21), 421-450. ISSN: 1598-2106 2017.11.15.
박경호·박희진(2016). 초등학생의 공동체역량에 대한 영향 요인 탐색. 미래교육연구, 6(3), 69-96. ISSN: 2234-747x(p) 2016.12.31.
박희진·남궁지영 (2016). 중학생의 ‘미래 핵심역량’ 영향 요인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8), 149-172. ISSN: 1598-2106 2016. 8. 31.
박희진·황정원(2015). 개인 및 대학특성이 대학생활을 통해 형성하는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과 그 효과: 대학생활 적응과 소속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 42(2), 109-139. ISSN: 1599-2659 2015. 7. 31.
Academic Publications 학술 저서
김왕준, 김지현, 박희진, 변수연, 송효준, 이동엽, 이수정, 이전이, 이호준, 정설미, 최경준, 한재범, 함승환(공저)(2024). 질문과 토론이 있는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학지사. ISBN 978-89-997-3245-4 93370 2024. 10. 10.
박선형 , 신현석 , 송경오 , 백선희 , 박희진 , 하봉운 , 이전이 , 이동엽 , 이인수 , 조현희 , 모춘흥 , 김왕준 , 함승환(공저) (2022). 정치교육론: 이론과 실천 및 과제. 학지사. ISBN 9788999727139, 2022. 7. 28.
김경애, 김진숙, 박성철, 박희진, 손찬희, 이희준, 이상은, 정바울, 최수진(공저)(2020). “내 아이만 잘될 수는 없다,” pp. 33-50 in 코로나시대 학교의 재탄생. 학이시습. ISBN 9791128884658
박희진 & 박남기. (2012). “세계 비교교육학의 연구동향,” 비교교육: 이론과 실제 , pp. 35-42(정일환 & 김병주 등 엮음). 서울: 교육과학사. ISBN 9788925405834(8925405830)
Jacob, J. W. & Park, H.J. (2012). “Language issues in Chinese higher education: The case of Korean and Mongol minority groups.” In Beckett, G. H. & Postiglione, G. (Eds.) China’s integrationist language policy: Impact on social harmony, 156-171. London: Routledge. ISBN 9780203804070
Park, H. J. & Jacob, J. W. (2011).“Minority students access to higher education: A case of Korean nationality in China.” In. J. Palmer et al (Ed.). Internationalization of East Asian higher education, 91-118. New York: Palgrave Macmillan. ISBN 978-1-137-00200-6
Academic Publications 정책연구
이승호·채송화·김지선·박희진·안영은·한은정·남현동·황정훈(2024). 고교학점제에 따른 지역 공유학습 체계 모형 연구(연구자료 CRR-2024-15). 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
박희진·장민경·오유진·이규빈·남유진(2023). 서울학생 차별·혐오 및 문화적 포용성 실태조사 연구. 서울: 서울특별시교육청.
이동엽·최수진·김혜진·이승호·박희진(2021). 학교자치 관점에서 본 교원정책의 쟁점과 과제(RR2021-05) . (기본연구). 한국교육개발원.
남궁지영·김경애·김나영·박경호·박근영·이정우·박희진·정혜경(2021). 교육분야 양극화 추이 분석 연구(II): 학교 및 지역 수준에 대한 기초연구. (기본연구). 한국교육개발원.
김혜진·이동엽·박희진·이승호·최인희·이호준·박효원·길혜지(2020). 교원 및 교직환경 국비교 연구: TALIS 2018 결과를 중심으로(Ⅱ). (기본연구). 한국교육개발원.
박희진·최수진·남궁지영(2020). 이주배경 학생 밀집 초등학교 교원의 경험과 정책시사점. (수시연구 IP2020-11). 한국교육개발원.
박희진(2020). 교육격차 원인과 대응방안: 이주배경 자녀의 교육경험 개선을 중심으로, in 김태완 (책임) 한국사회 격차문제와 포용성장전략(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과제)(제7장 pp. 165-192). 세종: 보건사회연구원.
이동엽, 박영숙, 박희진, 최수진, 김혜진, 이승호, 김보미(2020). 미래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교사자격제도 개선 방안 연구(RR2020-05). 한국교육개발원.
황은희·최수진·박희진·임종헌, 박희진, 이재덕, 김성기, 이길재, 김훈호(2019). 교육 혁신 사례 분석을 통한 미래교육 실천 과제 (RR2019-05). 충북: 한국교육개발원.
박희진·김정현·이근영·최지영·함은혜·정혜경 (2019). 학교폭력 실태조사 성과평가 (수탁연구 CR 2019-30). 충북: 한국교육개발원.
박희진·김희경·정바울 (2018). 인성을 갖춘 민주시민 육성을 위한 학교문화 개선 방안 연구: 학급자치실태를 중심으로 (수탁연구 CR 2018-35). 충북: 한국교육개발원.
박희진(2018). 사회통합과 사회적 포용성 증진을 위한 교육정책 방향. The HRD Review September, 21(3), 102-127. ISSN 1228-8926
박희진(2018). 이주민 자녀를 위한 교육 지원 체제 개선: 이주민 정책 방향에 대한 재고와 포괄적 접근의 필요성. 사회정책 주요의제 발굴 연구(반가운 외, 제7절: pp. 206-229). 세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박희진(2018). 사회통합과 사회적 포용성 증진을 위한 교육정책 방향. 사회정책 주요의제 발굴 연구(반가운 외, 제8절: 230-251). 세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지수· 강구섭· 김진희· 박희진· 김지혜· 조정아·김윤영· 김현철 (2017). 2주기 탈북청소년 교육 종단연구(연구보고 RR 2017-). 충북: 한국교육개발원.
김미숙· 김양분· 박희진· 나종민·이윤선 (2017). OECD ESP 사회정서역량 종단조사 국제공동연구(I)(연구보고 RR 2017-). 충북: 한국교육개발원.
정미경· 박희진· 이성회· 허은정·김성기· 박상완· 백선희 (2016). 교육개혁 전망과 과제(I)-초·중등교육 영역 (연구보고 RR 2016-28).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Park, H., Choi, J. Y., Yun, J. H., & Chae, J.-E. (2015). Skills for work: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the higher education sector in the Republic of Korea. Knowledge sharing forum on development experiences: Comparative experiences of Korea and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Discussion Paper N. IDB-DP-398. D. C., Washington: Inter-American Development Bank.
박희진· 김진희· 김훈호· 안해정· 김이경· 김슬아· 서정환 (2015). 캄보디아와의 교육분야 개발협력 방안 연구: 교육기회 확대를 중심으로(현안보고 OR 2015-10).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박환보·박희진·허주·김명진·이지향(2015). 중점협력국가의 교원교육 분야 협력 방안 연구 (수탁연구 CR 2015-19).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최정윤· 김은영· 김진희· 김훈호· 박희진· 안해정· 허주· 황은희(2015). 한국교육 글로벌 협력 다각화 방안을 위한 연구: WEF 2015 후속 조치를 중심으로(기술보고 TR 2015-79).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김양분·임현정·남궁지영·박희진·정영식·신혜숙(2014). 2013년 EBS 수능강의 사업 성과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수탁연구 CR 2014-11).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김양분·임현정·남궁지영·박희진(2014).대학 진학에 대한 가정 배경 및 학교육의 영향 (수탁연구 CR 2014-12).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김양분·박경호·박희진(2014).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Ⅳ): 중학교 연구(연구보고 RR2014-23).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김양분·임현정·남궁지영·박희진·이병식·김위정(2013). 한국교육종단연구, 한국교육종단연구2005: 고교 이후 초기 성인기의 생활과 성과 (연구보고 RR 2013-25).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김양분·임현정·남궁지영·박희진·이병식·김위정(2013). 한국교육종단연구(KELS_2013(I): 조사 개요 보고서 (기술보고 TR-84).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박희진(2013). 정규교과와 연계된 봉사학습 시행 가능성 검토를 위한 국내외 사례연구.(연구과제 2013-1). 서울: 경희대학교 교육수월성연구센터.
박인종, 김일혁, 최화정, 이채식, 박희진 (2006). "단양군 평생학습도시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단양군.
김홍원, 장명림, 이희숙, 박희진 (2005). "조기유학에 관한 국민의식 실태조사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인적자원부.
Public Services
방송 출연
- eTBS 교통방송(영어방송)-'Koreaescape' (2017.9.16. 방송/9.15. 녹음): 한국교육에 대한 대담
- eTBS 교통방송(영어방송)-'Koreaescape' (2016.11.19.방송/11.15. 녹음): 한국교육에 대한 대담
- eTBS 교통방송(영어방송)-'Koreaescape' (2015.11.2. 생방송): 한국교육에 대한 대담
특강 및 외부 강의
[정부기관 연수]
대구광역시교육청 세계시민교육센터 다문화교육전문가 과정 연수(2025)
경주시청 상담대학 연수(2023, 2024)
대구광역시교육청 세계시민교육센터 유초중등 교원 연수(2021, 2022)
대구광역시교육청 다문화교육정책학교 유초중등 관리자 연수(2021)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교육연수원 유초중등 관리자 연수, 부장교사 연수(2020)
중앙공무원연수원 연수 (2021)
중앙교육연수원 유초중등 관리자 연수 (2017)
[초중고, 대학 연수]
조선이공대학교 교직원 연수 (2022) "시민교육, 다문화시대 인재양성의 키워드"
대구 왕선초등학교 학부모 연수 (2022) "다사다난, 다문화시대, 우리 아이 양육 방향"
공군항공과학고등학교 학생, 교직원 연수 (2018) "인성교육 정책과 실제" 등 다수
위원회 활동
제10대 경찰청 인권위원회(2024. - )
한국장학재단 복권기금 꿈사다리 장학사업 장학생 선발 관리위원회 외부 선임직 위원(2019. - 2023.)
한국교육사회학회 교육사회학연구 편집위원 (2021. - 2023.)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편집위원 (2021.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이사
한국법과인권교육학회 이사
한국교원교육학회 이사
한국평생교육학회 이사
한국교육행정학회 임원
한국교육정치학회 임원
한국비교교육학회 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