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CLT 2025 등록자는 HCLT와 KACL 양 행사 모두 참석 가능합니다.
※ 컨퍼런스홀은 3F, 301호 입니다.
※ 식사는 제공되지 않습니다.
09:30 ~ 11:00 206호 (KACL) AI 데이터 구축 및 활용
209호 (KACL) 언어 정보 기반 문제 해결
10:30 ~ 로비 참가 등록
12:20 ~ 12:30 컨퍼런스홀 개회사
12:30 ~ 13:20 컨퍼런스홀 초청강연 1: 박종철 교수 (KAIST)
13:20 ~ 14:10 컨퍼런스홀 초청강연 2: 임경태 교수 (KAIST)
14:10 ~ 14:20 205호 커피 브레이크(케이터링 - 205호)
14:20 ~ 15:10 컨퍼런스홀 초청강연 3: 이진식 박사 (LG AI 연구원)
15:10 ~ 16:00 컨퍼런스홀 초청강연 3: 조요한 교수 (서울대학교)
16:00 ~ 16:10 205호 커피 브레이크(케이터링 - 205호)
16:10 ~ 17:40 컨퍼런스홀 생성형 언어모델 1
203호 인공지능(AI) 말평
204호 Agentic AI 1
205호 포스터 1 (케이터링이 함께 제공됩니다)
207-8호 추론/분류 1
210-11호 자연어처리 응용 1
204호 언어자원 1
209호 (KACL) 데이터 기반 한국어 교육
17:40 ~ 18:00 컨퍼런스홀 공로패/감사패 수여, 우수논문 시상
18:00 ~ 18:30 컨퍼런스홀 운영위원 미팅
생성형 언어모델 - 1
컨퍼런스홀 (좌장 : 이환희 (중앙대학교) )
16:10-16:25 초거대 언어모델의 화용 능력에 관한 고찰
어수경(고려대학교), 허윤아(Human-Inspired AI 연구원), 임희석(고려대학교 / Human-Inspired AI 연구원)
16:25-16:40 [우수논문] 모델 병합 기반 다중 지식 편집 프레임워크: 간섭 완화와 성능 붕괴 방지
박건, 선주오, 이성희, 김학수(건국대학교)
16:40-16:55 대형 언어 모델의 계층 절단을 통한 효율적 텍스트 임베딩
윤정호(고려대학교), 소아람(Human-Inspired AI 연구원), 임희석(고려대학교 / Human-Inspired AI 연구원)
16:55-17:10 GRPO 기반 다중 보상 강화학습을 통한 텍스트 단순화에서의 가독성-사실성 상충관계 완화
최연석, 김슬기, 김학수(건국대학교)
17:10-17:25 정서적 지지 대화에서 대규모 언어모델의 사용자 경험 중심 평가 프레임워크
손수현, 구선민, 지하윤(고려대학교), 박정배(Human-Inspired AI 연구원), 임희석(고려대학교 / Human-Inspired AI 연구원)
17:25-17:40 한국어 대형 언어 모델의 부적절 발화 탐지를 위한 뉴런 식별 및 제어 기법
김수민(건국대학교), 김슬기, 김학수(건국대학교)
Agentic AI - 1
204 (좌장 : 나승훈 (UNIST) )
16:10-16:25 [우수논문] 베이즈 추론을 통한 RAG 기반 팩트 체크 모델의 데이터 활용 최적화
백성규(고려대학교), 박찬준(숭실대학교), 임희석(고려대학교, Human-inspired AI 연구원)
16:25-16:40 다중 에이전트 기반 문서 단순화 프레임워크
정지민, 김명진, 서재형(고려대학교), 박정배(Human-Inspired AI 연구원), 임희석(고려대학교 / Human-Inspired AI 연구원)
16:40-16:55 G-HRM: 바이오메디컬 KGQA를 위한 계층적 다중경로 추론 에이전트
강혜란(건국대학교), 이우진(ETRI), 한미래, 김학수(건국대학교)
16:55-17:10 PreRanker: LLM 에이전트의 도구 선택 능력 강화를 위한 리랭킹 모델
홍성태, 장영준(고려대학교), 박정배(Human-Inspired AI 연구원), 임희석(고려대학교 / Human-Inspired AI 연구원)
17:10-17:25 한국어 멀티모달 뉴스 입장 탐지: 시각 정보의 효과
이다현(숭실대학교), 한지영(KAIST), 박건우(숭실대학교)
17:25-17:40 다중 에이전트 협업을 활용한 한국 법률 정보 검색 정확도 향상
정다현, 전용찬, 지하윤(고려대학교), 허윤아(Human-Inspired AI 연구원), 임희석(고려대학교 / Human-Inspired AI 연구원)
추론/분류 - 1
206 (좌장 : 박천음 (국립한밭대학교) )
16:10-16:25 추론형 초거대언어모델과 스키마연결 기법을 활용한 데이터베이스 검색증강생성 시스템
강명훈, 손준영, 박찬희(고려대학교), 소아람(Human-Inspired AI 연구원), 임희석(고려대학교 / Human-Inspired AI 연구원)
16:25-16:40 KULLM-R: 효율적 한국어 추론 모델
이승윤, 김동준, 김민혁, 심규호(고려대학교), 박찬준(숭실대학교), 소아람(Human-Inspired AI 연구원), 임희석(고려대학교 / Human-Inspired AI 연구원)
16:40-16:55 Steering Vector를 통한 거대 언어 모델의 추론 능력 강화
심규호, 김동준(고려대학교), 박찬준(숭실대학교), 소아람(Human-Inspired AI 연구원), 임희석(고려대학교, Human-Inspired AI 연구원)
16:55-17:10 CoLAB: 영어 지식 전이를 통한 한국어 능력 강화
김민규, 남예린, 김민준(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임경태(한국과학기술원)
17:10-17:25 대형 언어 모델의 추론 능력 향상을 위한 토큰 신뢰도 기반 자기 일관성 방법론
윤태웅, 정근영, 김학수(건국대학교)
17:25-17:40 한글 자모 단위 오타 공격을 통한 거대 언어 모델의 오타 강건성 분석
김재현, 정근영, 김학수(건국대학교)
자연어처리 응용 - 1
207+208 (좌장 : 박찬준 (숭실대학교) )
16:10-16:25 HINT: Scheming 억제를 위한 Sparse AutoEncoder 기반 Feature Steering
김동준(고려대학교), 박찬준 (숭실대학교), 허윤아 (Human-inspired AI 연구원), 임희석(고려대학교, Human-inspired AI 연구원)
16:25-16:40 대화 상황에서 거대 언어 모델의 페르소나 갱신 능력 검증 연구
구선민, 김진성(고려대학교), 박기남(Human-Inspired AI 연구원), 임희석(고려대학교 / Human-Inspired AI 연구원)
16:40-16:55 UKoSpeech: 다양한 도메인을 위한 범용 한국어 음성인식 시스템
전용찬, 문현석(고려대학교), 박정배, 임희석(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Human-Inspired AI 연구원)
16:55-17:10 KURE: 한국어 검색에 특화된 임베딩 모델
장영준, 손준영(고려대학교), 이태민(Human-Inspired AI 연구원), 홍성태(고려대학교), 박정배(Human-Inspired AI 연구원), 임희석(고려대학교,
Human-Inspired AI 연구원)
17:10-17:25 [우수논문] KULLM-RAG: 지능형 자가 검증 기반 RAG 특화 대규모 언어 모델
이정섭, 김민혁, 윤정호, 홍성태, 장영준, 이승윤, 서재형(고려대학교), 박찬준(숭실대학교), 박정배(Human-Inspired AI 연구원), 임희석(고려대학교 / Human-Inspired AI 연구원)
17:25-17:40 모델 병합 기법을 활용한 수학 튜터링 모델 구축
선주오, 박건, 송지우, 김학수(건국대학교)
언어자원 - 1
210+211 (좌장 : 김주애 (한국외국어대학교) )
16:10-16:25 시나리오 전이를 활용한 전자상거래 환경에서의 협상 대화 데이터 증강
김진성, 구선민(고려대학교), 박기남(Human-Inspired AI 연구원), 임희석(고려대학교 / Human-Inspired AI 연구원)
16:25-16:40 대규모 언어모델의 한국적 가치관과 편향에 대한 분석
지하윤, 어수경(고려대학교), 박기남(Human-Inspired AI 연구원), 임희석(고려대학교, Human-Inspired AI 연구원)
16:40-16:55 Ko-MIRAGE: 한국어 검색 증강 생성 모델의 심층 평가를 위한 벤치마크
박찬희(고려대학교), 허윤아(Human-inspired AI 연구원), 임희석(고려대학교, Human-inspired AI 연구원)
16:55-17:10 [COLING 2022 특별 논문] 학생 이해 상태 기반 수학 튜터링 데이터셋 구축
송지우, 선주오, 박건, 김학수(건국대학교)
17:10-17:25 AI 안전성 정렬 데이터셋 설계 및 학습 전략 연구
강조은, 강채안, 김희재, 왕소남, 김한샘(연세대학교)
17:25-17:40 보이스피싱 탐지 모델 평가를 위한 벤치마크 데이터셋 설계 연구
강조은, 최규리, 최혜지(연세대학교), 윤찬혁, 정용빈, 함영균(테디썸), 김한샘(연세대학교)
AI 말평
203 (좌장 : 임경태 (KAIST) )
16:10-16:25 [AI말평 최우수논문] 한국어 문장 간 논리 관계 판별을 위한담화 표지 기반 데이터 증강과 스팬 라벨 가중 학습
박지홍, 김주영, 이세연(경상국립대학교 컴퓨터공학과), 박수진(경상국립대학교 경영정보학과), 김건우(경상국립대학교 컴퓨터공학과)
16:25-16:40 [AI말평 우수논문] 대규모 언어 모델을 활용하는 부적절 발언 탐지를 위한 추론 관점을 명시하는 소프트 귀납적 편향 접근법
김주영, 박지홍, 이세연(경상국립대학교 컴퓨터공학과), 박수진(경상국립대학교 경영정보학과), 김건우 (경상국립대학교 컴퓨터공학과)
16:40-16:55 [AI말평 우수논문] 보상함수 설계 기반 Self-Feedback 강화학습을 통한 LLM 추론 능력 향상
김아진, 김균엽, 강상우(가천대학교 AI · 소프트웨어학부)
16:55-17:10 [AI말평 우수논문] TOUR: 공감적 에이전트 기반 한국어 과제 지향 발화 재작성
김지수, 곽태윤(성균관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
17:10-17:25 Adversarial Correction: 하드 네거티브 튜닝을 통한 실제 환경 이미지 텍스트에 대한 VLM 일반화 성능 향상
임형준, 유용상, 이기훈(롯데이노베이트)
포스터 1
205 (좌장 : 김홍진 (ETRI) )
CASCADE: 임상 인식 기반 전략 제어형 AI 상담 엔진
김광일, 김슬기, 김학수(건국대학교)
KomuRetr: 고난이도 한국어 커뮤니티 스타일 검색 벤치마크 데이터셋
손준영, 장영준(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이태민 (Human-Inspired AI 연구원), 홍성태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허윤아 (Human-Inspired AI 연구원), 임희석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Human-Inspired AI 연구원)
Multi-Hop을 요구하는 복잡한 질의처리 검색 효율화를 위한 RAG와 Graph RAG의 결합 프레임워크
이성민, 김희은, 이동영, 강민선, 김민재(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양수열(크라우드웍스), 황영숙(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멀티모달 AI 안전성 데이터셋 번역 구축 방법론 연구
강조은, 강채안, 박서윤, 최규리, 안수빈, 김한샘(연세대학교)
CoEx: 다중 언어 코드 실행 라이브러리
김민혁(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박찬준(숭실대학교), 박기남(Human-Inspired AI 연구원), 임희석(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Human-Inspired AI 연구원)
인간과 AI의 한국어 유머 이해에 대한 비교 연구
강조은(연세대), 김민선(테디썸), 김희재, 최규리(연세대), 김한샘(연세대)
한국어 풍자 인식 강화를 위한 데이터 코퍼스 생성 및 활용 파이프라인
서정훈, 양성재, 장유리, 강명구(경희대학교)
외부 분류기를 활용한 반복적 검색 증강 생성의 효율성 개선
염시형, 정근영, 이성희, 김학수(건국대학교)
LLM 의사 결정 제어: 지식 충돌 상황에서의 뉴런 가중치 조정
박성배, 이성희, 김학수(건국대학교)
소규모 LLM의 수학 문제 풀이를 위한 언어 보상 적용 GRPO 강화학습
백종우, 황현선, 이창기(강원대학교)
거대언어모델의 한국어 다방언 번역 성능 분석
박근형, 김영빈(중앙대학교)
다지선다형 질의응답에서 초거대언어모델의 필연적 환각현상
문현석(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소아람(Human-Inspired AI 연구원), 임희석(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Human-Inspired AI 연구원)
생활기록부 기반 긍-부정 요약을 활용한 대입 면접 질의응답 생성 프레임워크
이찬우, 염정, 김하은, 임효진, 서영은, 박지숙(서울여자대학교) , 박천음(국립한밭대학교)
한국어 노이즈 텍스트에 대한 LLM의 강건성 평가 연구 - 에어비앤비체를 중심으로 -
안수빈, 김한샘(연세대학교)
인공지능의 한국어 및 한국 문화 이해 능력 평가 - 2025 국립국어원 인공지능(AI)말평 사례를 중심으로
박서윤(연세대학교), 김소희(국립국어원), 김민선, 함영균(테디썸), 이충희, 임준호(튜터러스랩스), 강조은(연세대학교), 윤찬혁(테디썸), 김한샘(연세대학교)
안전성 데이터셋의 현지화(localization) 효과
강조은, 강채안(연세대), 황제민(TTA), 김한샘(연세대)
※ 식사는 제공되지 않습니다.
09:00 ~ 로비 참가 등록
09:10 ~ 10:30 컨퍼런스홀 생성형 언어모델 2
203호 평가
204호 Agentic AI 2
205호 AI말평 경진대회
206호 추론/분류 2
207-8호 자연어처리 응용 2
210-11호 언어자원 2
10:30 ~ 10:40 209호 커피 브레이크(케이터링 - 209호)
10:40 ~ 12:10 컨퍼런스홀 생성형 언어모델 3
203호 추론/분류 3
204호 언어자원 3
205호 AI말평 경진대회
206호 생성형 언어모델 4
207-8호 추론/분류 4
210-11호 언어자원 4
09:10 -- 10:30
생성형 언어모델 - 2
컨퍼런스홀 (좌장 : 최성필 (경기대학교) )
09:00-09:15 사전학습된 Bi-RWKV 모델
조경빈, 이동혁, 박정연, 이재성(충북대학교)
09:15-09:30 수식 OCR 환각 현상 정의 및 VLM 환각 분석 프레임워크
이성준, 황태욱, 정상근(충남대학교)
09:30-09:45 정서지능 기반 LLM 학습전략 추천시스템: EFL 학습자를 위한 맞춤형 전략 연구
김성은(부산외국어대학교 영어학부), 이만유, 이승호, 오동석(경북대학교)
09:45-10:00 [COLING 2022 특별 논문] 다중 에이전트 성찰 패턴의 반복이 개체명 인식 문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편고운, 강현석, 정상근(충남대학교)
10:00-10:15 온프레미스환경 LLM 머메이드 다이어그램 코드 해석능력 연구
추건호, 최종천(LIG System)
10:15-10:30 욕망의 사슬: 긴 이야기 생성을 위한 서사 추론 프레임워크
조수아, 문경민, 정민경, 박세영, 이승진(NC AI)
평가
203 (좌장 : 송영숙 (Lablup) )
09:00-09:15 자동 음성 인식 오류에 강인한 한국어 말하기 채점 모델
곽건영(포항공과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이근배(포항공과대학교 컴퓨터공학과, 포항공과대학교 인공지능대학원)
09:15-09:30 한국어 sLLM 기반 말하기 문제 자동 생성 및 적합성 평가 파이프라인
서준, 황선정(포항공대 인공지능대학원), 이근배(포항공대 인공지능대학원/컴퓨터공학과)
09:30-09:45 고정점 집합을 활용한 비참조 기계번역 평가 기법
조찬우(부산대학교)
09:45-10:00 대규모 언어 모델을 활용한 통합 추론 및 신뢰도 조정 방법
신승민, 김대건, 이웅기, 김광륜, 최일호, 이기훈, 전봉지(롯데이노베이트)
10:00-10:15 [우수논문] 도메인 특화 모델 평가를 위한 사전 연동형 동형이의어 기반 벤치마크 자동 구축
최승호, 박시현, 김민상, 박찬솔, 김봉수(와이즈넛)
10:15-10:30 한국어 인터넷 밈 데이터셋 구축 방법과 LLM의 인간적 대화 능력 평가
유용상(롯데이노베이트, HuggingFace KREW), 김하림(GS네오텍, HuggingFace KREW), 오성민(HuggingFace KREW)
Agentic AI - 2
204 (좌장 : 임경태 (KAIST) )
09:00-09:15 [우수논문] Multi Agent System을 활용한 제안서 요약
고동혁, 정인재, 노동원(국립한밭대학교), 도수종(LG AI 연구원), 이지민, 임형준, 한유리(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장한얼, 우성필, 박천음(국립한밭대학교)
09:15-09:30 대규모 언어모델은 학생 수준별 영어 발화를 만들수 있는가? : 영어 교과서 데이터 중심 사례 분석
한예림, 남궁혁, 정상근(충남대학교)
09:30-09:45 가이던스 기반 이중 에이전트 프레임워크를 통한 실시간 검색 성능 향상
김민상, 박찬솔, 최승호, 박시현, 김봉수(와이즈넛)
09:45-10:00 SLM 기반 Agentic AI: Planner–Caller–Generator 설계와 평가
홍민지, 전창현, 박진희, 최정우, 김건우, 김지수(한글과컴퓨터)
10:00-10:15 시계열 데이터 속성 자동 선정 기법을 사용한 에이전트형 검색증강생성 프레임워크
김봉수, 최승호, 박시현, 김민상, 박찬솔, 양재석(와이즈넛)
10:15-10:30 LLM 기반 e-커머스 구매협상 AI 에이전트의 상품 속성 분류 체계 다차원화 연구: 2차원에서 3차원으로의 확장을 중심으로
안성민, 박동길, 이은찬, 오우석, 윤태건((주)에이아이오투오)
추론/분류 - 2
206 (좌장 : 이요한 (ETRI) )
09:00-09:15 [우수논문] 한국어 대규모 언어모델의 수학 문제 풀이 능력 향상을 위한 한국적 수학 말뭉치 합성
이동건(포항공과대학교), 백지수, 박원재(KT), 유환조(포항공과대학교)
09:15-09:30 이종 그래프 기반 구조적 정보 활용과 문맥적 정렬을 통한 다중 레이블 텍스트 분류
정수환(고등기술연구원), 박종민(충남대학교), 김준영(고등기술연구원), 윤수식(고려대학교), 임성수(충남대학교)
09:30-09:45 의미 기반 스키마 및 도메인 지식을 활용한 비정형 수산물 인보이스 정보 추출 시스템
전문기, 임성원, 류법모(부산외국어대학교)
09:45-10:00 효율적 셀프 어텐션을 위한 토큰 수준 엔트로피 기반 동적 윈도우 조정
이승호, 이만유(경북대학교), 김성은(부산외국어대학교), 오동석(경북대학교)
10:00-10:15 BERT 기반 기업 뉴스 감성 분석을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비교 연구
이성현, 최윤성(한동대), 류재훈, 문영술(오토오 모니터), 홍참길(한동대)
10:15-10:30 합성 대화 데이터 기반 자살 충동 실시간 조기 탐지
양성준(포항공과대학교), 이근배(포항공과대학교)
자연어처리 응용 - 2
207+208 (좌장 : 황현선 (강원대학교) )
09:00-09:15 자동차 클레임 요소 예측을 위한 단어 임베딩 기반 웹 모니터링 시스템
정민수(동의대학교), 심용보(현대자동차), 이정훈(국립한국해양대학교)
09:15-09:30 검색 증강 생성을 활용한 특허 거절 대응 청구항 보정 자동화 프레임워크 연구
최윤성, 이성현, 이상호, 홍참길(한동대학교)
09:30-09:45 NetConfigQA: 네트워크 설정 해석 능력 평가를 위한 질의응답 데이터셋
박유진, 진경은(국립한밭대학교), 박찬진, 김기현(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김태훈, 전윤호, 박천음 (국립한밭대학교)
09:45-10:00 [우수논문] LLM Workflow를 활용한 경로 계획
전승재, 박천음(국립한밭대학교)
10:00-10:15 RRF와 연결형 청킹을 통한 RAG 시스템의 효율성 최적화
김현수, 하태빈, 박호진, 안영민(I-BRICKS Inc)
10:15-10:30 검증-보강 하이브리드 대화 요약: 주제 분할과 키포인트 커버리지 제어
정호준, 강상우(가천대학교)
언어자원 - 2
210+211 (좌장 : 류법모 (부산외국어대학교) )
09:00-09:15 다국어 혼합 문서 환경에서 한글 인식 성능 향상을 위한 오픈소스 OCR 기반 미세 조정에 관한 실험적 연구
전정운, 정선기, 최성필(경기대학교)
09:15-09:30 LED: 문서 구조 이해를 위한 레이아웃 오류 검출 벤치마크
허인범, 황태욱, 정지수, 정상근(충남대학교)
09:30-09:45 문화 특수적 요소를 고려한 한국어 복합 지시문 벤치마크
오유림, 진 현, 송현제(전북대학교)
09:45-10:00 주체적 관점의 한국어 언어 모델 평가를 위한 벤치마크 구축 방안 연구
신동혁, 이지미, 노영록, 신사임, 장진예(한국전자기술연구원)
10:00-10:15 상태 일관성을 반영한 연쇄적 도구 호출 기반 대화 데이터 구축 벤치마크
성수진, 김산, 임영서, 신사임(한국전자기술연구원)
10:15-10:30 대규모 언어 모델의 RAG QA 적용 성능 평가를 위한 요구사항 기반 기능 단위 벤치마크
박찬솔, 최승호, 박시현, 김민상, 김봉수(와이즈넛)
10:30 -- 10:40 커피 브레이크
10:40 -- 12:10
생성형 언어모델 - 3
컨퍼런스홀 (좌장 : 정상근 (충남대학교) )
10:40-10:55 [우수논문] 거대언어모델의 한국어 뉴런 역할 탐구 및 분석
김홍진, 신종훈, 임수종, 권오욱(한국전자통신연구원)
10:55-11:10 전문적 도메인 텍스트에서의 한국어 문맥적 오류 수정을 위한 유의어 대체 작업
유승욱, 박근형, 김영빈(중앙대학교)
11:10-11:25 GRPO 기반 생성 및 Hybrid 리랭킹을 통한 텍스트 생성의 다양성-품질 공동 최적화
박소언, 최성민, 김균엽, 김주형, 강상우(가천대학교)
11:25-11:40 LLM의 학습 성능 향상을 위한 레이어 벡터 간 유사도 기반 내재 지식 탐지 기법
박시현, 김민상, 박찬솔, 최승호, 김봉수(와이즈넛)
11:40-11:55 [우수논문] 언어 모델에서 페르소나 벡터의 언어 간 전이
정영준, 황현선, 이창기(강원대학교)
11:55-12:10 임베딩 기반 클러스터링을 통한 대규모 언어모델 프롬프트 최적화와 추론 효율화
김태우, 김경민(제주대학교)
추론/분류 - 3
203 (좌장 : 이창기 (강원대학교) )
10:40-10:55 LLM과 엔티티 추출의 2가지 방식을 결합한 RAG 증거문장 추출
강이의, 전승훈, 김경민(제주대학교)
10:55-11:10 문서 청크 지식 생성을 통한 생성형 검색 시스템의 정확도 향상 방법
김지수, 박진희, 전창현, 최정우, 김건우, 홍민지, 김세현(한글과컴퓨터)
11:10-11:25 다국어 다중레이블 혐오표현 탐지에서 언어-레이블 데이터 희소성 개선
임성원, 류법모(부산외국어대학교)
11:25-11:40 어순 변형을 통한 한국어 질의응답 모델의 의미 이해 강화
유하영(중앙대학교), 김영빈(중앙대학교)
11:40-11:55 [우수논문] 형태를 넘어: 자음, 모음 단위 뒤섞기에서 한국어 LLM 의미 복원
김동연, 송호윤(KAIST), 최창수(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임경태(KAIST)
11:55-12:10 대규모 언어 모델에서 불필요한 추론 단계 탐지: 증강된 수학적 추론 체인을 이용한 평가
이대엽, 유환조(포항공과대학교)
언어자원 - 3
204 (좌장 : 김학수 (건국대학교) )
10:40-10:55 절차적 사고 흐름을 활용한 언어 모델 학습과 성능 분석
전현규(롯데이노베이트(주))
10:55-11:10 원본 의미 보존을 위한 한국어 텍스트 스타일 변환: 합성 데이터 생성과 대규모 평가
송영숙, 강정석(래블업), 김태은(래블업, Emory University), 유현조(충남대학교), 황은진(래블업)
11:10-11:25 [우수논문] 외국인 유학생 지원 챗봇을 위한 다국어 멀티턴 데이터셋 구축 및 활용
맥슈웰 데이브, 임성원, 로버트 수위타 말라르, 돌리예브 자수르벡, 류법모(부산외국어대학교)
11:25-11:40 다국어 기계번역 모델의 언어 확장
장진희(중앙대학교), 홍승희(NC AI), 김영빈(중앙대학교)
11:40-11:55 사막에서 바늘 찾기: 한국어 장문 이해 능력 평가를 위한 벤치마크
유한결(서울과학기술대학교), 송호윤, 임경태(한국과학기술원)
11:55-12:10 기술–산업 분류 체계 매핑의 설명 가능성 확보를 위한 택소노미 설계
곽지호, 정유철(국립금오공과대학교)
생성형 언어모델 - 4
206 (좌장 : 조상현 (ETRI) )
10:40-10:55 대규모 언어 모델의 편향성에 대한 질적 사전 연구: 독도 영유권 답변 사례를 중심으로
신동혁, 노영록, 이지미, 신사임, 장진예(한국전자기술연구원)
10:55-11:10 LLM 기반 한국어 번역의 성별 편향 분석
조민석, 이공주(충남대학교)
11:10-11:25 KoLex: 최신 법령 · 판례 동기화와 증거 중심 신뢰 생성을 통합한 한국 법률 RAG 프레임워크
이기훈, 임형준, 유용상(롯데이노베이트)
11:25-11:40 AutoDAN 기반 한국어 LLM 탈옥공격평가
이지훈, 황현선, 이창기(강원대학교)
11:40-11:55 생성형 AI를 이용한 전문용어 어휘망의 상위어 추천 알고리듬
김완수, 옥철영(울산대학교)
추론/분류 - 4
207+208 (좌장 : 권진근 (충남대학교) )
10:40-10:55 LLMs의 한국어 부사절 인식과 변환 능력 연구
유성희(국립국어원)
10:55-11:10 생성 NER task에서 Decoder-only 모델과 Sequence-to-Sequence 모델의 성능 비교 분석
박준호, 박성배(경희대학교)
11:10-11:25 대화 맥락 추론 향상을 위한 리즈닝 피드백 기반 학습
손유리, 김태욱(한양대학교)
11:25-11:40 담화구문분석을 통한 인간과 대규모 언어모델 텍스트의 구조적 차이 분석
오원준(성균관대학교), 임경태(KAIST)
11:40-11:55 [우수논문] 한국어 시각적 질의응답 성능 향상을 위한 이미지 설명 활용 전략 연구
김이서, 홍은진, 박정원, 김주애(한국외국어대학교)
11:55-12:10 CoT 기반 자동 생성 설명을 활용한 NLI 학습데이터 생성 규칙 발굴
한주영, 이창기(강원대학교)
언어자원 - 4
210+211 (좌장 : 허윤석 (서강대학교) )
10:40-10:55 금융권 특화 유해 발화 벤치마크 구축 및 생성형 AI 안전성 평가
최수원, 황혜수(에이아이웍스), 김신우(SK 쉴더스), 윤정우(플리토)
10:55-11:10 Paper Facet 지식 그래프: 학술 논문 이해와 탐색을 지원하는 구조화 데이터셋
남궁혁, 한예림, 김은빈, 허인범, 정상근(충남대학교)
11:10-11:25 IntroPref : 학술 논문 서론 개선 피드백 데이터셋
김은빈, 남궁혁, 정상근(충남대학교)
11:25-11:40 북한 로동신문 자료의 코퍼스 구축 및 담화 언어 평가: 외교적 메시지 분석을 중심으로
강경민(모스크바시립사범대학교, 카잔연방대학교)
11:40-11:55 질의 과적합 완화를 위한 하드 네거티브 질의 증강 임베딩 모델 학습
장우혁, 이승원(와이즈넛)
서울시 서초구 방배로 76 (방배동, 머리재빌딩 401호) 우 : 06704 | Tel : 1588-2728 | Fax : 02-521-1352 | 대표 : 원유집
학술대회 등록 문의: 한국정보과학회 박보혜 대리 (Email: bhpark@kiise.or.kr), Tel. 02)588-9247 | 팩스번호: 02-521-1352
논문 및 학술대회 조직 관련 문의 : 2025hclt@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