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정보
이름: 한천우 (Ph. D.)
연구실: 영암관 211
Email: chan@kmu.ac.kr
Tel: 053-580-5327
학력
Ph.D. 교육심리 (2014년 5월) -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Changes and Stability in Individual Achievement Goals Based on Instructional Components of a College Classroom and Relations between Individual Goals and Class Goals
M.A. Program Evaluation (2013년 5월) -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Effects of Informative Feedback on the Regulation of Achievement Goals
M.A. 교육방법 (2007년 2월) - 고려대학교
The Effects of Choice and Achievement Goals on Brain Activation: An fMRI Study
경력
2019 - 현재: 계명대학교 교육학과 교육심리전공 교수
2023 - 2025: 계명대학교 교육학과 학과장
2017 - 2019: The University of Texas at Tyler, 교육학과 교육심리전공 조교수
2014 - 2017: Univerisity of Illinois at Chicago, 박사후 연구원
2010 - 2014: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강사
2009 - 2010: Texas Higher Education Coordinating Board, 연구원
2005 - 2007: 고려대학교, 뇌기반 학습 센터, 연구원
수상경력
2019 - Teaching and Learning Awards. Center for Excellence in Teaching and Learning. The University of Texas at Tyler
2019 - Division C of AERA New Faculty Mentoring Program. AERA in Toronto
2017 - Honorable Comments Award of Research Paper. KAERA in New York
2016 - Michael B. Salwen Scholarship. KAERA in Washington D.C.
2013 - Division C of AERA Graduate Student Seminar Award. AERA in San Francisco
2007 - Award for the very best researcher. Brain Korea 21, Korea University
연구비 수주
2022 - 2024: 한국연구재단 신진학자연구지원 (40,000,000원)
2022 - 2022: 계명대학교 우수학술연구비 (13,000,000원)
2019 - 2022: 계명대학교 신임교원 정착연구비 (12,000,000원)
2015 - 2017: Belonging Intervention for At-risk Students, Spencer Foundation ($49, 223)
2015 - 2016: Belonging Intervention for Entering College Students, The Mayer and Morris Kaplan Family Foundation ($50,000)
2014 - 2015: Non-Cognitive Factors Predicting College Student Success, The Mayer and Morris Kaplan Family Foundation ($44,000)
학회 활동
2024 - 현재: 아시아교육연구 편집위원
2023 - 현재: 교육문제연구 편집위원
2019 - 현재: 한국 교육심리학회 (이사)
한국국제교류학회 (이사)
2010 - 현재: 미국 교육학회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Division C (Learning and Instruction)
Division J (Postsecondary Education)
SIG: Motivation in Education
2013 - 현재: 미국 심리학회 (American Psychology Association)
Division 15 (Educational Psychology)
2016 - 2018: 미중서부 심리학회 (Midwestern Psychology Association)
2016 - 현재: 심리과학 협회 (Association for Psychological Science)
대표 논문
김순구, 한천우 (2025). 전환기 청소년의 교사-학생 관계와 우울,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관계 연구. 교육학연구, 63(2), 175-204.
이수진, 윤연기, 한천우 (2025). 대학생을 위한 성장마인드셋 기반 자기주도학습능력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청소년학연구, 32(4), 329-352.
김수연, 한천우 (2024). 예비교원이 지각하는 과제비용이 학업지연과 진로준비행동, 교직이탈의도에 미치는 영향: 성취목표의 매개효과. 한국교육학연구, 30(4), 47-76.
김성일, 정윤경, 이선영, 권순구, 조은수, 한천우, 임가람, 이명진, 황수영, 이우걸, 김원식, 소연희, 윤미선 (2024). Optimizing Learning Outcomes through Motivation-Adapted Individualized Teachable Agents. 교육방법연구, 36(3), 309-336.
박선형, 한천우 (2024).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과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순차적 매개효과. 교육문제연구, 37(4), 113-136.
이원례, 한천우 (2024). 교사의 특성이 초중학교 전환기 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교육학연구, 62(5), 33-63.
이수진, 한천우 (2024). 간호대학생의 학교적응향상을 위한 성장마인드셋 프로그램 효과. 청소년학연구, 31(7), 399-424.
Cao, HQ, & Han, C. (2024). The effects of Chinese vocational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feedback on online learning engagement: academic self-efficacy and test anxiety as mediating variables. Frontiers in Psychology, 15, 1326746.
이원례, 한천우 (2024). 사회적 성취목표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중학생의 사회적 적응의 차이와 예측요인 탐색. 교육심리연구, 38(2), 199-227.
박수영, 이혜주, 김수연, 한천우 (2024). 중학생이 지각한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와 그릿, 협동심, 학업열의의 구조적 관계: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25(2), 171-201.
하정혜, 한천우 (2024). 전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성취목표의 매개효과. 한국교육문제연구, 42(2), 56-77.
김다현, 한천우 (2024). 구체적조작물을 활용한 수학 수업이 중학생의 수학 성장마인드셋, 과제가치, 과제비용,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2), 339-356.
박수영, 한천우 (2024). 중학생이 지각한 교실목표구조와 성장 마인드셋, 성취목표, 자기조절학습 간의 구조적 관계. 교육학연구, 62(1), 1-30.
윤연기, 한천우 (2023). 교실목표구조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 성취목표와 그릿의 순차적 매개효과. 교육학연구, 61(5), 193-218.
Han, C. (2023). Structural relations among achievement goals, perceptions of classroom goals, and grit. Current Psychology, 42(20), 16687-16697.
이수진, 한천우 (2023). 소시오드라마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공감능력, 자기조절력,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아동교육, 32(2), 63-81.
하정혜, 한천우 (2023). 전문대생의 진로스트레스,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학과만족도,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진로교육연구, 36(1), 207-225.
박수영, 한천우 (2023). 중학생의 성장 마인드셋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조절학습, 학교적응의 구조적 관계. 교육문제연구, 36(1), 185-210.
Koh, J., Farrugia, S. P., Back, L. T., & Han, C. (2022). Self-efficacy and academic success among diverse first-generation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role of self-regulation. Social Psychology of Education, 25(5), 1071-1092.
Han, C., Farrugia, S. P., & Solomon, B. (2022). Effects of High School Students' Noncognitive Factors on Their Success at College. Studies in Higher Education, 47(3), 572-586.
Han, C. (2021). The Effects of Choice on Task Performance and Reward Awareness: A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y. Mind, Brain, and Education, 15(4), 299-310.
콘라트바에바 엘미라 엔삿바이 키지, 한천우 (2022). Does Grit Tell Us Something about Academic Success? -comparing with achievement goal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60(7), 89-108.
이혜주, 한천우 (2022). 전문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 그릿, 학습참여, 도움요청 간 구조적 관계. 교육학연구, 60(6), 371-397.
이수진, 한천우 (2022). 아동의 긍정적 자기개념 향상을 위한 소시오드라마 프로그램. 청소년학연구, 29(1), 269-293.
이원례, 한천우 (2022). 중학생이 지각한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학업열의와 그릿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9(9), 53-81.
한천우 (2021).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 미래지향시간관, 그릿 및 학습참여 간의 구조적 관계. 교육문제연구, 34(2), 99-122.
윤연기, 한천우 (2021).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성장신념이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그릿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59(6), 157-184.
하정혜, 한천우 (2021).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고정신념의 매개효과. 아동교육, 30(3), 179-193.
김유선, 한천우 (2021). 대학생의 그릿과 도움요청의 관계에서 성취목표의 매개효과. 아동교육, 30(3), 63-87.
한천우 (2021). 대학생의 그릿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성취목표의 매개효과. 교육연구논총, 42(2), 115-138.
한천우 (2020). 전문대학생의 성장신념, 그릿, 메타인지 및 진로준비행동간의 구조적 관계. 교육문제연구, 33(4), 191-215.
Han, C., Farrugia, S. P., & Solomon, B. (2018). Latent Profiling College Students’ Learning Strategies Use and Effects on Academic Performance and Retention. Higher Educ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37(7), 1409-1423.
Farrugia, S., Han, C., Moss, T., & Bottom, B. (2018). Noncognitive Factors and College Student Success. Journal of College Student Retention: Research, Theory & Practice, 20(3), 308-327.
Han, C., Farrugia, S. P., & Moss, T., P. (2017). Effects of Academic Mindsets on College Students’ Performance and Success.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58(8), 1119-1134.
Han, C. (2016). Changes and Stability in Individual Achievement Goals Based on Instructional Components of a College Classroom. Americ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14), 999-1007.
Patall, E. A., Dacy, B. S., & Han, C. (2014). The Role of Competence in the Effects of Choice on Motivation.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50, 27-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