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씨알 콜렉티브에서, 2021 송은아트큐브에서 개인전을 열었으며, 단체전 《Summer Love》(송은아트큐브, 2022), 《다중세계를 향해 작동하는 안테나》(아트센터 화이트블럭, 2019)에 참여했다. 국립현대미술관 고양레지던시(2017), 인천아트플랫폼(2020)에서 입주작가로 활동했으며, 2021년 베를린 국제영화제와 토론토국제영화제에서 수상한 경력이 있다.
계원조형예술대학에서 화훼디자인을, 성균관대학교 미술학과 및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유년기부터 식물과 함께 성장한 작가는 2014년 고양시에서 진행한 〈이사하는 정원〉을 비롯하여 '식물'과 '타자'의 상호관계성에 주목해 왔다. 식물의 삶에 인간의 생로병사를 빗대어 식물에 담긴 인간의 흔적과 서사를 드로잉, 설치, 영상 및 퍼포먼스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시각화한다.
올해 〈다시, 해움〉 프로그램을 통해 시민들과 함께 해움 화단에 식물을 가꾸고 치료하는 프로젝트를 운영했다. 대표적으로 개인전 《써언덕모티》(공간 일리, 2022)과 더불어 《당신의 정원》(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2020)의 프로젝트를 열었으며,《물의 공간》(청주시립대청호미술관, 2023), 경기도미술관 《미술관의 입구:생태통로》(2022),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의 《미술원, 우리와 우리 사이》(2021) 등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했다.
2021 한송빌딩에서, 2017 아터테인 스테이지에서 개인전을 열었으며, 단체전 《윈도우 리컨스트럭션》(아마도예술공간, 2023), 《칼립소》(두산갤러리, 2022),《사이의 언어》(김홍도미술관, 2022),《유랑하는 도시의 산책자》(트라이보울, 2021), 《A Remix of Damage》(Reid Gallery, 2021)에 참여했다. 2022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과 기술 융합지원에 선정되었으며, 동시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경기예술인지원 선정(경기문화재단), 창의인재 동반사업 우수 프로젝트 사업화 지원(한국콘텐츠진흥원)에 선정되었다.
2022 명당갤러리에서 개인전을 열었으며, 단체전 《오픈 연결망》(백남준아트센터, 2021), 《Unreal World》(임시공간, 2021),《우먼 핵 SFX 서울》(대안공간 루프, 2017)에 참여했다. 인천아트플랫폼(2016), 국립아시아문화전당 ACC_R(2018), 국립현대미술관 창동레지던시(2020)에서 입주작가로 활동했으며, 2023년 경기문화재단 경기예술 창작지원에 선정되었고, 서울문화재단 예술청팀 상상, 가능한 거래(2022) '거래제인 분야'에서 수상했다.
건국대학교 회화과와 성신여자대학교 조형대학원 동양화과, 프랑스 파리1대학 조형예술학 석사, DEA와 박사를 졸업했다.
2020년 팔복예술공장, 2019년 영은미술창작스튜디오에서 입주 작가로 활동했다. 개인전으로 《하루 소설 Novel d'un jour》(도로시살롱, 2023),《불안에 대한 원근법》(고양아람누리 갤러리누리 4전시장, 2022), 《나날이 밤마다》(Space LO, 2022) 등을 열었고, 단체전 《unfamiliar monologue room》(화인페이퍼 갤러리, 2023), 《돛》(반도문화재단 아이비라운지 갤러리, 2021), 2021년 울산태화강국제설치미술제 등에 참여했다.
2019 송은아트큐브에서 개인전을 열었으며, 단체전 《조각충동》(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2022), 《김복진과 한국 근현대 조각가들》(청주시립미술관, 2022),《페이지 너머》(대전시립미술관, 2022)에 참여했다. 한국예술종합학교 K'ARTS STUDIO(2021), 벨기에 세라믹 아트 앙덴느(2022)에서 입주작가로 활동했으며, 2023년 서울문화재단 예술창작활동지원사업에 선정되었다.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에서 회화를 전공하고 동대학원 회화과를 졸업했다.
2023년 스페이스 윌링앤딜링에서 개인전 《마침내 너와 내가 만나면》과 동시에 공간황금향에서 《메타픽션》을 열었으며, 주요 단체전 《HYPER IMPRESSIONISM》(대구예술발전소, 2023), 《죽음이 우리를 갈라놓을 때까지》(CNK갤러리, 2022),《Stroll》(시안미술관, 2022), 《의도적 우연》(자하미술간, 2021), 《Here we are》(수창청춘멘숀, 2020)등에 참여했다. 양주 시립 미술창작 스튜디오 777 레지던스(2013),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2020)에서 입주작가로 활동했으며, 제 1회 한국예탁결제원 KSD 미술상 대상(2019)을 수상했다.
2019 아트스페이스 오, 동시에 Vitrine im Malkasten에서 개인전을 열었으며, 단체전 《APMAP 2022》(아모레퍼시픽미술관, 2022), 《존재하지 않는, 잡을 수 없는》(조명박물관, 2021),《Hi, A New Home》(수장청춘맨숀, 2021), 《APMAP 2019》(오설록티뮤지엄, 2019)에 참여했다. 엔스헤데 예술가 레지던스(2014)에서 입주작가로 활동했으며, 경기문화재단 경기예술 생애 첫 지원(2023)에 선정되었고, 제10회 필룩스 라이트아트 공모전(2021)에서 수상했다.
2020 더 레퍼런스에서 개인전을 열었으며, 단체전 《돛》(반도문화재단 아이비라운지갤러리, 2021), 《Super Hero》(인사미술공간, 2020),《코끼리 그림자 바람》(경기도미술관, 2019)에 참여했다.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2017-2018)에서 입주작가로 활동했으며, 2023년 예술창작활동지원사업(서울문화재단), 아르코청년예술가 생애첫지원(한국문화예술위원회), PS사루비아 전시 후원 작가에 선정되었고, 대전 MBC 아트&미디어대전 최우수상(2022)을 수상했다.
중부대학교 사진영상학과와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에서 조형예술과 석사를 졸업했다.
2020 ‘고양아티스트 365’ 선정작가로, 이듬해 고양아람누리에서 개인전을 열었다. 주요 단체전으로는 BGA Offline Showcase:PHYSICAL(갤러리 팩토리2, 2020)과 런던의 NEWCROSS ROAD, 서울혁신파크에서 URBAN PLAYGROUND(2015)에 참여했다.
상명대학교 서양화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서양화과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철원문화원에서 ≪폐허의 고리≫(철원, 2019), 통의동 보안여관(서울, 2015) 등에서 개인전을 열었으며 REAL DMZ 양지리 레지던시, 평화문화진지 입주 작가로 활동했다. ≪미지의 증인≫(통의동 보안여관, 2022), ≪한강은 누구에게나 비범하다≫(갤러리 허브, 2020)와 ≪제주비엔날레:투어리즘≫(복합문화공간 이아, 2017)등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했다.
2023 스페이스 윌링앤딜링에서 개인전을 열었으며, 단체전 《Layering:오늘의 날씨는 세네 겹입니다》(통의동 보안여관, 2022), 《긴, 빈 꼬리, 희박하게 가끔 빛》(서울시립미술관 Sema벙커, 2022), 《낮은굴》(토당문화플랫폼, 2021), 《하나의 신》(중간지점, 2020)에 참여했다. 2023년 아르코청년예술가 생애첫지원(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21-22년 고양문화다리 신진예술가(고양문화재단)에 선정되었다.
동덕여자대학교 회화과 학사 졸업 후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동양화과를 수학했다.
주요 개인전 ≪시언: 시대의 언어≫(서울 및 경기, 2019)을 열었고 ≪합류지점(合流地點): 평화의 결을 찾아서≫(오두산 통일 전망대, 2022), DMZ, Art&Peace Platform(강원, 2021), ≪흰 밤 검은 낮≫(경기도미술관, 2020), ≪낯선 전쟁≫(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2020) 등의 단체전에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