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N에서 방영하는 <도깨비>라는 드라마에 보시나요? 상상력, 창의력의 승리라고 할 만큼 내용이 신선하고 재미있습니다.
출처 : http://program.tving.com/tvn/dokebi
지은탁(김고은 역)이 "①조실부모하고 ②사고무탁하여"라고 자신을 소개하곤 합니다. 조실부모와 사고무탁 모두 시험에 종종 나오는 단어이니 알아두면 좋습니다.
①조실부모란 어려서(이를 조早) 부모(아버지 부父, 어머니 모母)를 잃었다(잃을 실失)는 뜻입니다. "신데렐라는 어려서 부모님을 잃고요"라는 노래 가사 들어봤나요? 이를 "신데렐라는 조실부모했다"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 청운산 청운동에 두 재사(才士)가 있으니 한 사람은 성이 임이요, 명은 강수였고, 한 사람은 성은 유요, 명은 백문이니, 양인(兩人)이 얼굴이 아름답고 재주가 빼어났으나 조실부모(早失父母)하고 각각 처자식을 남에게 의탁(의지하여 맡김)하였으니 서로 가깝게 지냈다. -작자 미상, 「낙성비룡」
¶ 한 곳에 마땅한 여자가 있는데, 성은 교(喬)요 이름은 채란(彩蘭)인데, 조실부모하고 형제에 의지하여 있는데 방년 십육 세입니다. _차범석, 「사씨남정기」
②사고무탁이란 사방(넉 사四)을 돌아봐도(돌아볼 고顧) 의탁할(부탁할 탁託) 사람이 없다는 뜻입니다. 시험에 사고무탁과 비슷한 단어들이 시험에 출제된 적 있습니다.
사고무친 : 사방을 돌아보아도 친척이 없다=의지할 사람이 없다
혈혈단신 : 의지할 곳 없는 외로운 홀몸
고립무원 : 고립되어 도움을 받을 데가 없음
정리하자면, "조실부모하고 사고무탁하여"는 '어려서 부모님을 잃고, 의지할 곳이 없어' 정도로 번역(?)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