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한국물리학회 학회상-장려상 수상: 김가현 석사과정 학생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물리학과
학습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팀 프로젝트/연구활동의 즐거움을 체험
'누구나 꿈꿀 수 있는' 물리학과
물리학과의 근원적 사고와 기본기에 기반한 유연성, 확장성 활용
'누구나 해낼 수 있는' 물리학과
마이클 패러데이 '대중을 위한 과학'철학 공유, 성취를 느끼는 학업
정성원 석사과정생, 2024 한국물리학회 가을학술대회
물리학은 취업 안된다?: 전국적인 물리학과 평균 취업률은 60%대로 나쁘지 않음
물리학과는 엘리트의 학문이다?: 마이클 패러데이 (전자기학의 아버지) 반례 있음
물리학 분야 자격증이 없다?: 이공학의 거의 모든 분야의 자격증 취득 가능
물리학 교과목은 필요 없다?: 프로젝트, 팀워크 위주의 채용 트랜드
저학년은 취업 교과목을 배우지 않는다?: 효율적인 진로 지도를 위한 기본 틀의 필요성
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AIP) 통계: 이공학 분야 HW/SW 분야로 진로가 양분됨
통계물리학(SW중심), 재료과학/소자응용(HW중심) 투 트랙 전략수립
통계물리학: 빅데이터/사회/네트워크 물리학, 생물/연성물질 물리학, 양자정보/컴퓨팅
재료과학/소자응용: 응집물질물리, 기능성소재, 광소재, 에너지물질, 소자응용
전공 과정을 통해 HW/SW분야 중 본인에 적성에 맞는 유연한 진로설계를 유도
취업 준비 방식 개혁: 구식(성적, 토익, 자격증)탈피, 최신화 (프로젝트, 스피킹, 팀워크)
취업 정보제공/코칭 체계화: 취업포트폴리오 페이지, 영상가이드, 자기소개서 집중 코칭
취업 전략 Two-track화: 전국 경쟁형, 지역(서부경남) 정주형
전국 경쟁형: 연구 프로젝트, 인턴, 공모전 등의 전국적 경쟁 유도
지역 정주형: 진주-사천 항공우주산업단지 기업 연계
학생 교외 수상 실적: 2021년 첫 입상 이후 학부 8회, 대학원 7회 입상
취업률의 정상화: 2024년 64.7% 달성
통계물리학 트랙: 조용석, 조재윤, 이상훈 교수
빅데이터 혁신융합대학 (2021-)
재료과학/소자응용 트랙: 정미윤, 이종진, 남영우, 홍영기, 정성원, 공재민 교수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혁신융합대학 (2023-), 우주극한환경 반도체 특성화대학(2024-)
집단 연구과제 선정
기초연구실 (이상훈, 조용석, 조재윤 교수)
LAMP사업단 (조용석, 정성원 교수)
대학원생 수 증가
2021년 8명에서 2024년 16명으로...
학과 JCR 상위 10% 이내 논문게재실적 (2024)
조용석 교수,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JIF 13.4)
정미윤 교수, Laser & Photonics Reviews (JIF 9.8), 커버 이미지 선정
이상훈 교수, Physical Review Letters (JIF 8.1)
정성원 교수, ACS Nano (JIF 15.8), 커버 이미지 선정
더 많은 학생들이 'GNU 물리학과'에서 '나도 할 수 있다' 도전하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