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보조공학연구는 장애인(특히 감각장애인: 시각장애인, 청각장애인)이 모바일 스마트 기기(스마트폰이나 태블릿)에서 제공되는 일반 서비스를 쉽게 접근 가능 하도록 하는 연구와 개발을 수행함
○ 인터넷의 발달과 모바일 스마트 기기 등의 등장으로 장애인에 대한 정보 접근 수단이 높아지고 있으나, 일반인에 비교하여 접근 및 활용 수준은 아직도 매우 미흡한 상태임
- 장애인의 모바일 스마트 기기(스마트폰, 태블릿) 보유 는 전체 국민 대비 53.5%로 나타났으며, 모바일 스마트 기기 이용 역량은 37.2%, 활용 능력은 35.8%에 불과함(출처: 2013년 장애인 정보격차 실태조사, 한국정보화진흥원)
- 스마트 모바일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정보 서비스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나, 장애인이 이러한 정보화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 수단은 극히 제한적임(음성인식/합성등의 기능 제공)
- 기존에 이미 제공되는 정보 서비스를 장애인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수단을 연구, 개발, 보급해야 하나, 시장규모가 매우 작고 장애인의 구매 능력이 부족한 관계로 이익이 최우선인 기업체들의 외면을 받고 있음
- 따라서 장애인에 대한 정보화 지원은 공공성을 가지며, 사회 기술로서 정부가 적극적으로 연구, 개발, 보급을 지원해야 함
- 시각장애인용 공간지각 확장용 앱(실외 및 실내)
- 시각장애인을 위한 교통정보 어플리케이션
- 시각장애인용 페이스북, 모바일 메신저 등 SNS 서비스
- 시각장애인을 위한 길안내 시스템(vision 포함)
- 전자책 표준을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점자전자책 및 배포시스템
- 시각장애인을 위한 휴대폰 점자 입출력 시스템
한국형웹콘텐츠접근성지침2.1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지침 2.0
공공무인단말 접근성 국가표준(KIOSK)